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46개
-
SICU PE case study post op(간호 진단 및 과정 3개)2025.04.301. 심낭 삼출(Pericardial effusion) 심낭(pericardial)은 심장(heart) 주변의 2개의 층이 있는 주머니로 심장을 가슴의 중앙에 고정시키며 감염으로부터 보호한다. 주머니에는 층 사이에 약간의 맑은 체액을 함유하는데, 이것은 가슴에서 심장 박동 시 다른 장기들에 대해 심장이 부드럽게 움직이도록 한다. 일반적인 심막액(pericardial fluid)의 정상수치는 15~20ml인데 심낭에 정상수치 이상으로 많은 체액이 있는 상태를 심낭삼출(pericardial effusion)이라고 한다. 심낭 삼출이 있...2025.04.30
-
배액관 관리방법, 성인간호학 실습 과제2025.04.251. Hemo vac & JP drain 수술 부위의 과다한 삼출물을 음압 원리에 의해 배액하기 위함으로 수술 부위 감염을 줄이고 부종을 없애며 창상 치유 기간을 짧게 하는 역할을 한다. 장액성, 혈액성, 화농성 배액물의 특성과 적응증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2. PCD 흉막 또는 복강 내 액체 체취 및 배액하기 위함으로 체내에 Abcess나 다량의 고름이 있을 때 관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한다. 카테터가 얇고 길어 빠지지 않게 단단히 고정해야 하며, 개방성 배액관의 경우 감염 위험이 높아 건조한 상태를 유지해야 한다. 3. Ches...2025.04.25
-
흉관관리 간호 교육자료2025.11.141. 밀봉흉곽배액법 밀봉흉곽배액법은 늑막강 내로부터 공기와 액체를 제거하고 폐의 재팽창을 증진시키며 배액기구로부터 역류를 방지하는 목적으로 사용됩니다. 배액병과 밀봉병이 따로 있어 배액량이 증가해도 압력 변화 없이 배액이 이루어지며, 첫 번째 배액병은 환자에게서 나온 배액물을 모으고 두 번째 배액병은 water-seal로 작용하여 공기와 가스의 유통을 차단합니다. 2. 흉관 관리 자세 및 체위 중력을 이용한 효율적인 배액과 원활한 호흡을 위해 앉은 자세를 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배액관은 가슴 아래로 유지하여 중력을 이용한 배액을 ...2025.11.14
-
pneumothorax 모든 것2025.01.281. Pneumothrax 정의 폐에 구멍이 생겨 공기가 새고 이로 인해 흉막강 내에 공기나 가스가 고이게 되는 질환 2. Pneumothrax 원인 1. 일차성 기흉: 젊은 성인(남자>여자), 마른 체형, 흡연자, 가족력, 재발률 50% 2. 이차성 기흉: 폐에 발생한 COPD, 폐기종, 결핵, 악성종양 3. 인위적 기흉: 교통사고, 추락, 외상에 의해 폐실질 손상 3. Pneumothrax 증상/징후 1. 흉통: 숨쉴 때 겨드랑이 부근에 당기는 듯한 통증과 뻐근한 느낌, 운동과 상관없이 가만히 앉아 있어도 갑작스럽게 발생, ...2025.01.28
-
성인간호학 외상성 혈흉 (문헌고찰+간호진단3+간호과정3)2025.01.151. 호흡기계의 구조와 기능 호흡기계(respiratory system)는 조직(tissue)에 산소(o2)를 공급하고, 대사산물의 노폐물인 이산화탄소(co2)제거와 산-염기 균형, 발성, 후각, 체액균형, 체온조절 등의 역할을 하며, 상부기도(upper respiratory tract)와 하부기도(lower respiratory tract)로 나눈다. 2. 혈흉(hemothorax) 혈흉(hemothorax)은 흉막강 내에 혈액이 축적되는 상태이며, 혈기흉은 흉막강으로의 출혈을 수반한 기흉을 말한다. 흉부외상 후에 발생하는 가장 ...2025.01.15
-
