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de of Mechanical ventilation, 인공호흡기 모드
본 내용은
"
Mode of Mechanical ventilation, 인공호흡기 모드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8.21
문서 내 토픽
  • 1. CMV (Continuous Mandatory Ventilation)
    CMV는 흡기 시 목표하는 기도내압을 정하여 정해진 흡기 시간에 도달할 때까지 기도내압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환기 모드입니다. 일회 환기량(tidal volume)은 일정하지 않지만, 압력에 의한 폐 손상(barotrauma)을 예방할 수 있어 ARDS 환자에게 유리합니다.
  • 2. VCV (Volume Controlled Ventilation)
    VCV는 흡기 시 목표하는 일회 환기량을 정하여, 정해진 시간동안 일정한 유량으로 설정된 용량을 전달하는 환기 모드입니다. 일정한 일회 환기량(tidal volume)이 유지되지만, 과도한 기도 압력이 발생되어 압력에 의한 폐 손상을 발생할 수 있습니다.
  • 3. ACMV (Assisted-Controlled Mechanical Ventilation)
    ACMV은 환자가 흡기를 시도하지만 충분하지 못할 경우에 인공호흡기과 환자의 흡기를 보조해주는 환기 방식입니다. 조절환기에서 보조 환기로 이행하는 과정에서 많이 사용되며, 환자가 자신의 호흡근육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 4. SIMV (Synchronized Intermittent Mandatory Ventilation)
    SIMV는 호흡근육의 훈련이 가능하며 인공호흡기로부터의 이탈을 촉진할 수 있지만, 호흡작업량이 증가하므로 호흡근이 피로하고 자발호흡이 적은 환자에게서 이산화탄소의 증가와 호흡성 산증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 5. PSV (Pressure Support Ventilation)
    PSV는 모든 호흡이 환자에 의해 triggering, cycling이 되는 환기 방식으로, 환자의 흡기 노력으로 음압이 발생하면 인공호흡기의 밸브가 열려 설정해 놓은 일정한 압력이 될 때까지 가스가 환자에게 전달됩니다.
  • 6. CPAP (Continuous Positive Airway Pressure)
    CPAP는 모든 호흡이 환자에 의해 triggering, cycling이 되는 환기 방식으로, PSV mode에서 PS를 뺀 PEEP만 유지하는 상태입니다. 산소화 유지를 위해 양압이 필요하지만 강제 환기나 보조환기가 필요하지 않은 경우 사용하며, FRC(기능성 잔기량) 회복하며, ventilator weaning의 마지막 단계에서 사용됩니다.
  • 7. Tidal Volume (일회 환기량/호흡량)
    정상 성인의 경우 5-8ml/kg의 일회 환기량이 권장되지만, 최근에는 폐포 손상을 예방하기 위해 5-7ml/kg를 권고하는 추세입니다. 폐질환 환자의 경우 질환 상태에 따라 다른 일회 환기량이 필요합니다.
  • 8. Respiration Rate (호흡수)
    성인의 경우 분당 12-14회/min으로 적용 후 ABGA 참고하여 Vt이나 RR을 조절합니다. 호흡수가 빠른 경우 호흡성 알칼리증, auto-PEEP, barotrauma 등이 발생할 수 있고, 느린 경우 저환기, 저산소증, 호흡일(WOB) 증가로 인한 호흡곤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9. Inspiratory Flow Rate (흡기 유속)
    흡기 유속은 일회 환기량, I:E ratio, 호흡수에 따라 결정됩니다. 일반적으로 40-50L/min이 적절하지만, 환자의 폐질환 상태에 따라 조절이 필요합니다. 흡기 유속이 높으면 환자가 불편감을 느낄 수 있고, 낮으면 air trapping으로 인한 auto-PEEP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10. Alarm 문제와 해결방법
    High pressure alarm은 airway obstruction, 기관지 경련, 기계 환기와의 부조화 등이 원인이며, 분비물 제거, 진해제 투여 등으로 해결할 수 있습니다. Low pressure alarm은 air leakage가 원인이며, 누출 부위를 해결해야 합니다. Low minute volume alarm은 air leakage 또는 얕은 호흡, 호흡수 변화가 원인이며, 누출 해결, 깊은 호흡 격려 등으로 해결할 수 있습니다. High respiratory alarm은 호흡수 증가로 인한 것으로, 진정제 투여 등으로 해결할 수 있습니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CMV (Continuous Mandatory Ventilation)
    CMV는 환자의 자발적인 호흡 없이 기계가 일정한 호흡량과 호흡수로 환자에게 강제적으로 호흡을 제공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환자의 자발적인 호흡이 없거나 매우 약한 경우에 사용되며, 기계가 환자의 호흡을 완전히 대신하게 됩니다. CMV는 호흡 부전 환자의 생명을 구하는 데 매우 효과적이지만, 장기간 사용할 경우 환자의 호흡근이 약해질 수 있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따라서 환자의 상태를 면밀히 관찰하며 점진적으로 환자의 자발적인 호흡을 회복시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 2. VCV (Volume Controlled Ventilation)
    VCV는 일정한 호흡량을 제공하는 기계 환기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환자의 폐 순응도와 기도 저항에 관계없이 일정한 호흡량을 유지할 수 있어 안정적인 환기가 가능합니다. 또한 호흡량을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어 과환기나 저환기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기도압이 높아질 경우 폐 손상의 위험이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VCV는 급성 호흡부전 환자나 중증 환자에게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지만, 환자의 상태에 따라 적절한 호흡량과 압력을 설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3. ACMV (Assisted-Controlled Mechanical Ventilation)
    ACMV는 환자의 자발적인 호흡과 기계 환기를 결합한 방식입니다. 환자가 자발적으로 호흡을 하면 기계가 이를 감지하여 추가적인 호흡량을 제공하고, 환자가 자발적인 호흡을 하지 않으면 기계가 일정한 호흡량과 호흡수로 환기를 제공합니다. 이 방식은 환자의 자발적인 호흡을 최대한 유지하면서도 필요한 경우 기계 환기를 제공할 수 있어 효과적입니다. 하지만 환자의 호흡 노력과 기계 환기의 조화를 잘 유지해야 하므로 숙련된 의료진의 관찰과 조절이 필요합니다.
