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NO assay
본 내용은
"
[예방약학실험9] NO assay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6.23
문서 내 토픽
-
1. NO assay이번 실험은 NO assay를 수행하여 항염효과를 알고자 하는 extract A와 염증반응을 유발하는 LPS를 처리하고 염증정도를 비교했다. RAW 264.7에서 염증반응으로 생성된 NO₂는 griess reagent와 반응하여 분홍색의 azo product가 생성되는데 최대흡광파장인 5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면 간접적으로 NO 생성량을 측정하고 염증 정도를 알 수 있다. Standard solution을 제조하여 standard curve를 그린 결과 y=0.0349x+0.0834 (R² = 0.9995) 검량선을 얻었으며 R²이 0.999 이상이므로 신뢰도가 높은 결과라고 볼 수 있다. Sample의 흡광도 값을 검량선에 대입하여 NO production을 구한 결과 LPS 처리군은 NO 생성량이 가장 높게 나타난 것을 보아 LPS에 의한 염증이 유발되었던 것을 확인했다. LPS와 extract A를 처리한 군은 LPS처리군에 비해 NO 생성량이 낮고 control과 유사한 수준의 NO 생성량을 보였으므로 extract A의 항염증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
2. LPS 처리에 따른 RAW264.7 세포의 형태 변화LPS는 그람음성세균의 외막 성분이며, 대식세포인 RAW264.7를 활성화시켜 염증반응을 유도하고 다음과 같은 morphology 변화를 유도한다. LPS 자극 후에는 lamellipodia 및 filopodia가 돌출되면서 동그란 모양이었던 세포가 납작하게 퍼지는 모양으로 변화하는 cell spreading이 나타나고 세포 접착과 이동을 돕는다. Lamellipodia는 액틴 필라멘트를 포함하는 세포 가장자리 구조이며 filopodia는 액틴을 포함하는 스파이크이다. 세포막의 변화로는 세포 표면에 주름을 형성하는 membrane ruffling이 일어나고 필라멘트 구조 형성이 유도되어 세포 이동과 식세포 작용을 돕는다. 세포질의 변화로는 세포소기관의 위치 조정과 액포 형성, 리소좀 축적이 일어난다. 이와 같은 morphology 변화는 병원체 감지와 탐식 능력을 촉진하고 다른 면역 세포와 소통하게 만든다.
-
3. NO assay에서 상층액 사용의 이점NO는 매우 반응성이 높은 분자이므로 세포내 구성요소와 활발히 반응할 수 있다. 상층액을 사용하면 세포 내 반응에 의한 간섭 없이 염증반응으로 생성되어 방출된 NO를 더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상층액 세포를 분리하면서 세포 내 NOS에 의해 생성된 NO를 배제하고 염증반응에 의해 세포 외로 방출된 NO만을 선별하여 측정할 수 있다.
-
4. Griess reagent의 빛 민감성Griess reagent와 같은 형광성 물질은 빛에 차단된 상태로 보관해야 하는데 시약이 빛에 민감하기 때문이다. Griess reagent가 빛에 노출되면 광화학적 반응이 진행되어 위양성 데이터가 나오거나 background noise를 증가시켜서 nitrite 농도 측정 결과가 부정확해질 수 있다.
