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공호흡기 기초 및 그래프 해석
본 내용은
"
인공호흡기 기초 및 그래프 해석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2.05
문서 내 토픽
-
1. 기계환기 기초공기의 이동은 압력이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발생합니다. 흡기 시 대기압이 폐내압(음압)보다 높아 공기가 폐로 들어가며, 호기 시 폐내압(양압)이 대기압보다 높아 공기가 밖으로 나옵니다. 기계환기의 적응증은 FiO2 60% 이상 제공 시 SpO2가 90% 이상 넘지 않을 때, ABGA 검사 결과 PCO2가 50mmHg 이상이고 pH가 7.30 이하일 때, 자발호흡이 없거나 유지되지 않는 경우입니다.
-
2. 기도삽관 및 sedation기도삽관 시 튜브의 깊이는 성인 여성 21cm, 남성 23cm이며, 커프압이 과도할 경우 기관의 허혈성 손상이나 괴사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진정제로는 Benzodiazepine, Non-BDZ 계열 약물 등이 사용되며, 2018년 PADIS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ABCDEF 묶음 적용이 중환자실 퇴원율 및 생존율을 향상시킵니다.
-
3. 인공호흡기 용어 및 모드인공호흡기 용어로는 일회호흡량, 호흡수, 분당환기량, 흡기압, 흡기시간, 흡기:호기 비율, 민감도 등이 있습니다. 인공호흡기 모드에는 CMV, ACMV, VC-CMV, PC-CMV, SIMV, PSV, CPAP 등이 있으며, 각각의 특징과 장단점이 있습니다.
-
4. 인공호흡기 그래프 해석인공호흡기 그래프를 통해 환자의 호흡 상태, 기도 폐쇄, 누출 여부, Auto-PEEP 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래프 분석을 통해 환자 상태를 파악하고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습니다.
-
5. 인공호흡기 이탈 및 합병증인공호흡기 이탈을 위해서는 호흡 부전의 원인이 해결되고, GCS 8점 이상, PaO2/FiO2 200 이상, 정상 활력징후 등의 조건이 충족되어야 합니다. 인공호흡기 관련 합병증으로는 호흡기, 순환기, 소화기, 기타 합병증이 있으며, 이를 예방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필요합니다.
-
1. 기계환기 기초기계환기는 중환자 치료에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환자의 호흡 부전 상황에서 인공호흡기를 통해 적절한 산소 공급과 이산화탄소 제거를 가능하게 하여 생명을 구할 수 있습니다. 기계환기의 기본 원리와 작동 방식, 그리고 환자 상태에 따른 적절한 설정 등을 이해하는 것은 중요합니다. 이를 통해 환자 상태를 정확히 파악하고 적절한 치료 방법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기계환기 관련 합병증을 예방하고 관리하는 방법도 숙지해야 합니다. 전반적으로 기계환기에 대한 이해와 숙련도가 높을수록 중환자 치료의 질이 향상될 것입니다.
-
2. 기도삽관 및 sedation기도삽관은 중환자 관리에 있어 매우 중요한 술기입니다. 기도 확보를 통해 환자에게 적절한 산소 공급과 인공호흡기 적용이 가능해지기 때문입니다. 기도삽관 시 환자의 상태와 해부학적 특징을 고려하여 적절한 방법을 선택해야 하며, 삽관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을 예방하고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기도삽관 후 진정제 투여를 통해 환자의 불편감과 스트레스를 줄이고 인공호흡기 적응을 돕는 것이 필요합니다. 진정제 투여 시에는 환자의 상태를 면밀히 모니터링하여 과진정이나 저혈압, 호흡 억제 등의 부작용을 예방해야 합니다. 전반적으로 기도삽관과 진정 관리에 대한 숙련도가 높을수록 중환자 치료의 안전성과 효과성이 향상될 것입니다.
