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81개
-
요추천자 시술 전후 간호2025.01.061. 흉강천자 흉강천자는 늑막강 내로 바늘을 삽입하여 삼출액이나 공기를 제거하는 시술입니다. 진단을 위해 삼출액 검사물을 채취하거나, 폐 압박과 호흡곤란 완화를 위해 치료 목적으로 실시합니다. 시술 전에는 환자에게 전반적인 검사에 대해 설명하고, 기침, 심호흡, 갑작스러운 움직임을 피하도록 교육합니다. 시술 중에는 폐부종 방지를 위해 한번에 1,000ml 이상 제거하지 않으며, 바늘 제거 후 무균적으로 압박 드레싱합니다. 시술 후에는 활력징후와 천자부위 드레싱을 관찰하고, 합병증 발생 여부를 확인합니다. 2. 요추천자 요추천자는 진...2025.01.06
-
신규간호사를 위한 검사 및 시술 간호2025.01.101. PCD(경피적 농양 배액술) PCD(percutaneous abscess drainage 경피적 농양 배액술)은 몸 안에 농양이 있는 환자에게 카테터(catheter)라는 가늘고 긴 관을 초음파 및 투시 촬영술을 이용하여 몸 밖에서부터 고름집 안으로 넣어 내용물을 배출시키는 시술입니다. 농양에 의해 생기는 증상(고열, 발한 등)이 없어지고 혈액 검사 수치가 정상화되는 등 임상적으로 충분한 호전이 있으면서 카테터를 통해 나오는 액체의 양이 거의 없어지면 카테터를 제거하게 됩니다. 필요한 경우 초음파 검사나 컴퓨터 단층촬영(CT)...2025.01.10
-
부산대 본원, 양산 필기 복원 (2020-2023)2025.05.151. 보호대 사용 시 간호중재 보호대 사용 시 간호중재로는 적절한 것이 억제대는 최대한 꽉 끼게 적용하지 않고, 섬망 환자는 즉시 보호대를 적용하지 않으며, 적용부위는 30분마다 감각 등을 사정하고, 환자의 안전을 위해 일정 시간 동안 적용해야 하며, 흥분한 환자는 퇴원 시까지 보호대를 적용하지 않는다. 2. 활동성 결핵환자의 격리지침 활동성 결핵환자의 격리지침으로는 병실에 들어가기 전 접촉 주의에 맞는 가운 등을 착용하고, 병실 문을 닫아두고 양압이 유지되는 1인실을 이용하며, 병실 들어갈 때 간호사는 N95마스크를 착용한다. 3...2025.05.15
-
호흡기계 질환 진단검사 보고서 A++ 받은 자료입니다.(검사종류/적응증/정상치/검사 전후 간호중재)2025.05.141. 동맥혈가스분석검사 허파의 O2와 CO2운반기능을 알아보기 위한 검사로, 허파가 O2를 조직으로 얼마나 잘 전달하고 세포대사에서 생긴 CO2를 얼마나 효과적으로 제거하는지를 보여준다. 검사 전에는 요골동맥 천자하기 전 Allentest로 혈류순환을 확인하고, 검사 후에는 천자부위를 5분 이상 누르며 채취한 혈액에 공기가 섞이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2. 폐기능 검사 폐용량과 공기흐름을 측정하여 폐질환을 진단하고 질병의 진행을 사정하며 기관지확장제의 반응을 평가한다. 검사 전에는 기관지확장제 같은 약물을 보류하고 6-8시간 동안...2025.05.14
-
호흡기계 진단검사2025.05.131. X-ray X-선 검사는 폐결핵 등 폐의 이상을 발견해내는 방법으로 집단 검진시에 사용되거나 병원에 입원하는 사람에게는 정규적으로 시행되는 검사이다. 또한 그 밖의 심장질환이나 종격동의 이상, 종양 등의 이상을 발견해낼 수 있다. 검사 전 간호로는 대상자에게 절차를 설명하고, 옷이나 금속제품은 허리 아래로 내리게 하여 금속의 음영이 찍히지 않도록 하며, 자세를 취해준 후 숨을 깊게 들이마시게 한 다음 사진을 찍을 동안 잠시 숨을 참도록 한다. 2. PFT 폐기능 검사(Pulmonary function test)는 폐기능 장애를...2025.05.13
-