-
1. NO assayNO assay는 세포 내 nitric oxide (NO) 생성을 측정하는 중요한 실험 기법입니다. NO는 다양한 생리학적 과정에 관여하며, 염증 반응, 혈관 확장, 신경 전달 등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NO assay를 통해 세포의 NO 생성 능력을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약물 처리, 유전자 조작 등이 NO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할 수 있습니다. 또한 질병 모델 연구에서 NO 생성 변화를 관찰함으로써 병리학적 기전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NO assay는 세포 생물학, 약리학, 면역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활용되는 중요한 실험 기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2. LPS 처리에 따른 RAW264.7 세포의 형태 변화RAW264.7 세포는 대식세포 계열의 세포주로, 면역 반응 연구에 널리 사용됩니다. LPS (lipopolysaccharide)는 그람 음성 세균의 세포벽 성분으로, RAW264.7 세포에 처리하면 염증 반응을 유발합니다. LPS 처리에 따른 RAW264.7 세포의 형태 변화를 관찰하는 것은 이러한 면역 반응 기전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LPS 처리 후 RAW264.7 세포는 크기가 증가하고 세포질 내 과립이 증가하며, 세포 표면의 돌기가 늘어나는 등 활성화된 대식세포의 특징을 보입니다. 이러한 형태적 변화는 세포의 기능적 변화, 즉 식균 능력 증가, 사이토카인 분비 증가 등과 연관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LPS 처리에 따른 RAW264.7 세포의 형태 변화를 관찰하는 것은 면역 반응 연구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
3. NO assay에서 상층액 사용의 이점NO assay에서 상층액을 사용하는 것은 다음과 같은 이점이 있습니다. 첫째, 세포 내에 존재하는 NO를 직접 측정하는 것보다 상층액 내 NO 농도를 측정하는 것이 더 간단하고 효율적입니다. 세포 내 NO는 매우 불안정하고 반응성이 높아 측정이 어려울 수 있지만, 상층액 내 NO는 상대적으로 안정적이므로 측정이 용이합니다. 둘째, 상층액 내 NO 농도는 세포의 NO 생성 능력을 간접적으로 반영합니다. 따라서 상층액 NO 측정을 통해 세포의 기능적 상태를 평가할 수 있습니다. 셋째, 상층액 사용 시 세포를 파괴하지 않고도 NO 생성을 측정할 수 있어 동일한 세포 집단에서 반복 실험이 가능합니다. 이를 통해 실험의 재현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NO assay에서 상층액을 사용하는 것은 실험의 편의성, 효율성, 재현성 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
4. Griess reagent의 빛 민감성Griess reagent는 NO assay에서 널리 사용되는 시약으로, 질산염(nitrite)과 반응하여 색 변화를 일으킵니다. 이를 통해 세포 배양액 내 질산염 농도를 측정할 수 있고, 이는 간접적으로 NO 생성을 반영합니다. 그러나 Griess reagent는 빛에 민감한 특성이 있습니다. 빛에 노출되면 자체적으로 색 변화가 일어나 측정값에 오차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Griess reagent를 사용할 때는 빛 노출을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실험 과정에서 Griess reagent 사용 시 차광 처리된 용기를 사용하거나, 실험실 내 조명을 최소화하는 등의 주의가 필요합니다. 또한 표준 곡선 작성 시에도 빛 노출을 동일하게 유지해야 합니다. 이러한 빛 민감성을 고려하여 Griess reagent를 적절히 다룸으로써 NO assay의 정확성과 재현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
[면역학실습] NO assay와 ELISA를 이용한 resveratrol의 항염증 효과 확인 (하)1. Macrophage 면역계 세포 Macrophage 면역계 세포들은 세포내 기생체에 대해 방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대식세포의 항미생물 작용은 세포내 lysosome에 들어 있는 여러 가지 가수 분해 효소의 증가와 NADH oxidase의 활성에 의한 활성산소종의 생성, NO의 생성에 의해 이루어진다. 그러나 과량의 활성산소종 및 NO는 조직을 손상시...2025.04.27 · 의학/약학
-
[면역학실습] NO assay와 ELISA를 이용한 resveratrol의 항염증 효과 확인 (상)1. Resveratrol Resveratrol은 식물이 만들어내는 폴리페놀계 물질로, 포도껍질, 포도씨, 땅콩, 오디 등에 존재한다. 항암, 항바이러스, 신경보호, 항노화, 항염, 수명연장 등의 효과가 있다. 2. Macrophages 대식세포는 PRR(pattern recognition receptor)를 통해 외부 항원을 인식한다. LPS(lipopo...2025.04.27 · 의학/약학
-