A+ 받은 성인간호학 실습 외상성 혈기흉 haemopneumothorax CASE 케이스 스터디2025.01.121. 외상성 혈기흉 외상성 혈기흉은 외상에 의해 흉벽에 구멍이 나, 바깥공기가 흉곽 안으로 자유롭게 출입하는 동시에 출혈까지 겹쳐, 혈액과 공기가 흉곽 내부로 새어 들어가는 상태를 말한다. 즉, 흉막강으로의 출혈을 수반한 기흉을 뜻한다. 별다른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 경미한 출혈에서부터 출혈성 쇼크를 보일 정도의 과도한 출혈까지 다양한 양상을 보이며 혈기흉으로 인해 폐가 압박받으면 폐허탈 뿐만 아니라 흉막강 내 혈액유출로 인한 쇼크까지 나타날 수 있다. 2. 기흉 기흉(pneumothorax)이란 폐에 구멍이 생겨 공기가 새고 그로 ...2025.01.12
-
수술간호학 실습 지침서 사전학습 순환간호사 수술도구 지혈제 배액2025.01.281. 수술실 간호사의 역할 수술실 간호사에는 소독간호사와 순환간호사가 있다. 소독간호사는 수술이 원활히 진행되도록 간호활동을 하며, 수술과정을 정확히 알고 집도자의 요구를 예측하고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어야 한다. 순환간호사는 수술 팀의 과정을 모니터링하고 수술실 환경을 점검하며 환자의 안위와 건강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2. 수술 체위 수술 부위에 따라 다양한 수술 체위가 사용된다. 앙와위, 트렌델렌버그 체위, 역행성 트렌델렌버그 체위, 복위, 측와위, 쇄석위 등이 있으며 각 체위의 특징과 주의사항이 있다. 수술 체위 선택 시 ...2025.01.28
-
성인간호학 기흉 케이스스터디 및 간호과정2025.11.181. 기흉(Pneumothorax)의 정의 및 임상증상 기흉은 폐를 둘러싼 흉막강 내에 공기가 들어가 폐가 허탈되는 질환이다. 자연기흉은 외상 없이 자발적으로 발생하며, 주요 증상으로는 갑작스러운 흉통, 호흡곤란, 흉부 불편감, 어깨 통증 등이 있다. 환자는 1~2달 전부터 간헐적인 흉통을 경험했으나 내원 당일 오후 9시 급성 악화되어 응급실을 방문했다. 흉부 X-ray와 CT 검사를 통해 진단되며, 폐부종, 무기폐, 피하기종 등의 합병증이 동반될 수 있다. 2. 흉관배액(Chest Tube Drainage) 관리 기흉 치료의 주요...2025.11.18
-
[성인간호학 case study] 기흉(pneumotorax) 간호과정, 간호진단 4개, 성인간호학 case study2025.05.111. 기흉(pneumothorax) 기흉은 여러 가지 원인으로 폐를 싸고 있는 두층 사이의 흉막강 내 공기가 축적되는 현상을 말한다. 증세로는 가슴에 통증이 심하고, 호흡곤란, 빈맥, 기침 등이 있다. 기흉은 흉부외과 영역에서, 특히 폐에 관련된 외과적 처치를 받아야 할 대상에서는 1위를 차지하고 있을 정도로 많다. 기흉은 인구 1만 명당 1명 정도에게서 발병되며, 약 15%의 환자에서는 흉수가 늑막강 내에 고이는 합병증이 생길 수 있다. 또한 키가 크고 마른사람, 흡연자에게 잘 발생하고 통상 남자가 여자보다 8배 많이 생기고 10...2025.05.11
-
A+받은 혈흉 케이스(간호진단 5개, 간호과정 3개)2025.01.221. 혈흉(hemothorax) 혈흉은 폐 열상과 혈관의 파열 등으로 폐를 싸는 막과 흉각의 내벽을 덮는 막 사이의 공간인 흉막강 내에 혈액이 고여있는 상태이다. 원인으로는 흉부외상, 흉부수술, 폐 및 흉막 천자 등 외상에 의한 것이 가장 많으나 그 밖에 대동맥류의 파열이나 흉막유착이 있는 폐파열, 패혈증, 인공기흉 등에 잇따라 발생할 수도 있다. 혈흉은 외상성 혈흉과 자연성 혈흉으로 나뉘어지며 이는 발생원인에 따라 나뉘어진다. 증상으로는 호흡곤란, 가슴통증, 빠른 심장박동, 청색증, 피로감, 혈압저하, 가슴압박감, 쇼크 등이 있다...2025.01.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