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3개
-
전해질 수치2025.01.171. 저나트륨혈증 저나트륨혈증은 구토 등에 의한 나트륨 소실이나 수분 과다 섭취로 인해 나타날 수 있고, 신부전이나 이뇨제로 인한 나트륨 배설 증가, 애디슨병, SIADH에 의해 나타나기도 한다. 저나트륨혈증일 경우 혈액의 삼투압이 낮아져 세포 내 수분이 혈관으로 이동하고 전체적인 혈장량이 증가하게 되어 부종이 나타날 수 있고, 뇌세포로 수분이 이동하여 두개내압이 상승하면서 두통 및 신경학적 증상이 나타나고 악화될 경우 뇌 탈출이나 혼수, 사망에 이를 수 있다. 저나트륨혈증의 교정에서는 나트륨을 보충하고 수분을 제한하는 것이 기본적...2025.01.17
-
신장질환 환자의 식사요법2025.01.281. 신장질환 식사요법 신장암 환자의 경우 신적출술 후 특별한 식사요법은 필요하지 않지만, 하나 남은 신장에 질병이 발생하면 신장 기능이 급격하게 나빠질 위험이 있습니다. 당뇨, 고혈압, 심부전, 신부전 등 기존 내과적 질환이 있거나 고령의 환자에서는 신기능 저하가 더욱 두드러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들 환자에게는 적절한 식사요법과 영양관리가 필요합니다. 2. 나트륨 섭취 관리 신장질환 환자에게는 염분 섭취를 제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지나친 염분 섭취는 체액 균형을 방해하여 부종 및 혈압 상승의 원인이 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2025.01.28
-
인체구조와기능 심장(심장의 전기적 활동)2025.05.071. 심장의 전기적 활동 심장은 근육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수축과 이완을 반복하는 펌프 역할을 합니다. 심장 근육은 스스로 수축과 이완을 할 수 없으며, 전기적 신호를 받아야 합니다. 심장의 전기적 활동은 크게 안정막 전위와 탈분극으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 안정막 전위는 자극이 오기 전 편안한 상태로, 세포막이 칼륨(K)만 투과하여 세포 내부가 음전하를 띄게 됩니다. 탈분극은 전기적 신호가 오면 세포막의 나트륨(Na) 투과성이 증가하여 세포가 흥분하는 현상입니다. 1. 심장의 전기적 활동 심장의 전기적 활동은 매우 중요한 생리학적 ...2025.05.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