[약대 실습 레포트] 면역학 실습 레포트_면역세포에서 항염증 효과 확인(cell treat)1. 대식세포의 염증 반응 대식세포 표면의 TLR이 PAMP를 인식하거나, 특정 cytokine에 대해 수용체에서 인식하는 경우 대식세포가 활성화 된다. 대식세포가 활성화되면, 표식작용이 증가하고 항미생물 작용이 증가하며, ROS의 활성이 증가하게 되는데 이는 iNOS의 활성을 증가시키고 아르기닌이 산소와 NADPH와 반응하여 NO가 생성되는 반응이 일어나...2025.01.21 · 의학/약학
-
이화여대 생명과학실험 A+ 리포트(ELISA)1. ELISA ELISA는 효소면역정량법으로 Antigen-Antibody interaction을 이용하여 antigen or antibody를 정성, 정량할 수 있는 실험법입니다. 항체에 효소를 부착한 후 항원-항체 반응과 효소-기질 반응을 통해 양을 측정합니다. ELISA는 Direct, Indirect, Sandwich, Competitive 방법으...2025.01.23 · 의학/약학
-
[만점 레포트] 연세대학교 생화학실험(1) 9주차 흡광광도법1. absorption spectrophotometry 흡광광도법은 빛의 흡수 정도를 측정하여 물질의 농도를 분석하는 기술입니다. 이 방법은 320~800nm 범위의 파장에서 빛의 흡수를 측정하며, 흡광도(A)는 투과도(T)의 로그 값으로 계산됩니다. 베르-람버트 법칙에 따르면 흡광도는 물질의 농도, 경로 길이, 몰 흡광 계수의 곱에 비례합니다. 이를 이...2025.05.04 · 자연과학
-
Respiratory syncytial virus pneumonia(RSV) 케이스/사례보고서1. Respiratory syncytial virus pneumonia 폐렴은 세기관지와 폐의 폐포부위의 염증이나 감염으로, 영아와 어린 아동에게 가장 흔히 발생한다. 폐렴은 바이러스와 마이코플라즈마, 세균이 원인일 수 있으며 5세 미만의 아동은 흔히 RSV나 인간 메타뉴모바이러스, 인플루엔자, 파라인플루엔자바이러스, 아데노바이러스 때문에 일어난다. RS...2025.05.02 · 의학/약학
-
[면역학실습] NO assay와 ELISA를 이용한 resveratrol의 항염증 효과 확인 (하) 12페이지
항염증 효과 확인 : NO assay, ELISA과목명면역학실습교수명***실험일2022.04.12.(화)학 과***학 번********이 름***Ⅰ Introduction1. Macrophage면역계 세포들은 세포내 기생체에 대해 방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대식세포의 항미생물 작용은 세포내 lysosome에 들어 있는 여러 가지 가수 분해 효소의 증가와 NADH oxidase의 활성에 의한 활성산소종의 생성, NO의 생성에 의해 이루어진다. 그러나 과량의 활성산소종 및 NO는 조직을 손상시키고 염증을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이 두...2023.01.21· 12페이지 -
[면역학실습] NO assay와 ELISA를 이용한 resveratrol의 항염증 효과 확인 (상) 8페이지
면역세포에서 항염증 효과 확인 (Cell treat)과목명면역학실습교수명***실험일2022.04.05.(화)학 과***학 번********이 름***Ⅰ Introduction1. ResveratrolResveratrol은 식물이 만들어내는 폴리페놀계 물질이다. 포도껍질, 포도씨, 땅콩, 오디 등에 존재한다. 물에는 녹지 않고 알코올에 잘 녹는 성질이 있다. 항암, 항바이러스, 신경보호, 항노화, 항염, 수명연장 등의 효과가 있다.2. Macrophages대식세포는 PRR(pattern recognition receptor)를 통해 ...2023.01.21· 8페이지 -
WST-1 assay / Trypan blue exclusion assay 6페이지
2020학년도 2학기 WST-1 assay / Trypan blue exclusion assay-2020. 10. 26. 실험-1. 개요Cell viability assay란 세포 생존율을 측정하기 위해 진행하는 실험을 의미한다. Cell viability assay에는 많은 방식이 있는데, 그중 실험에 사용한 방식은 WST-1 assay와 Trypan blue exclusion assay이다.WST-1 assay는 생존 세포의 미토콘드리아에 존재하는 succinate tetrazolium reductase가 WST-1(Water ...2021.06.18· 6페이지 -
조선대 신경분자생물학 Cell culture-Chemical treatment-Intracellular Ros 실험보고서 4페이지
신경분자생물학 실험보고서(Cell culture-Chemical treatment-Intracellular Ros)실험주제Apoptosis에 의한 세포사멸 과정 중 세포 내 변화 확인실험목적1. 세포에 산화적 스트레스로 인해 생성되는 ROS의 정도를 H2DCF-DA를 처리해 그 정도를 확인2. 외부의 damage를 받으면 NO를 분비하는 성상세포의 특성을 이용해 NO를 측정하는 Griess assay로 세포 내 변화를 측정실험방법cell culture (cell seeding)1. 배양중인 C6G 세포의 상태를 배지의 색과 현미경을...2022.07.18· 4페이지 -
독성학 실험 레포트 / Cytochrome P450 Assay / 약대 실험 레포트 5페이지
1. Title : Cytochrome P450 Assay2. Purpose : CYP3A4에 의한 약물대사에 5-FU도 영향을 받는지 알아보고자 실험을 진행하였다.3. Method1) MC38(mouse colon cancer cell line)를 1x104 cell/well로 96 well plate에 seeding 하였다.2) 16시간 동안 37°C CO2 incubator에서 배양하였다.3) 5-FU (Fluorouacil)를 well에 각각 0, 1, 5, 10uM 씩 처리하였다, Dexamethasone (50 μM)도 ...2021.01.03· 5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