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9개
-
이뇨제, 네프론, 재흡수, 분비, 작용부위2025.05.021. 이뇨제 이뇨제는 사구체의 여과를 증가시키고 소변 생산을 활발하게 하는데, 이는 신장에서 나트륨과 물의 재흡수를 억제하기 때문이다. 이뇨제의 임상적 적응증은 무뇨, 고혈압, 부종의 관리이며, 종류에는 삼투제, 탄산탈수효소억제제, Thiazide계 이뇨제, 루프이뇨제, 칼륨보존이뇨제, 항이뇨호르몬 길항제 등이 있다. 2. 신장 생리 신장에서 소변은 여과, 재흡수, 분비 과정을 거쳐 생성된다. 네프론은 소변 생성의 기본 단위로, 사구체, 보먼주머니, 요세관으로 구성된다. 사구체에서 여과된 소변은 근위세뇨관, 헨레고리, 원위세뇨관, ...2025.05.02
-
hydrochlorothiazide 약물2025.05.011. hydrochlorothiazide 약물 hydrochlorothiazide는 thiazide 유도체로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이뇨제입니다. 이 약물은 원위세뇨관에 작용하여 Na+와 Cl-의 흡수를 막아 Na+와 Cl-의 배출을 증가시키고, 삼투압의 평형을 유지하기 위해 수분의 배출도 증가됩니다. 주요 적응증은 고혈압, 악성고혈압, 심성부종, 신성부종, 간성부종, 월경전긴장증 등입니다. 주요 부작용으로는 저칼륨혈증, 저나트륨혈증, 고뇨산혈증, 고칼슘혈증, 고혈당증, 고지혈증 등이 있습니다. 2. 저칼륨혈증 hydrochlo...2025.05.01
-
[성인간호학] 전해질불균형 대상자 간호 산염기불균형 대상자 간호 퀴즈 답변2025.01.041. 전해질 불균형 대상자 간호 고혈압으로 thiazide를 복용하고 있는 52세 남자환자가 저염식이치료를 하다가 어지러움, 피로감을 주호소로 내원하였다. 내원 2일 전부터 오심, 식욕부진, 두통, 호흡곤란 증상이 나타났다. 검사 결과 Na+ 115mEq/L, K+ 3.7, BUN/Cr 42/2.8mg/dl, urine Na+ 8mmol/L, Hg 17g/dl, Urine SG 1.03이었다. 이를 통해 thiazide 이뇨제 투여로 인한 저나트륨혈증이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른 간호중재로는 thiazide 이뇨제 중단, 3...2025.01.04
-
[성인간호] 요로계 해부생리 및 약물 보고서2025.05.151. 요로계 해부생리 요로계는 소변을 생성하는 두 개의 신장(kidney), 신장에서 방광으로 소변을 운반하는 두 개의 요관(ureter), 소변을 저장하고 배출하는 방광(bladder) 및 체외로 소변을 배출시키는 요도(urethra)로 구성된다. 신장과 요관을 상부요로(upper tract)라고 하고, 방광과 요로를 하부요로(lower tract)라고 한다. 신장은 사구체여과, 세뇨관 재흡수와 분비과정을 거쳐 하루 약 1,500ml 정도 소변을 생성한다. 신장은 또한 체내 항상성 유지, 혈압조절, 대사 기능 등을 수행한다. 2....2025.05.15
-
심혈관계 약물 정리 레포트2025.01.131. 항부정맥제 항부정맥제는 심장을 전기 생리학적으로 안정시키는 약물로 보통 심근 이온통로(Na,K,Ca 등)에 작용하는 기전입니다. 불응기를 길게 만들고 전도 속도를 감소시켜 회귀 현상을 억제하는 작용 기전을 가지고 있습니다. 약물은 Class I, II, III, IV, V 등으로 분류되며 각 계열별로 대표적인 약물과 적응증, 용법, 부작용 등이 정리되어 있습니다. 2. 승압제 & 강심제 승압제는 평균동맥 혈압을 높이는 약물로 혈관을 수축시키거나 심장 근육의 힘을 증가시켜 혈압을 높입니다. 강심제는 심근 수축력을 높이는 약물입니...2025.01.13
