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73개
-
바이러스의 분류2025.05.111. 바이러스 감염병의 진단 바이러스 감염병의 검사실 진단은 세균성 감염병의 검사실 진단과 상당히 다르게 진행되며, 그 원칙은 6가지입니다. 조직, 병리학적 검사, 특이 면역반응의 혈청학적 증명, 원인 바이러스의 분리, 배양 및 동정, 전자현미경 관찰에 의한 바이러스 입자의 발견, 바이러스 항원의 증명, 바이러스 배양 등입니다. 이 중 바이러스 분리, 배양 및 동정이 가장 정확한 방법이지만 수행 비용, 인원, 시설, 시간 등의 제한으로 실제 동정에 어려움이 있습니다. 따라서 혈청학적 방법, 조직/병리학적 검사, 바이러스 항원 증명,...2025.05.11
-
COVID-19 진단키트내용 검토(SARS-CoV-2 의 특징과 COVID-19 진단)2025.04.281. SARS-CoV-2 의 특징 SARS-CoV-2는 코로나바이러스과에 속하는 새로운 종의 바이러스로, 외피에 spike 단백질이 있어 전자현미경 상에서 왕관 모양을 띄는 특징이 있는 양성 단일 가닥(+ ssRNA) 바이러스입니다. 크기는 60-140nm의 원형 또는 타원형입니다. 코로나비리데의 하위군인 Orthocoronavirinae에 속하며, 그 중 alphaCoV와 betaCoV만이 포유동물에 감염됩니다. COVID-19는 소, 낙타, 고양이, 쥐, 박쥐 등 다른 동물 종에서도 호흡기, 장, 간 및 신경계 질환을 유발할 수...2025.04.28
-
임상화학 및 실험 레포트_ 지질(실험방법, 결과, 이론, 레퍼런스 등)2025.05.141. 전기영동 전기영동은 전기장 아래에서 용액 속의 전하가 반대 전하의 전극을 향하여 이동하는 화학 현상으로, 전하량, 크기, 분자량, 전기장, 완충액, 지지체 등의 요인에 영향을 받는다. 전기영동을 통해 혈청 단백질을 분리하여 알부민, 알파1-글로불린, 알파2-글로불린, 베타-글로불린, 감마-글로불린 등의 다양한 단백질을 관찰할 수 있다. 2. 혈청 단백질 혈청 단백질에는 알부민, 알파1-글로불린, 알파2-글로불린, 베타-글로불린, 감마-글로불린이 있다. 알부민은 혈장 단백질의 주요 성분으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며, 다른 단백질들...2025.05.14
-
형광현미경을 이용한 세포주기 분석 실험보고서2025.05.141. 세포주기 세포주기는 세포분열(M)기와 간기(interphase)로 이루어지며, 간기는 G1기, S기, G2기로 나뉜다. 세포주기에는 정지 및 출발 신호에 의해 주기가 조절되는 체크포인트가 존재하며, 이는 세포 분열을 위한 준비 상태를 확인하는 역할을 한다. 2. 간접면역형광현미경 간접면역형광현미경은 항원과 결합하는 1차 항체, 1차 항체와 결합하는 2차 항체를 이용하여 목표 항원을 찾아낼 수 있다. 2차 항체에 형광물질이 표지되어 있어 형광현미경으로 관찰할 수 있다. 3. 노코다졸 노코다졸은 tubulin 소단위에 결합하여 미...2025.05.14
-
혈액 검사시 바틀의 종류2025.01.201. EDTA 튜브 EDTA 튜브는 보라색으로, 주요 검사로는 CBC 검사, RBC 형태 검사, 세포 면역 검사 등이 있다. EDTA가 칼슘과 결합하여 혈액 응고를 막는다. 검사는 2시간 이내에 이루어져야 하며, 즉시 검사가 어려울 경우 4°C에서 24시간까지 보관할 수 있다. 2. Sodium Citrate 튜브 Sodium Citrate 튜브는 대개 하늘색 또는 파란색이며, 주요 검사로는 PT, aPTT, FDP, Fibrinogen, D-dimer, Factor 검사 등이 있다. 항응고제와 혈액의 비율은 1:9이며, 채취 후 ...2025.01.20
-
