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29개
-
간호사의 법적의무 위반사례2025.01.031. 간호사의 법적 의무 간호사는 의사의 지시나 위임을 받고 의료행위를 수행할 수 있지만, 고도의 지식과 기술을 요하는 의료행위 자체를 하도록 지시받거나 위임받는 것은 허용되지 않습니다. 이를 위반할 경우 무면허 의료행위에 해당하며, 업무상과실치사 등의 형사 처벌을 받을 수 있습니다. 간호사의 법적 의무에는 주의의무, 결과예견의무, 결과회피의무, 비밀유지의무, 확인의무, 기록의무 등이 있습니다. 2. 전문간호사의 업무 범위 현행 의료법에서는 의사의 의료행위를 간호사가 하거나 위임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간호사들...2025.01.03
-
치과의료윤리와 위임진료, 그리고 개인적인 견해2025.04.281. 치과의료윤리 치과의료윤리란 환자, 전문직 동료, 사회에 대한 치과의사의 도덕적 의무(moral duties and obligation)를 말하며, 치과의료윤리 4원칙에는 '환자의 자율성, 선행, 악행금지, 정의'가 있다. 위임진료는 환자의 자율성과 선행의 원칙에 어긋나는 행위라고 볼 수 있다. 2. 위임진료 위임진료란 의사가 의료인이 아닌 자에게 의료행위를 시키거나 의료기사의 업무 범위 밖의 의료행위를 지시하는 것으로, 일종의 무면허 의료행위라고 볼 수 있다. 치과에서는 치과의사의 업무를 치과위생사나 치과기공사에게 위임하는 경...2025.04.28
-
4학년1학기 간호관리 자기주도학습 참여과제2025.01.221. 권한 위임 권한은 조직목표에 공헌하는 관리수단을 각 계층의 관리자에게 제공하는데 그 의의가 있으므로 피위임자에게 기대하는 결과를 달성할 수 있는 정도의 권한을 위임해야 한다. 또한 위임되는 권한이 어떠한 것인지 명백히 해야 한다. 권한의 위임은 상부에서 하부로 연쇄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즉 누가누구에게 권한을 위임했으며 그의 권한이 미치지 못하는 사항에 대하여 누구에게 지시를 받아야 하는지를 알아야 한다. 권한이 위임되었다 해서 책임까지 위임되는 것은 아니고 권한과 책임은 균등해야 한다. 부하의 능력수준에 맞게 해야 한다. ...2025.01.22
-
간호사의 무면허 의료행위2025.01.041. 간호사의 업무 범위 의료법 제2조에 따르면 간호사는 환자의 간호 요구에 대한 관찰, 자료수집, 간호 판단 및 요양을 위한 간호, 간호 요구자에 대한 교육·상담 및 건강증진을 위한 활동의 기획과 수행, 그 밖의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보건 활동, 의사·치과의사·한의사의 지도하에 시행하는 진료의 보조를 하는 역할이다. 간호사는 의사의 지시에 따라 환자의 상태를 평가하고 처치를 시행하는 것이 의료진의 전문적인 역할이며, 이를 통해 환자의 건강과 안전을 보호하는 것이 최우선 과제이다. 따라서 간호사는 의사의 역할을 대신하기보다는 의사와의...2025.01.04
-
의료법규 A+보장 간호사고사례 리포트(업무상과실치사, 의료법위반)2025.04.281. 간호사의 법적 의무 간호사는 의사의 지시나 위임을 받아 진료 보조행위를 할 수 있지만, 의사만이 할 수 있는 의료행위 자체를 하도록 지시받거나 위임받은 경우에는 이를 수행하는 것이 무면허 의료행위에 해당한다. 마취전문 간호사가 의사의 구체적 지시 없이 독자적으로 마취약제와 사용량을 결정하여 척수마취시술을 한 경우, 이는 의사만이 할 수 있는 의료행위를 한 것으로 무면허 의료행위에 해당한다. 2. 의료법 위반 판단 의료법 제2조 제2항 제5호에 따르면 간호사는 요양상의 간호 또는 진료의 보조 및 대통령령이 정하는 보건활동에 종사...2025.04.28
