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37개
-
ASD 간호 내러티브 및 SOAPIE(낙상위험성)2025.05.161. 심방중격결손(ASD) 심방 중격 결손은 우심방과 좌심방 사이의 벽(심방 중격)의 결손('구멍')을 통해 혈류가 새는 기형을 의미합니다. 동맥혈은 폐순환을 지나서 좌심방으로 돌아오는데, 그중 일부가 심방 중격 결손을 통해 우심방으로 유입되고 우심실을 거쳐서 다시 폐순환으로 들어갑니다. 그 결과 우심방과 우심실의 부담이 커지며 폐혈류량이 증가합니다. 결손 부위가 크고, 나이가 많아질 때까지 결손을 수술하지 않으면 폐동맥 압력이 높아지는 폐동맥 고혈압이 생길 수 있습니다. 심하면 심한 폐동맥 고혈압이 비가역적으로 고정되는 아이젠멩거...2025.05.16
-
호흡부전 respiration failure2025.05.131. Respiratory Failure 호흡부전은 호흡계의 필수 구성 요소 중 하나 이상의 기능 장애로 인한 부적절한 가스 교환 증후군입니다. PaO2가 60mmHg 미만이거나 PaCO2가 50mmHg를 초과하는 경우 호흡부전으로 정의됩니다. 호흡부전에는 저산소성 호흡부전과 고탄산혈증성 호흡부전의 두 가지 유형이 있습니다. 2. Indications for Mechanical Ventilation 기계 환기가 필요한 경우는 심폐 정지, 빈호흡 또는 서호흡과 호흡 피로, 난치성 저산소혈증, 의식 저하로 인한 기도 보호 능력 상실, ...2025.05.13
-
기계환기(인공호흡) 발표자료 PPT2025.01.241. 기계환기 기계환기는 폐포와 대기 사이의 산소와 이산화탄소 이동을 전부 또는 일부 시행하는 과정입니다. 적응증으로는 환기 장애, 호흡근육 기능장애, 호흡근육 피로, 흉벽의 이상, 신경근육 질환, 호흡중추의 이상, 기도 폐쇄 및 저항 증가, 산소화 장애, 치료에 반응 없는 저산소증, 호기말양압이 필요한 경우, 과도한 호흡일 등이 있습니다. 2. 기계환기 적응증 기계환기의 적응증은 호흡수 35회/분 이상, 치명적인 저산소혈증(PaO2 60mmHg with FiO2 60%, PaO2/FiO2 200mmHg 이하), 심각한 산혈증(pH...2025.01.24
-
인공호흡기 모드2025.01.221. 인공호흡기 모드 인공호흡기는 생리적인 환기를 유지하고 환기와 산화를 증진시키기 위해 사용됩니다. 주요 모드로는 CMV(기계 강제 환기), PRVC(압력 조절 용적 제어), SIMV(동시적 간헐적 강제환기), PSV(압력 보조 환기), PEEP(호기말 양압), CPAP(지속적 양압 환기) 등이 있습니다. 각 모드는 환자의 상태와 필요에 따라 선택되며, 장단점이 있습니다. 1. 인공호흡기 모드 인공호흡기 모드는 환자의 상태와 필요에 따라 적절히 선택되어야 합니다. 환자의 호흡 능력, 폐 기능, 산소 요구량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모...2025.01.22
-
Home ventilator 가정용 인공호흡기 (적응증, Ventilator mode, Vent 알람, 대응법, Home ventilator 간호)2025.01.281. Home ventilator 가정용 인공호흡기 Home ventilator 가정용 인공호흡기는 무호흡 상태, 호흡부전, 산소 이산화탄소 수준 유지가 어려운 경우, 장기간 자동 환기가 필요한 경우, 뇌압 상승 및 심장질환 환자의 호흡 부담 감소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주요 모니터링 지표로는 압력, 평균압, PEEP, 일회 호기량, 일회 흡기량, 분당 호흡수, 최대 흡기압 등이 있다. 2. Ventilator mode 자발 호흡이 없는 경우 CMV(Controlled Mandatory Ventilation) 모드를 사용하며, 자...2025.01.28
