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약 정리 - 이뇨제, 혈압약, 고지혈증약, 심장약 등등 (간호학생, 신규간호사 추천)
문서 내 토픽
-
1. 이뇨제 (Diuretics)신장에서 소변(물, 전해질, 노폐물 포함)의 배설을 증가시키는 약물. 심장기능상실(심부전, hert failure, HF), 내분비장애(endocrine disturbance), 신장질환 및 간질환 : 체액과부하 혹은 부종(edema, 과다한 체액정체)을 유발. 고혈압 : 항고혈압약물, 이뇨제 병용 →고리이뇨제, thiazide계 이뇨제. 유해반응 : 전해질 및 수분장애, hypokalemia, hypotension, 피부발진, 간, 콩팥 장애, 고용량 장기 사용 시 이독성.
-
2. 고지질혈증약물고지혈증 : 관상동맥질환의 주요 발생위험인자, 치료-약물치료(무기한, 중단 시 지질농도 원상복귀) + 생활방식 변화. HMG-CoA 환원효소 억제제 = Statin계 약물, Bile Acid-binding Resins (담즙산 결합 수지), Fibric acid 유도체, Niacin(나이아신), Ezetimibe. 유해반응 : 변비, 위가스팽만, 치질의 악화, 복통, 구역, 담석증, 담낭염, 피부혈관확장, 위장관운동, 위산분비↑, 혈장 fibrinogen저하 →혈전증 초래.
-
3. 항고혈압 약물고혈압(hypertension) 140/90mmHg 이상, 90% 원인모름→본태성 고혈압, 10% 원인이 다른 질병→속발성 고혈압(2차성 고혈압). 비약물적 관리 : 식이조절(나트륨 섭취↓), 체중감량, 스트레스 감소, 규칙적인 유산소 운동, 절주, 금연. 약물요법 : 이뇨제나 베타 아드레날린 수용체 차단제 먼저 사용, ACEI, ARB, BB, CCB 고려 or 병용. 유해반응 : 기립저혈압(orthostatic hypotension), 체위저혈압.
-
4. 항협심증약물과 혈관확장약물협심증(angina) : 관상동맥 내에 죽상동맥경화판 형성. 수술중재+약물치료+생활방식 개선, 아스피린, 고지혈증약물-예방적 투여. Nitrates(질산염) : 혈관(정맥) 확장, 관상동맥 확장, 대동맥 확장. 칼슘통로차단제 : 동맥의 평활근 확장, 심장의 작업부하↓, 심장 박동수↓. 유해반응 : 두통, 어지러움, 허약, 안절부절, 저혈압, 홍조, 홍반.
-
5. 항응고약물과 혈전용해약물혈전(thrombus) : 혈소판+섬유소+적혈구. 항응고약물 : Wafarin, Heparin. 항혈소판약물 : 아스피린, ADP 수용체 차단제, glycoprotein 수용체 차단제. 혈전용해약물 : alteplase recombinant, streptokinase, tenecteplase, urokinase. 유해반응 : 출혈, 저칼륨혈증, 저칼슘혈증, 저마그네슘혈증, 고칼륨혈증.
-
6. 강심제와 수축촉진제심장기능상실(심장기능 저하) : 몸의 조직이 요구하는 혈액을 심장이 충분하게 박출하지 못하는 상태. 강심제 : digoxin, milrinone. 수축촉진제 : milrinone, dobutamine. 유해반응 : 두통, 구역, 구토, 허약, 졸림, 시력장애, 부정맥, 식욕부진, digitalis 독성.
-
7. 항부정맥약물부정맥(=리듬장애, 불규칙한 심장박동) : 심장박동의 속도 혹은 리듬 면에서의 전기적인 장애 혹은 불규칙한 상태. Class Ⅰ 나트륨통로 차단제 - Quinidine, Lidocaine, Class Ⅱ 베타-아드레날린 차단제 - Propranolol, Class Ⅲ 칼륨통로 차단제 - Amiodarone, Class Ⅳ 칼슘통로 차단제 - Verapamil. 유해반응 : 부정맥유발효과, 무과립구증, 저혈압, 심장기능상실, 키니네중독증.
-
1. 이뇨제 (Diuretics)이뇨제는 신장에서 수분과 전해질 배출을 증가시켜 체내 수분량을 조절하는 약물입니다. 이뇨제는 고혈압, 울혈성 심부전, 부종 등의 치료에 널리 사용됩니다. 이뇨제는 체내 수분과 전해질 균형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부작용으로 전해질 불균형, 탈수, 저혈압 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의사의 처방에 따라 적절한 용량을 복용하고 정기적인 혈액 검사를 통해 모니터링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이뇨제 복용 시 식이 조절과 함께 규칙적인 운동 등의 생활 습관 개선도 병행되어야 합니다.