-
3. 인공호흡기 용어 및 모드인공호흡기는 중환자 치료에 필수적인 장비이며, 이에 대한 이해는 매우 중요합니다. 인공호흡기의 다양한 용어와 작동 모드를 숙지하는 것은 환자 상태에 따른 적절한 설정과 관리를 가능하게 합니다. 예를 들어 압력 조절 모드와 용적 조절 모드의 차이를 이해하고 환자 상태에 맞는 모드를 선택할 수 있어야 합니다. 또한 PEEP, FiO2, I:E ratio 등의 용어와 그 의미를 숙지하여 환자 상태를 정확히 파악하고 인공호흡기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어야 합니다. 이를 통해 환
-
간호연구- 비실험연구설계 논문 분석 4페이지
간호관련 비실험연구설계 논문 분석 1 논문 백훈정. (1991). 혈액투석 적용 만성신부전 환자의 자가간호 지식정도와 자가간호 수행정도와의 관계 연구(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서울 논문 내용 정리 논문 분석 2 연구 설계 본 연구는 혈액투석을 적용받는 만성신부전환자의 자가간호에 대한 지식정도와 자가간호 수행정도와의 관계를 밝히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연구이다. ? 종류: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 ? 장점: - 변수들 간의 관계를 조사할 수 있다. - 효율적이고 효과적으로 문제에 관한 많은 양의 자료 를 수집할 수 있...2021.02.02· 4페이지 -
중환자실에서 자주 하는 검사 11페이지
성인간호학 실습Ⅲ 중환자실 사전과제의식수준 사정- GCS- 4점척도기본적인 검사- ABGA- 전해질 검사- 심장효소검사- EKG- CVP- PAWP(PCWP)의식수준사정◇ 의식수준의 구분- 명료(alert), 기면(drowsy), 혼미(stupor), 반혼수(semicoma), 혼수(coma)◇ 사람, 장소, 시간에 대한 지남력 확인- 현재의 날짜, 장소 및 자신의 질병 등에 대한 진술능력을 통해 의식수준 평가- 의식이 저하된 경우에는 이름을 부르거나 통증을 유발시켜 반응을 확인◇ Glasgow coma scale(GCS)- 의식상...2016.03.03· 11페이지 -
뇌사를 어떻게 볼 것인가에 관한 고찰 13페이지
Ⅰ. 목차(1) 서론(2) 본론1. 뇌사란?① 뇌사의 정의② 뇌사의 법적판단③ 식물인간 VS 뇌사상태④ 설문조사와 분석2. 뇌사에 관한 수용태도① 뇌사 부정설 (뇌사의 사망설에 반대)② 전면적 인정설 (뇌사의 사망설에 찬성)③ 기능적 사망개념설④ 상대적 뇌사설3. 국내 뇌사의 사례4. 외국의 입법례(3) 결론(1) 서론죽음이란 인류에게 현재까지 오랜 시간 물음을 안겨준 개념이다. 과거에는 호흡과 심장박동의 정지가 죽음을 판단하는 기준이었다. 하지만 의학과 의료기술의 발달로 이 기준이 흔들리게 되었다. 전통적인 죽음의 판정 기준이었던...2010.07.03· 13페이지 -
(호흡기) 내과 체크리스트(check list) 15페이지
실습병동담당교수(인)(인)내과 병동 check list작성자 :분류실습내용이론관찰수행서명호흡기계 중재Deep breathing & coughing폐합병증 예방을 위해 심호흡과 기침을 권장한다.Steam inhalation호흡기의 건조함을 막기 위해 증기흡입을 권장한다.Pulmonaryphysiotherapy-percussion,vibration-percussion호흡기에 있는 분비물 배출을 위해 체위배액과 함께 중간 정도나 강한 정도의 maual technique 를 이용하는 것이다.-vibration체위배액과 함께 사용되며, 타진...2011.07.11· 15페이지 -
분만실 기구및 물품, 실시하는 검사종류, 사용되는 약물 14페이지
(1) 분만실에서 사용되는 약물1. Oxytocin? 효과: 자궁수축제분만유도, 진통미약, 분만 후 출혈, 이완성 자궁출혈, 자궁퇴축부전, 제왕절개술, 유산, 임공임신중절? 용량: 5unit/amp? 용법분만유도: 1회 5~10IU를 5DW 500ml에 mix. 1~2ml/min으로 IV infusion.필요시 증량한다. (max 20ml/min)분만 후 출혈, 이완성 자궁출혈, 유산, 인공임신 중절: 5~10IU. IM, IV infusion.자궁근육내 직접? 부작용: 자궁긴장항진, 경축, 테타니성수축, 부종, 수분중독중, 자궁파...2009.12.18· 14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