-
Ventilator 오작동 시 점검사항2025.01.241. Ventilator 오작동 시 점검사항 Ventilator 오작동 시 점검사항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1. Apnea 환자의 노력호흡이 없거나 약한 경우 상태를 확인하고 필요시 주치의에게 알린다. 2. Ventilator 라인이 꼬였거나 연결 부위가 분리된 경우 연결 상태를 확인하고 필요시 교환한다. 3. 호기량이 높은 경우 환자 상태를 확인하고 필요시 주치의에게 알린다. 4. 호기량이 낮은 경우 환자의 호흡 상태를 확인하고 필요한 조치를 취한다. 5. 환자의 자발호흡이 없는 경우 환자의 tu...2025.01.24
-
중환자간호실습 선행학습, 시뮬레이션 시험준비 공부용 자료2025.05.091. ABGA(동맥혈가스분석) ABGA는 동맥혈가스분석(Arterial blood gas study)을 의미합니다. 정상범위는 pH 7.35-7.45, PaCO2 35-45 mmHg, PaO2 80-100 mmHg, HCO3 22-26 mEq/L, SaO2 95-100%입니다. 2. CVP(중심정맥압) CVP는 중심정맥압(central venous pressure)을 측정하는 것으로, 우심계 기능이나 울혈심부전 상태를 조사하기 위해 중심정맥카테터나 스완간즈카테터를 이용하여 측정합니다. 정상치는 2-8mmHg(5-10cmH2O)입니다...2025.05.09
-
홈벤트 mode 정리2025.05.071. Active circuit Active circuit은 Ventilation mode with valve로, 흡기튜브와 호기튜브가 Y자로 분리되어 있어 압력과 volume을 통제할 수 있고 O2를 적용할 수 있다. 단일라인 회로는 room air만 가능하며 흡기만 컨트롤할 수 있다. 2. Passive circuit Passive circuit은 Ventilation mode in leak로, 흡기튜브와 호기튜브가 끝쪽에서 Y자로 분리되어 있다. 압력과 volume 통제가 가능하고 O2를 적용할 수 있다. 3. Volume c...2025.05.07
-
ARDS 병태생리와 case 대학병원 발표 70페이지 marinos the little icu book 참고2025.05.161. ARDS(급성 호흡 곤란 증후군) ARDS(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ARDS)는 ICU 입원의 10%, 전 세계적으로 장기간 기계 환기치료하는 환자의 25%를 차지하는 미만성 염증성 폐 손상을 말한다. ARDS의 특징은 기계 환기, 불용성 저 산소혈증 등이며, 발병기전은 순환하는 호중구의 활성화로 시작된다. ARDS의 선행요인에는 폐렴, 폐 외 패혈증, 흡인 등이 있으며, 대부분 전신 염증 반응을 유발한다. ARDS의 임상적 특징은 방사선 소견상 양측성 폐침윤과 산소화 장애이다. 2. ...2025.05.16
-
인공호흡기 기초 및 그래프 해석2025.01.031. 기계환기 기초 공기의 이동은 압력이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발생합니다. 흡기 시 대기압이 폐내압(음압)보다 높아 공기가 폐로 들어가며, 호기 시 폐내압(양압)이 대기압보다 높아 공기가 밖으로 나옵니다. 기계환기의 적응증은 FiO2 60% 이상 제공 시 SpO2가 90% 이상 넘지 않을 때, ABGA 검사 결과 PCO2가 50mmHg 이상이고 pH가 7.30 이하일 때, 자발호흡이 없거나 유지되지 않는 경우입니다. 2. 기도삽관 및 sedation 기도삽관 시 튜브의 깊이는 성인 여성 21cm, 남성 23cm이며, 커프압이 과...2025.0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