  • 4. SIMV (Synchronized Intermittent Mandatory Ventilation)
    SIMV는 환자의 자발적인 호흡과 기계 환기를 결합한 방식으로, 환자가 자발적으로 호흡을 하면 이를 감지하여 추가적인 호흡량을 제공하고, 환자가 자발적인 호흡을 하지 않으면 기계가 일정한 호흡량과 호흡수로 환기를 제공합니다. SIMV는 환자의 자발적인 호흡을 최대한 유지하면서도 필요한 경우 기계 환기를 제공할 수 있어 효과적입니다. 또한 환자의 자발적인 호흡을 유도하여 호흡근의 약화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환자의 호흡 노력과 기계 환기의 조화를 잘 유지해야 하므로 숙련된 의료진의 관찰과 조절이 필요합니다.
  • 5. PSV (Pressure Support Ventilation)
    PSV는 환자의 자발적인 호흡을 지원하는 방식으로, 환자가 호흡을 시작하면 기계가 일정한 압력을 제공하여 환자의 호흡 노력을 보조합니다. 이 방식은 환자의 자발적인 호흡을 최대한 유지하면서도 필요한 경우 압력 지원을 제공할 수 있어 효과적입니다. 또한 환자의 호흡 노력을 유도하여 호흡근의 약화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환자의 호흡 노력과 기계 환기의 조화를 잘 유지해야 하므로 숙련된 의료진의 관찰과 조절이 필요합니다.
  • 6. CPAP (Continuous Positive Airway Pressure)
    CPAP는 지속적으로 일정한 압력을 제공하여 기도를 열어두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주로 수면 무호흡 환자나 급성 호흡부전 환자에게 사용되며, 기도 폐쇄를 방지하고 산소 공급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 CPAP는 기계 환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간단하고 비침습적이며, 환자의 자발적인 호흡을 유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장기간 사용할 경우 호흡근의 약화를 초래할 수 있으므로 주기적인 평가와 관리가 필요합니다.
  • 7. Tidal Volume (일회 환기량/호흡량)
    Tidal Volume은 한 번의 호흡으로 들어가고 나오는 공기의 양을 의미합니다. 적절한 Tidal Volume은 환자의 폐 기능과 호흡 상태를 반영하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일반적으로 성인의 경우 6-8 ml/kg의 Tidal Volume이 권장되지만, 환자의 상태에 따라 조절이 필요합니다. 과도한 Tidal Volume은 폐 손상을 초래할 수 있으며, 부족한 Tidal Volume은 저환기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Tidal Volume을 적절하게 설정하고 모니터링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8. Respiration Rate (호흡수)
    Respiration Rate는 1분 동안 환자가 호흡하는 횟수를 의미합니다. 정상 성인의 경우 12-20회/분의 호흡수가 권장되지만, 환자의 상태에 따라 조절이 필요합니다. 과도한 호흡수는 호흡 근육의 피로를 유발할 수 있으며, 부족한 호흡수는 저환기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Respiration Rate를 적절하게 설정하고 모니터링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기계 환기 중인 환자의 경우 Respiration Rate를 주기적으로 평가하여 환자의 상태 변화에 따라 조절해야 합니다.
  • 9. Inspiratory Flow Rate (흡기 유속)
    Inspiratory Flow Rate는 환자가 흡기할 때의 공기 유속을 의미합니다. 적절한 Inspiratory Flow Rate는 환자의 호흡 노력을 최소화하고 폐 손상을 방지하는 데 중요합니다. 일반적으로 성인의 경우 60-100 L/min의 Inspiratory Flow Rate가 권장되지만, 환자의 상태에 따라 조절이 필요합니다. 과도한 Inspiratory Flow Rate는 폐 손상을 초래할 수 있으며, 부족한 Inspiratory Flow Rate는 환자의 호흡 노력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Inspiratory Flow Rate를 적절하게 설정하고 모니터링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10. Alarm 문제와 해결방법
    기계 환기 장치에서 발생하는 알람은 환자의 상태 변화나 장치의 오작동을 알려주는 중요한 신호입니다. 알람 문제를 적절히 해결하지 않으면 환자의 안전과 예후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알람 문제의 해결을 위해서는 먼저 알람의 원인을 정확히 파악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환자의 생체 징후, 기계 환기 설정, 회로 상태 등을 면밀히 확인해야 합니다. 그리고 원인에 따라 적절한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저압 알람의 경우 기도 폐쇄나 누출 문제를 해결하고, 고압 알람의 경우 Tidal Volume이나 호흡수를 조절해야 합니다. 또한 알람 설정 값을 환자의 상태에 맞게 적절히 조정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이와 같이 알람 문제에 대한 체계적인 접근과 해결 방법을 숙지하는 것이 환자 안전을 위해 필수적입니다.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