기흉 문헌고찰 A+++2025.04.301. 기흉의 정의 사람의 폐는 두 개의 흉막에 의해 둘러싸여 있으며 흉막 내부의 공간을 흉막강이라고 한다. 기흉은, 폐조직에 형성된 기포가 저절로 터지거나 외상등에 의해 흉벽이나 폐가 손상을 입으면서 흉막강 속에 공기가 차게된 상태를 말한다. 흉막강에 공기나 가스가 고여 폐의 일부 혹은 전체가 허탈된 상태이다. 2. 기흉의 종류 및 원인 기흉은 원인에 따라 저절로 발생한 '자연기흉'과 외상에 의해 발생한 '외상성 기흉' 두 가지로 크게 구분할 수 있다. 자연기흉은 일차성과 이차성으로 나뉘며, 긴장성 기흉과 개방성 기흉도 있다. 자연...2025.04.30
-
흉막삼출 질병보고서-직접 작성2025.01.121. 흉막삼출 흉막 삼출(pleural effusion)은 벽측 흉막과 장측 흉막 사이의 흉막액이 비정상적으로 증가하는 상태로 대개 비농성이며 흉막강에 5L정도의 흉막액이 고이기도 한다. 흉막삼출을 일으키는 가장 흔한 세가지 원인은 심부전과 암, 폐렴, 폐색전증이며 우리나라에서는 폐렴과 암 뿐만 아니라 결핵도 중요한 원인이다. 흉막액은 정상적으로 소량 존재하며 폐 확장을 촉진하고 폐와 흉벽을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모세혈관 압력 증가, 모세혈관 교질삼투압 감소, 흉막 염증 등의 원인으로 인해 비정상적으로 증가하게 된다. 대부...2025.01.12
-
Pericardial window, VATS 수술 간호 실습2025.01.231. 심낭(Pericardium) 심장은 2개의 층으로 되어있는 '심낭(Pericardium)'으로 둘러싸여 있습니다. 심낭은 '섬유성 심낭(Fibrous pericardium)'과 '장액성 심낭(Serous pericardium)'으로 구분됩니다. 장액성 심낭은 다시 '두정층(Parietal layer)'과 '내장층(Visceral layer)'으로 나뉩니다. 두 층 사이에는 '심낭강(Pericardial cavity)'이 있으며, 이 공간에는 '심낭액(Pericardial fluid)'이 존재합니다. 2. 심낭 삼출액(Peric...2025.01.23
-
<<A+자료>> 흉막삼출 pleural effusion case study, 호흡기내과병동, 문헌고찰, 간호진단 4개, 간호과정 3개, 참고문헌 포함2025.01.151. 흉막 삼출 [pleural effusion] 폐 lung은 호흡을 담당하는 필수적인 기관으로 공기의 들숨과 날숨을 통해 산소를 얻고 이산화탄소를 배출하는 기관이다. 흉막 pleura은 흉벽과 가로막, 종격동의 표면을 둘러싸는 벽쪽 가슴막과 폐를 둘러싸는 허파쪽 가슴막으로 구분된다. 흉수 pleura effusion은 흉막강 내 고인 액체를 말하며, 발생 기전에 따라 여출성과 삼출성으로 나눌 수 있다. 흉수가 발생하면 일반적으로 흉막성 흉통이 발생하며 호흡곤란을 초래할 수 있다. 흉수는 원인에 따라 치료 방법이 달라지기 때문에 ...2025.01.15
-
흉막삼출(간호진단 3개, 간호과정 3개)2025.01.031. 흉막삼출 흉막삼출은 폐의 흉막에서 체액 성분이 스며나오는 삼출증상이 나타나는 질환입니다. 흉수는 벽측흉막에서 만들어지며 모세혈관의 정수압과 삼투압의 차이 및 림프관으로의 배출 등을 통해 일정한 양이 유지됩니다. 흉수의 분비 및 재흡수에 문제가 생기면 과도한 양의 흉수가 발생하게 됩니다. 흉막삼출의 일반적인 임상증상은 호흡곤란, 기침, 흉통 등이며, 진단을 위해 흉부 방사선 검사, 흉수 검사 등이 시행됩니다. 치료는 감염 치료, 배농, 폐 확장 등이 목적이며, 흉강천자, 흉강 삽관술, 화학적 흉막 유착술 등의 방법이 사용됩니다....2025.0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