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9개
-
[약대 실습 레포트] 면역학 실습 레포트_면역세포에서 항염증 효과 확인(cell treat)2025.01.211. 대식세포의 염증 반응 대식세포 표면의 TLR이 PAMP를 인식하거나, 특정 cytokine에 대해 수용체에서 인식하는 경우 대식세포가 활성화 된다. 대식세포가 활성화되면, 표식작용이 증가하고 항미생물 작용이 증가하며, ROS의 활성이 증가하게 되는데 이는 iNOS의 활성을 증가시키고 아르기닌이 산소와 NADPH와 반응하여 NO가 생성되는 반응이 일어나게 된다. 활성화된 대식세포에서 IL-1, TNF-α, IL-6 등을 분비하게 되고, 이들은 염증반응 매개 물질로 림프구의 활성을 증가시킨다. 2. RAW 264.7 세포주 RAW...2025.01.21
-
[면역학실습] NO assay와 ELISA를 이용한 resveratrol의 항염증 효과 확인 (하)2025.04.271. Macrophage 면역계 세포 Macrophage 면역계 세포들은 세포내 기생체에 대해 방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대식세포의 항미생물 작용은 세포내 lysosome에 들어 있는 여러 가지 가수 분해 효소의 증가와 NADH oxidase의 활성에 의한 활성산소종의 생성, NO의 생성에 의해 이루어진다. 그러나 과량의 활성산소종 및 NO는 조직을 손상시키고 염증을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이 두 가지 활성 물질의 생성은 조절될 필요가 있다. 2. LPS (Lipopolysaccharide) LPS는 Gram staining (-...2025.04.27
-
NO assay2025.05.101. NO assay 이번 실험은 NO assay를 수행하여 항염효과를 알고자 하는 extract A와 염증반응을 유발하는 LPS를 처리하고 염증정도를 비교했다. RAW 264.7에서 염증반응으로 생성된 NO₂는 griess reagent와 반응하여 분홍색의 azo product가 생성되는데 최대흡광파장인 5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면 간접적으로 NO 생성량을 측정하고 염증 정도를 알 수 있다. Standard solution을 제조하여 standard curve를 그린 결과 y=0.0349x+0.0834 (R² = 0.9995)...2025.05.10
-
RT PCR (reverse transcription) / 100점 면역학실험 레포트 (원리, 시약, RNA 추출, cDNA 합성)2025.05.051. mRNA, transcription, translation 세포가 균의 침입을 인식하면 염증을 일으키는데, 이때 mRNA의 유무를 통해 세균 침입 여부를 알 수 있다. mRNA는 단백질 합성을 지시하는 전사체이며, 전사는 DNA를 주형으로 RNA를 합성하는 과정이고, 번역은 mRNA의 염기서열을 바탕으로 단백질을 합성하는 과정이다. 2. PCR, RT-PCR, real-time PCR PCR은 특정 DNA fragment를 증폭하는 기술이며, RT-PCR은 RNA를 DNA로 역전사하여 증폭하는 방법이다. Real-time PC...2025.05.05
-
미생물학 Gram staining(그람염색) 실험보고서2025.01.031. 그람 염색 그람 염색은 박테리아의 세포벽 구조 차이에 기반해 크게 두 그룹으로 구별하는 실험 방법입니다. 그람 양성균은 세포벽이 주로 peptidoglycan층으로만 구성되어 있어 crystal violet 염료가 고착되어 보라색으로 염색되고, 그람 음성균은 peptidoglycan 층이 얇고 LPS(lipopolysaccharide)를 지닌 외막이 있어 crystal violet이 탈색되어 safranin에 의해 붉은색으로 염색됩니다. 이를 통해 세균의 동정 및 구분이 가능합니다. 2. 그람 양성균과 그람 음성균의 차이 그람...2025.01.03
-
감염미생물과 간호 과제 <세균과 바이러스>2025.04.301. 미생물의 종류 미생물의 종류에는 세균류, 곰팡이류, 효모류, 리케차, 스피로헤타 등이 있다. 세균류에는 구균, 간균, 나선균이 있으며 2분법으로 증식한다. 곰팡이류는 포자법으로 증식하며 건조한 상태에서도 증식할 수 있다. 효모류는 출아법으로 증식한다. 리케차는 2분법으로 증식하며 발진티푸스, 양충병, 큐열을 발생시킨다. 스피로헤타에는 매독균과 회귀열이 있다. 바이러스는 미생물 중 가장 크기가 작다. 2. 최초의 항생제 최초의 항생제는 페니실린이다. 페니실린은 미생물을 억제하거나 죽일 수 있어 파격적이었다. 주로 매독과 임질 치...2025.04.30
-
골수유래대식세포의 염증성 사이토카인(cytokine) 생성 및 대식작용 실험 보고서2025.05.141. 선천면역작용 모든 동물에는 병원체가 전에 침입했던 경험의 유무와는 무관하게 감염이 일어난 즉시 방어반응을 나타내는 선천성 면역(innate immunity) 시스템이 존재한다. 소수의 수용체군을 이용하여 특정 병원균의 그룹에 공통적으로 존재하는 특징을 인식하며, 신속하게 반응한다는 특징을 가진다. 2. 염증성 cytokine 사이토카인은 면역 과정에서 세포간 신호 전달 과정에 관여하는 물질이다. 인터류킨, 인터페론, 모노카인 등 다양한 종류가 존재한다. 염증반응(inflammatory response)이 나타나는 것은 상처나 ...2025.05.14
-
식품 생화학 실험 real time qPCR과정과 결과값2025.01.141. GAPDH GAPDH 유전자는 glyceraldehyde-3-phosphate 탈수소효소 단백질 계열의 구성원을 암호화한다. 암호화된 단백질은 기계적으로 구별되는 능력을 기반으로 월광 단백질로 확인되었다. 이 유전자의 산물은 무기 인산염과 nicotinamide adenine dinucleotide (NAD)의 존재 하에서 glyceraldehyde- 3-phosphate의 가역적 산화적 인산화인 탄수화물 대사에서 중요한 에너지 생성 단계를 촉매한다. 암호화된 단백질은 핵에서 uracil DNA glycosylase 활성을 갖...2025.01.14
-
[예방약학실험8] Luciferase assay2025.05.101. Luciferase assay Luciferase assay는 NF-κB promoter와 luciferase reporter gene을 포함하는 plasmid를 HEK293 세포에 transfection하여 luciferase 발현을 통해 염증반응 조절에 중요한 유전자 발현을 확인하는 실험입니다. NF-κB는 염증반응 관련 유전자의 신호전달에 관여하는 전사인자로서 염증반응의 지표로 활용됩니다. 실험 결과, PMA는 염증을 유발하고 추출물 A는 항염증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GFP로 normalization을 하...2025.05.10
-
[면역학실습] NO assay와 ELISA를 이용한 resveratrol의 항염증 효과 확인 (상)2025.04.271. Resveratrol Resveratrol은 식물이 만들어내는 폴리페놀계 물질로, 포도껍질, 포도씨, 땅콩, 오디 등에 존재한다. 항암, 항바이러스, 신경보호, 항노화, 항염, 수명연장 등의 효과가 있다. 2. Macrophages 대식세포는 PRR(pattern recognition receptor)를 통해 외부 항원을 인식한다. LPS(lipopolysaccharide)는 대식세포의 TLR4을 통해 인식되어 일련의 신호전달 경로를 거치면서 NO와 활성산소종을 분비하거나 IL-6과 TNF-α와 같은 pro-inflammato...2025.04.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