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간호학] 전해질불균형 대상자 간호 산염기불균형 대상자 간호 퀴즈 답변
본 내용은
"
[성인간호학] 전해질불균형 대상자 간호 산염기불균형 대상자 간호 퀴즈 답변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2.20
문서 내 토픽
  • 1. 전해질 불균형 대상자 간호
    고혈압으로 thiazide를 복용하고 있는 52세 남자환자가 저염식이치료를 하다가 어지러움, 피로감을 주호소로 내원하였다. 내원 2일 전부터 오심, 식욕부진, 두통, 호흡곤란 증상이 나타났다. 검사 결과 Na+ 115mEq/L, K+ 3.7, BUN/Cr 42/2.8mg/dl, urine Na+ 8mmol/L, Hg 17g/dl, Urine SG 1.03이었다. 이를 통해 thiazide 이뇨제 투여로 인한 저나트륨혈증이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른 간호중재로는 thiazide 이뇨제 중단, 3% NaCl 투여, 라식스 투여, 저염식이 중단 및 적절한 식이조절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2. 산염기 불균형 대상자 간호
    58세 김OO 남자 환자가 의식저하로 응급실에 내원하였다. 이 환자는 type 2 DM 및 만성폐쇄성폐질환(COPD) 환자로, 인슐린 투약을 잊고 거른 상태에서 밀크쉐이크와 햄버거를 먹었다. 내원 시 활력징후와 검사 결과를 보면 호흡성 산증과 대사성 산증이 복합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에 따른 간호중재로는 기관삽관 및 기계환기, 칼륨 투여, 당뇨병 케톤산증 치료, COPD 관리 등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전해질 불균형 대상자 간호
    전해질 불균형은 건강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상태이므로, 이를 관리하는 간호사의 역할이 매우 중요합니다. 간호사는 전해질 불균형의 원인을 파악하고, 적절한 중재를 통해 균형을 회복시키는 것이 핵심입니다. 이를 위해 간호사는 대상자의 증상과 징후를 면밀히 관찰하고, 혈액검사 결과를 분석하여 전해질 수치의 변화를 모니터링해야 합니다. 또한 수분 섭취와 배설, 식이 등 생리적 요인을 고려하여 전해질 불균형의 원인을 파악하고, 이에 맞는 간호중재를 계획해야 합니다. 이와 함께 대상자와 보호자에게 전해질 불균형의 원인과 증상, 관리 방법 등을 교육하여 이해도를 높이고, 협력적인 관계를 형성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간호사는 전해질 불균형 대상자의 건강 회복을 위해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을 바탕으로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간호를 제공해야 할 것입니다.
  • 2. 산염기 불균형 대상자 간호
    산염기 불균형은 체내 pH 수준의 변화로 인해 발생하는 심각한 건강 문제로, 이를 관리하는 간호사의 역할이 매우 중요합니다. 간호사는 대상자의 증상과 징후를 면밀히 관찰하고, 혈액검사 결과를 분석하여 산염기 상태를 정확히 파악해야 합니다. 이를 바탕으로 산염기 불균형의 원인을 파악하고, 이에 맞는 적절한 간호중재를 계획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산증의 경우 중탄산나트륨 투여, 호흡 관리 등의 중재가 필요하며, 염기증의 경우 산 투여, 수분 관리 등의 중재가 필요합니다. 또한 대상자와 보호자에게 산염기 불균형의 원인과 증상, 관리 방법 등을 교육하여 이해도를 높이고, 협력적인 관계를 형성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간호사는 산염기 불균형 대상자의 건강 회복을 위해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을 바탕으로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간호를 제공해야 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