-
약리학 제 11장 비뇨 생식기계 약물2025.01.171. 이뇨제 이뇨제는 소변량과 소변 배출 빈도를 증가시키는 약물입니다. Thiazide 이뇨제는 먼쪽곱슬세관의 수송체계를 억제하여 칼슘 재흡수를 촉진하고 칼륨 손실을 유발합니다. Loop 이뇨제는 콩팥세관고리 오름다리에서 공동수송을 억제하여 칼슘 배설을 증가시킵니다. 이뇨제 사용 시 저칼륨혈증, 저마그네슘혈증, 고칼슘혈증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주기적인 검사가 필요합니다. 2. 전해질 및 산-염기 불균형 치료제 전해질 및 산-염기 불균형 치료제는 저나트륨혈증, 고나트륨혈증, 저칼륨혈증, 고칼륨혈증, 산증, 알칼리증 등의 ...2025.01.17
-
고혈압 치료제 정리본2025.04.251. 고혈압 치료제 고혈압 치료제는 정상혈압 120/80mmHg 미만을 목표로 하며, 적어도 2회 이상 혈압을 측정하여 140/90mmHg 이상일 경우 진단한다. 고혈압의 90%는 본태성이며, 10%는 다른 질환의 2차성이다. 심박출량은 심박동수와 1회 박출량의 곱으로 계산된다. 고혈압은 말초 저항과 혈액량 감소로 인해 발생하며, 생활 습관 개선이 필요하다. 약물 치료는 환자의 위험 요인과 동반 질환, 혈압 상승 정도에 따라 개별적으로 선택하며, 1차 약물과 2차 약물로 구분된다. 2. 이뇨제 이뇨제는 혈액 용적 감소에 기반을 두는...2025.04.25
-
수분과 전해질 관련 약물 투여 시2025.01.241. 체액의 분포 체액의 1/3은 세포 외액이며, 이 중 1/5은 혈장, 4/5는 간질액이다. 체액의 2/3은 세포 내액이며 거의 변동이 없다. 체액 전해질에는 Na, Cl, K, P, Mg, HCO3가 포함되며, 세포 외액에는 K>P>Mg, 세포 내액에는 Na>Cl>HCO3가 존재한다. 비전해질에는 포도당, 요소, 크레아티닌이 포함된다. 2. 삼투압에 의한 이동 삼투압은 세포 내액과 세포 외액 간 용질 농도 차이에 따라 형성된다. 혈장 삼투질 농도(Posm)는 2 x 혈장 [Na+] + [Glucose]/18 + [BUN]/2.8...2025.01.24
-
(A+자료) 성인간호학 전해질불균형 요점정리 (최대 효율 암기 가능)2025.05.051. 저나트륨혈증 저나트륨혈증의 범위는 135mEq/l 이하이며, 주요 원인으로는 항이뇨호르몬 부적절 분비 증후군(SIADH), 수분 부족, 구토, 설사, 발한, 화상, 회장루, 상처나 배액관 있는 환자, 위장관계 흡인 환자, 애디슨병 환자, 금식상태에서 정맥 수액 받는 환자, 이뇨제 사용, 알도스테론 결핍, 신장질환, 암, 울혈성 심부전, 간경화증, 신부전 등이 있다. 증상으로는 쇼크, 오심, 구토, 설사, 장음 증가, 복부경련, 근육허약, 이완기혈압 감소, 빈맥, 체위성 저혈압, 약한 맥박, 혈압 상승, 강하고 빠른 맥박, 호흡...2025.05.05
-
약 정리 - 이뇨제, 혈압약, 고지혈증약, 심장약 등등 (간호학생, 신규간호사 추천)2025.01.231. 이뇨제 (Diuretics) 신장에서 소변(물, 전해질, 노폐물 포함)의 배설을 증가시키는 약물. 심장기능상실(심부전, hert failure, HF), 내분비장애(endocrine disturbance), 신장질환 및 간질환 : 체액과부하 혹은 부종(edema, 과다한 체액정체)을 유발. 고혈압 : 항고혈압약물, 이뇨제 병용 →고리이뇨제, thiazide계 이뇨제. 유해반응 : 전해질 및 수분장애, hypokalemia, hypotension, 피부발진, 간, 콩팥 장애, 고용량 장기 사용 시 이독성. 2. 고지질혈증약물 고...2025.0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