-
2. 고지질혈증약물고지질혈증은 혈중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방 수치가 높은 상태를 말합니다. 고지질혈증은 심혈관 질환의 주요 위험 요인이므로 적절한 치료가 필요합니다. 고지질혈증 치료에는 스타틴, 파이브레이트, 콜레스테롤 흡수 억제제 등 다양한 약물이 사용됩니다. 이 약물들은 혈중 지질 수치를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지만, 근육병증, 간 기능 장애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의사의 처방에 따라 정기적인 모니터링과 함께 생활 습관 개선이 병행되어야 합니다.
-
3. 항고혈압 약물고혈압은 심혈관 질환의 주요 위험 요인이므로 적절한 치료가 필요합니다. 항고혈압 약물에는 이뇨제, ACE 억제제, 안지오텐신 II 수용체 차단제, 칼슘 채널 차단제, 베타 차단제 등이 있습니다. 이 약물들은 각각 다른 기전으로 혈압을 낮추며, 환자의 상태에 따라 단독 또는 병용 투여됩니다. 항고혈압 약물은 효과적이지만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의사의 처방에 따라 복용하고 정기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합니다. 또한 생활 습관 개선, 규칙적인 운동, 스트레스 관리 등의 병행이 중요합니다.
-
4. 항협심증약물과 혈관확장약물협심증은 관상동맥 질환으로 인한 심근 허혈 증상입니다. 항협심증 약물에는 질산염 제제, 베타 차단제, 칼슘 채널 차단제 등이 있습니다. 이 약물들은 관상동맥 확장, 심근 산소 수요 감소 등의 기전으로 협심증 증상을 완화시킵니다. 혈관확장약물에는 질산염 제제, 칼슘 채널 차단제, 혈관이완제 등이 있으며, 이는 혈관을 확장시켜 혈류를 개선합니다. 이 약물들은 협심증, 고혈압, 말초혈관 질환 등의 치료에 사용됩니다. 부작용으로 두통, 홍조, 저혈압 등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의사의 처방에 따라 복용하고 모니터링해야 합니다.
-
5. 항응고약물과 혈전용해약물항응고약물은 혈액 응고를 억제하여 혈전 생성을 예방하는 약물입니다. 와파린, 하파린, 직접 경구 항응고제 등이 대표적입니다. 이 약물들은 뇌졸중, 심근경색, 심부정맥 혈전증 등의 예방과 치료에 사용됩니다. 혈전용해약물은 혈전을 용해시켜 혈류를 회복시키는 약물로, 급성 심근경색이나 뇌졸중 치료에 사용됩니다. 이 약물들은 출혈 위험이 높으므로 의사의 처방에 따라 복용하고 정기적인 검사와 모니터링이 필요합니다. 또한 생활 습관 개선과 병행 치료가 중요합니다.
-
6. 강심제와 수축촉진제강심제는 심근 수축력을 증가시켜 심박출량을 높이는 약물입니다. 대표적으로 디기탈리스 제제, 교감신경 작용제 등이 있습니다. 이는 울혈성 심부전 치료에 사용됩니다. 수축촉진제는 심근 수축을 직접 촉진하여 혈압과 심박출량을 높이는 약물로, 저혈압, 쇼크 등의 치료에 사용됩니다. 이 약물들은 심장 부정맥, 심근 허혈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의사의 처방에 따라 복용하고 모니터링해야 합니다. 또한 기저 질환에 대한 종합적인 치료가 필요합니다.
-
7. 항부정맥약물부정맥은 심장의 전기적 활동이 정상적이지 않은 상태를 말합니다. 항부정맥약물은 심장의 전기적 활동을 정상화시켜 부정맥을 치료하는 약물입니다. 대표적으로 Class I, II, III, IV 약물 등이 있습니다. 이 약물들은 부정맥의 유형과 환자의 상태에 따라 선택되며, 부작용으로 서맥, 저혈압, 부정맥 악화 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의사의 처방에 따라 복용하고 정기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합니다. 또한 생활 습관 개선, 기저 질환 관리 등의 병행 치료가 중요합니다.
약 정리 - 이뇨제, 혈압약, 고지혈증약, 심장약 등등 (간호학생, 신규간호사 추천)
본 내용은 원문 자료의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1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