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5개
-
중환자실 환자의 억제대 사용에 대한 윤리적 고찰2025.01.031. 중환자실 환자의 억제대 사용 중환자실에 입원한 환자들 중 대부분이 L-tube가 연결되어 있었으며, 식사도 L-tube를 통해 이루어졌다. 수술 후 회복을 위해 중환자실에 오는 환자들 중 주로 억제대를 사용한 환자들은 의식이 drowsy 및 stupor 상태였다. 환자 중 한 명은 억제대를 하지 않을 때 L-tube와 nasal cannula를 제거하려고 하여, 다리, 흉부, 손목에 억제대를 적용하였다. 이러한 억제대 사용은 환자의 자율성과 존엄성을 침해할 수 있는 윤리적 문제를 야기한다. 따라서 환자의 건강과 안전을 우선시하...2025.01.03
-
노인 임상실습일지2025.05.031. 감염관리 실습 첫날 실습생들끼리 모여 감염관리 교육에 대해 들었다. 가장 감염의 기본적인 것은 손 씻기이며 손 위생을 수행해야 하는 시점은 투약 시, 수술 시술 전, 후, 청결. 무균 처치 전, 체액이나 분비물에 노출될 위험이 있는 행위를 하고 난 후 , 환자 직접 접촉 전, 후 , 환자와 직접 근접한 무생물환경을 접촉한 후에는 손 위생이 중요하며 수시로 자기 위생 관리를 해야 한다고 하셨다. 2. 노인 약물 복용 고령자 노인들은 처방받은 약 뿐만 아니라 건강에 좋다는 건강기능식품을 함께 복용하기 때문에 올바른 약물 복용법에 ...2025.05.03
-
법적 윤리적 사례보고서2025.05.061. 치매 여성 목욕 시 대처방법 72세 치매 여성이 목욕을 거부하고 폭력적인 행동을 보일 때, 간호사는 대상자의 지각 정도를 사정하고 안전한 환경을 조성하며, 처방된 약물을 투여하고 수치심을 유발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또한 대상자가 할 수 있는 일을 단계적으로 제시하고 목욕 후 피부 관리를 해주어야 한다. 2. 치매 여성 간 물건 분쟁 시 대처방법 65세 치매 여성과 72세 여성 간 물건 분쟁이 발생했을 때, 간호사는 두 환자를 안전한 곳으로 옮기고 외상 여부를 확인하며, 처방된 진정제를 투여하고 자극이 적은 환경을 유지해야...2025.05.06
-
불안, 억제대, 낙상 (정의, 원인, 치료, 약물)2025.01.231. 불안 불안증은 불안장애라고도 하며, 통제할 수 없는 불안감이 지속되어 신체적 혹은 정신적인 증상으로 나타나 정상적인 일상생활이 어렵게 되는 질환입니다. 불안장애의 원인은 다양하며 복합적일 수 있어 정확하게 규정하기 어렵습니다. 이 환자의 경우 전신의 고통, 지속적인 고열 등 현재 자신의 증상과 입원해 있다는 사실에서 불안감을 느끼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불안의 치료는 원인을 찾아내어 도움을 주거나, 불안이 촉발되는 상황이나 계기를 아는 것으로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증상이 심한 경우에는 약물치료를 병행하며, 항불안제, 벤조디...2025.01.23
-
A+ 간호수행보고서 억제대 (Restraint Application)2025.01.121. 억제대 (Restraint Application) 중증도가 높은 중환자실이나 인지상태가 저하된 환자들이 많은 요양병원에서는 벨트형 억제대부터 시작해서 발목, 손목, 팔꿈치 등 여러 부위에 적용하는 다양한 형태의 억제대를 쉽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억제대로 인해 손상도 빈번하게 발생하는데, 부작용으로는 자상, 부종, 찰과상, 발적 등의 신체적 손상 외에도 심리적 손상, 존엄성의 상실, 사회적 고립감, 사지로의 관류 감소, 욕창, 변비, 실금, 구축 및 신경혈관의 기능 이상, 심지어 사망까지도 있습니다. 이러한 부작...2025.01.12
-