-
보건의료법규 의료법 위반 사례보고서2025.01.171. 의료법 위반 사례 마취전문간호사의 마취를 '무면허 의료행위'로 규정한 대법원의 해당 판례가 향후 마취전문간호사의 업무범위 법제화 및 활동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이면서, 해당 판례에 대한 관심도 덩달아 높아지고 있다. 해당 판례는 지난 2010년 3월 25일 대법원이 최종 판결한 사건으로, 마취전문간호사 A씨가 의사의 구체적 지시 없이 독자적으로 마취약제와 사용량을 결정하여 치핵제거수술을 받을 환자에게 척수마취시술을 한 후 환자가 사망한 사건의 업무상과실치사. 의료법위반 혐의에 대한 판결이다. 2. 의사와 간호사의 업무범위...2025.01.17
-
간호 질 향상 관련 논문 요약2025.01.291. 안전한 간호와 바람직한 환자 결과를 위한 간호인력 운영 간호사의 법정 인력 기준 상향 법제화, 간호보조 인력의 업무 경력을 간호경력으로 인정하는 방안, 의료기관에서의 간호 인력 기준과 간호 수가의 연동 법제화, 이론적 근거를 통해 안정한 간호를 제공하는 실무 인증, 안전한 간호의 독립적 행위를 보장할 수 있는 간호 전문직 교육에서의 질 보장 2. 의료사고 방지를 위한 간호 인력에의 위임과 책임 간호 인력의 부족으로 인해 간호조무사 개신 고용, 업무에 대한 책임 인식이 명확하지 않아 의료사고 가능성 상향, 의료인과 비의료인의 명...2025.01.29
-
간호사 법적 의무 임상 실례 분석_주의 의무 위반_A+2025.04.301. 대상자의 권리 환자는 자신의 건강보호와 증진을 위하여 적절한 보건의료 서비스를 받을 권리를 갖고, 성별, 나이, 종교, 신분 및 경제적 사정 등을 이유로 건강에 관한 권리를 침해 받지 아니하며, 의료인은 정당한 사유 없이 진료를 거부할 수 없다. 대상자는 피고인의 신속한 처치를 받지 못하여 자신에게 필요한 조치를 받지 못하였으므로 최선의 의료를 받지 못하였다고 볼 수 있다. 2. 간호사의 주의 의무 간호사는 피해자의 출혈 여부 관찰을 간호사에게 지시하였으므로, 간호사는 피해자를 지속적으로 주의 깊게 살펴야 했으나, 대량출혈 증...2025.04.30
-
간호사 관련 판례 조사 보고서2025.04.281. 의료법 제23조 3항 '누구든지 정당한 사유 없이 전자의무기록에 저장된 개인정보를 탐지하거나 누출, 변조 또는 훼손하여서는 아니된다.' 대법원은 전자의무기록을 작성한 당해 의료인이 그 전자의무기록에 기재된 의료내용에 관하여 의료법 제23조 제3항에서 정한 개인정보 변조행위의 주체가 될 수 없다고 판단했습니다. 즉, 의료인이 자신이 작성한 의무기록을 가필, 정정할 권한이 있다고 보았습니다. 2. 의료법 제 27조 1항 '의료인이 아니면 누구든지 의료행위를 할 수 없으며 의료인도 면허된 것 이외의 의료행위를 할 수 없다.' 대법원...2025.04.28
-
A+ 간호관련법규 판례해석 보고서2025.05.051. 의료사고에서 의료인의 과실 인정 요건 및 판단기준 의료사고에서 의료인의 과실을 인정하기 위한 요건으로는 의료인의 주의의무 위반, 그로 인한 환자의 피해, 그리고 두 사이의 인과관계 등이 있다. 이를 판단할 때는 의료행위의 전 과정, 의료인의 전문성과 경험, 환자의 상태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2. 간호사의 의사 지시 없는 의료행위 여부 간호사가 의사의 지시나 위임 없이 '의사만이 할 수 있는 의료행위'를 한 경우, 이는 무면허 의료행위에 해당한다. 마취전문간호사가 의사의 구체적 지시 없이 독자적으로 마취약제와 사용량을...2025.05.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