성인간호학실습 임상포트폴리오, 혈액검사 A+2025.01.201. 혈액배양검사(Blood Culture) 혈액배양검사(Blood Culture)는 새로운 발열이 생겼을 때 24시간 이내에 반드시 시행해야 하는 검사이며, 첫 번째로 나가는 혈액배양검사는 반드시 항생제 투여 전에 시행하는 것이 원칙이다. 열이 있는 환자에서 원인이 감염에 의한 것이 아니라고 확실하게 판단되지 않으면 혈액배양검사를 통해 균혈증 여부를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 혈액채취는 반드시 다른 부위에서 나가야 하는데 연속적으로 시행할 수도 있고 동시에 채혈할 수도 있다. 혈관 내 도관을 가지고 있는 환자에서는 도관을 통해 배양을...2025.01.20
-
A+ 아동 간염 케이스 스터디, 간호진단 5개, 간호과정 5개2025.01.291. 간염 급성 간염은 일반적으로 급성 바이러스 간염을 뜻한다. 급성 바이러스 간염은 주로 간을 침습하는 간염 바이러스에 의해 간세포의 급성 괴사 및 염증을 일으키는 전신 감염증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바이러스성 간염의 원인은 B형 간염 바이러스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하지만 B형 간염 예방접종으로 신생아와 소아에서의 보유율이 낮아지는 추세이며 앞으로는 C형 간염의 빈도가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A형 간염은 주로 소아에서 간염을 일으키는 것으로 보고되는데, 최근에는 성인에서의 항체 보유율이 저하되어 집단 발생이 문제가 되고...2025.01.29
-
혈액, 체액검사 항목 정상범위, 비정상 의미 / 각 검사별 채취방법2025.01.191. 일반혈액검사(CBC) 일반혈액검사(CBC)의 항목별 정상범위와 비정상 의미를 설명하고 있습니다. WBC, RBC, Hb, Hct, MCV, MCH, MCHC, RDW, PLT, PCT, MPV, PDW, Neutrophil, Lymphocyte, Monocyte, Eosinophil, Basophil, Neutropil Count 등의 항목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2. 일반화학검사(Chemistry) 일반화학검사(Chemistry)의 항목별 정상범위와 비정상 의미를 설명하고 있습니다. Na, K, Cl, Mg, T. Pro...2025.01.19
-
[일반생물학실험]혈액형 판정법과 혈구세포 관찰2025.05.011. 혈구세포 실험에서는 혈구세포 중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고 있습니다. 적혈구는 가운데가 오목한 원판모양이며 핵이 없고, 혈액 1㎣당 성인 남자는 500만개, 여자는 450만개 정도 존재합니다. 백혈구는 혈액 1㎣당 6000-8000개 있으며 중성백혈구와 림프구가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백혈구는 생체 방어 작용을 하며 외부 침입물을 포식합니다. 혈소판은 지름 2-4㎛의 핵이 없는 작은 알맹이로 혈중 농도는 20만-40만개 정도이며 혈관 파열 시 지혈 작용을 합니다. 2. 혈액형 판정 혈액형 판정은 항원-항체...2025.05.01
-
아동간호학 케이스 스터디 - 홍역2025.01.151. 홍역의 정의 홍역은 홍역 바이러스(measles virus)에 의해 호흡기가 감염되는 질병으로, 특징적인 발진을 동반하는 질환이다. 홍역은 일반적으로 1~2세에 감염되는데, 고열과 전신에 급성 발진의 증상이 나타나는 급성 전염병이다. 이염, 폐렴 합병증 등 2차 감염이 생기기도 한다. 홍역은 주로 비말을 통해 전파되며, 감염력이 매우 높다. 잠복기는 10~14일이며, 발진이 생긴 후 증상 발현 1~2일 전부터 증상 후 4일까지 감염력이 있다. 2. 홍역의 원인 홍역은 홍역에 걸린 환자와의 직접 접촉에 의해 감염되는 직접감염과 ...2025.0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