간호실무윤리 윤리적딜레마2025.04.271. 간호실무윤리 간호실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윤리적 딜레마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구체적으로 억제대 사용과 관련된 윤리적 문제를 다루고 있으며, 설명의무, 선행의 원리, 온정적 간섭주의 등 윤리 원칙을 적용하여 분석하고 있습니다. 또한 관련 법적 문제와 해결 방법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1. 간호실무윤리 간호실무윤리는 간호사가 환자 돌봄 과정에서 직면하는 다양한 윤리적 딜레마를 해결하고 환자의 권리와 안전을 보장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간호사는 환자의 생명과 건강을 최우선으로 여기며, 환자의 자율성과 존엄성을 존중하...2025.04.27
-
간호관리학 윤리적 의사결정보고서2025.04.281. 윤리적 의사결정 이 사례에서는 환자의 자율성과 간호사의 의무 사이의 윤리적 딜레마가 발생합니다. 환자는 억제대 사용을 원하지 않지만, 간호사는 다른 환자와 자신의 안전을 위해 억제대 사용이 필요하다고 판단합니다. 이에 대한 윤리적 쟁점으로는 자율성, 악행금지, 선행, 정의, 정직, 신의, 성실 등이 있습니다. 간호사는 충분한 설명과 동의를 거쳐 최소한의 억제대 사용을 고려해야 하며, 환자의 자율성을 존중하면서도 다른 환자와 자신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합니다. 1. 윤리적 의사결정 윤리적 의사결정은 매우 중요...2025.04.28
-
ICU 위암환자 병동술기 관찰일지2025.01.151. 중심 정맥관 삽입 및 드레싱 중심 정맥관 삽입 시 멸균 가운과 장갑을 착용하고, 삽입 부위를 소독하며, 카테터를 고정하고 드레싱을 한다. 드레싱 교환 시에도 멸균 장갑을 착용하고 클로로헥시딘과 포비돈으로 드레싱을 한다. 이를 통해 감염을 예방할 수 있다. 2. 의식사정 및 동공반사 반응(GCS & Pupil reflex) 대상자의 의식 수준을 확인하기 위해 눈 반응, 언어 반응, 운동 반응을 평가하고, 동공 반사를 관찰한다. 이를 통해 대상자의 신경학적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3. 욕창 예방 및 치료 간호 욕창 발생 위험이 ...2025.01.15
-
정신간호학실습 청주의료원, 병동관리 현황 보고서2025.05.161. 치료적 환경 병동 내에는 돌출된 부분이 없게 환경이 조성되어져 있으며 병동의 창은 일정한 정도만 열리게 하여 위험한 상황을 막고 있다. 다른 병원과 비교했을 때 복도와 병실에 창문이 넓게 나있어 병동 내로 햇빛이 많이 들어와 환자들이 일주기리듬을 유지하는 것을 돕는다. 비상구는 4개로 4번 출구는 소방관분들이 올라오는 곳이고, 1 ,2 ,3번 출구는 대피로로 쓰이고 있다. 간호사 스테이션에서는 CCTV를 통해 병동의 상황을 볼 수 있으며, 창이 아크릴로 되어있어 깨지지 않고, 문은 잠가두고 키로만 열 수 있다. 화장실은 안에서...2025.05.16
-
치매환자 간호과정2025.05.021. 지남력 부족과 관련된 급성혼돈 80세 여성 환자 조씨는 오늘 오전에 응급실을 통해 중환자실에 입원하였다. 내원 당시 의식이 매우 혼돈상태였고, 묻는 말을 잘 이해하지 못하여 횡설수설하였으며, 하품을 계속했다고 기록되어 있다. 뇌컴퓨터 촬영 결과 후두부의 작은 뇌출혈이 의심되어 중환자실에 입원된 상태이다. 입원 후 5% DW 정맥주사로 수액치료를 시작했으나 갑작스레 정맥주사를 잡아 빼고, 안절부절 못하여 침대 밖으로 나오려고 해 의사의 처방에 따라 손목 억제대를 적용한 상태이다. 벤조다이아제핀 진정제를 투여받은 후, 안정이 되었...2025.05.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