ARDS 병태생리와 case 대학병원 발표 70페이지 marinos the little icu book 참고
본 내용은
"
ARDS 병태생리와 case 대학병원 발표 70페이지 marinos the little icu book 참고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9.20
문서 내 토픽
  • 1. ARDS(급성 호흡 곤란 증후군)
    ARDS(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ARDS)는 ICU 입원의 10%, 전 세계적으로 장기간 기계 환기치료하는 환자의 25%를 차지하는 미만성 염증성 폐 손상을 말한다. ARDS의 특징은 기계 환기, 불용성 저 산소혈증 등이며, 발병기전은 순환하는 호중구의 활성화로 시작된다. ARDS의 선행요인에는 폐렴, 폐 외 패혈증, 흡인 등이 있으며, 대부분 전신 염증 반응을 유발한다. ARDS의 임상적 특징은 방사선 소견상 양측성 폐침윤과 산소화 장애이다.
  • 2. 기계 환기
    ARDS 환자의 약 80%는 기계 환기치료가 필요하다. 기계 환기 시 폐 팽창 시 원위폐포 공간의 신전을 제한하고, 호기 중 폐 수축 시 원위폐포공간의 허탈을 제한하는 것이 목표이다. 기계 환기에 의한 폐 손상으로는 불균질성, 용적손상, 허탈손상 등이 있다. 폐 보호 환기는 작은 일회 호흡량과 PEEP 사용으로 이러한 손상을 줄일 수 있다.
  • 3. 기타 치료
    ARDS 환자에서 수액 치료, 코르티코스테로이드 요법, 복와위 자세 등의 치료가 사용될 수 있다. 수액 치료는 양성 수액 균형을 피하는 것이 중요하며, 코르티코스테로이드는 중등도-중증 ARDS의 초기 치료 및 해결되지 않는 ARDS 치료에 사용할 수 있다. 복와위 자세는 고도 또는 불용성 저산소혈증 환자에게 도움이 될 수 있다.
  • 4. 불용성 저산소혈증
    ARDS 환자의 약 10-15%는 산소요법 및 기존 기계 환기에 반응이 없는 심한 저산소혈증을 보인다. 이러한 불용성 저산소혈증에 대해 PEEP 증가, 기도압방출환기, 고주파 진동환기, 체외막산소화(ECMO) 등의 구조 요법을 사용할 수 있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ARDS(급성 호흡 곤란 증후군)
    ARDS는 폐 손상으로 인한 급성 호흡 부전 상태로,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주요 증상으로는 호흡 곤란, 저산소혈증, 폐 경화 등이 있습니다. 치료를 위해서는 기계 환기, 약물 치료, 체외막 산소화 등의 방법이 사용됩니다. 특히 기계 환기는 ARDS 환자의 생존율 향상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부적절한 기계 환기는 오히려 폐 손상을 악화시킬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ARDS 환자 치료에는 다학제적 접근이 필요하며, 환자의 상태에 맞춰 개별화된 치료가 이루어져야 할 것입니다.
  • 2. 기계 환기
    기계 환기는 ARDS 환자의 생존율 향상에 매우 중요한 치료법입니다. 적절한 기계 환기를 통해 저산소혈증을 개선하고 폐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부적절한 기계 환기는 오히려 폐 손상을 악화시킬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ARDS 환자의 기계 환기 시 환자의 상태와 폐 기능을 면밀히 모니터링하며, 환기량, 압력, 산소 농도 등을 개별화된 방식으로 조절해야 합니다. 또한 기계 환기와 더불어 약물 치료, 체외막 산소화 등 다양한 치료법을 병행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통해 ARDS 환자의 예후 향상을 도모할 수 있을 것입니다.
  • 3. 기타 치료
    ARDS 치료에는 기계 환기 외에도 다양한 치료법이 활용됩니다. 약물 치료로는 스테로이드, 항생제, 혈관 수축제 등이 사용되며, 체외막 산소화(ECMO)는 중증 ARDS 환자의 생존율 향상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또한 체위 변경, 흉곽 압박, 체외 이산화탄소 제거 등의 보조적 치료법도 고려될 수 있습니다. 이처럼 ARDS 치료에는 다학제적 접근이 필요하며, 환자의 상태와 병인에 따라 적절한 치료법을 선택하고 병행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향후 ARDS 치료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와 발전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 4. 불용성 저산소혈증
    불용성 저산소혈증은 ARDS의 주요 증상 중 하나로, 폐 손상으로 인한 환기-관류 불균형으로 발생합니다. 이로 인해 혈액 내 산소 농도가 낮아지게 되며, 이는 심각한 저산소혈증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불용성 저산소혈증 치료를 위해서는 기계 환기를 통한 적절한 산소 공급이 필수적입니다. 또한 체위 변경, 흉곽 압박, 체외막 산소화 등의 보조적 치료법도 고려될 수 있습니다. 이와 더불어 폐 손상의 원인을 파악하고 이를 해결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불용성 저산소혈증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와 치료법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