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4,198개
-
외과적 응급상황 정리 [연조직 손상, 화상, 전기화상, 번개손상, 신체손상, 복부손상, 다발성 외상, 흉부외상, 중추신경계 외상, 근골격계 외상]2025.05.101. 연조직 손상 연조직 손상에는 기계적 손상, 화상, 화학물질에 의한 화상, 전기에 의한 화상 등이 있다. 기계적 손상의 경우 개방성 손상은 감염의 위험이 크므로 이물질을 제거하지 않고 상처를 깨끗이 세척하는 것이 중요하다. 화상의 경우 1도, 2도, 3도로 구분되며 3도 화상은 반드시 피부이식이 필요하다. 화상 환자의 후송 기준은 호흡기계 손상, 강산이나 전기에 의한 화상, 체표면적 30% 초과, 기저질환 있는 경우, 3도 화상 10% 초과, 얼굴/손/발/성기 화상 등이다. 화학물질이나 전기, 번개에 의한 화상도 각각 특징적인 ...2025.05.10
-
외상 후 스트레스의 개념과 특성,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의 원인2025.01.161.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 흔치 않은 스트레스 사건을 압도적이라고 받아들이는 경우, 높은 각성과 불안, 우울을 생존반응(외상반응)으로 경험하게 된다. 대부분은 외상사건이 소거됨과 동시에 자연치유되고 회복되지만, 외상반응이 지속되는 경우에 이를 급성 스트레스장애나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PTSD)로 진단할 수 있다. 2. PTSD의 원인 PTSD의 원인으로는 1) 외상사건, 2) 신경생리학적 생존반응, 3) 기타 요인 등이 있다. 외상사건은 전쟁, 가정/사회의 폭력, 강간, 재난, 각종 사고 등의 Big T 외상과 대인관계 관련 Sma...2025.01.16
-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와 극복 방법2025.01.241.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는 생명을 위협할 정도의 심각한 심리적 고통을 수반하는 사건인 트라우마로 인해 발생한다. 주요 증상으로는 침투, 회피, 인지와 감정의 부정적 변화, 과잉각성 등이 있으며 우울증, 불안장애 등의 공존질환을 동반하기도 한다.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에 대한 이론으로는 스트레스 반응 이론, 박살난 가정 이론, 정서처리 이론 등이 있다. 2. 외상 극복 방법 외상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외상을 대하는 태도를 '그 사건은 이미 끝났다'와 '그 사건은 실제로 일어났다'로 바꾸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2025.01.24
-
가족 스트레스 중재_외상성 상실과 집단적 외상-강화 가족 및 지역사회 탄력성2025.04.251. 외상, 고통, 탄력성: 다중 시스템적 관점 외상 연구 분야에서 Figley와 동료들은 전쟁, 재앙적 사건, 폭력, 성적 학대의 관계적 시스템에 대한 스트레스적인 영향에 관심을 두었다. 외상의 영향을 받고 있는 구성원의 회복에 있어 가족은 필수적인 자원이다. 그러나 주요 외상은 생존자의 가장 가까운 관계 사랑하는 사람들의 행복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가족과 그들의 지역사회는 복잡하게 얽혀 있기 때문에 가족 기능과 필수적인 친족 관계망은 특히 장기간의 갈등이나 붕괴된 공동체의 조건에서 생활하는 것과 같이 복잡하고 지속적인 외상상...2025.04.25
-
다발성 외상 응급간호관리2025.01.091. 다발성 외상의 정의 다발성 외상(polytrauma)은 Injury Severity Score (ISS)가 15점보다 크고, Abbreviated Injury Scale (AIS)이 최소 두 구역에서 3점 이상이면서 다섯 가지의 병적 상태 중 최소 한 가지 이상을 갖는 경우로 정의된다. 다섯 가지 병적 상태는 90 mmHg 이하의 수축기 혈압, 8점 이하의 Glasgow Coma Scale, -6.0 이하의 염기과잉, 부분트롬보플라스틴시간이 40초 이상 또는 국제표준화비율이 1.4 이상인 응고장애, 70세 이상인 경우이다. 2...2025.01.09
-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와 극복을 위한 방안2025.01.241.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는 생명을 위협하는 심각한 사건을 경험한 후 나타나는 장애로, 사건에 대한 공포감과 재경험, 회피, 부정적 변화, 과각성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PTSD 관련 이론으로는 스트레스 반응 이론, 박살 난 가정 이론, 정서처리 이론 등이 있다. 2. 외상 후 성장 외상 후 성장은 심리적 충격을 겪은 후 회복력을 통해 긍정적 변화를 경험하는 것을 말한다. 외상 후 성장의 과정은 외상 사건 발생, 부정적 결과 유발, 신념체계 붕괴, 고통 감소, 의미 탐색 등으로 이루어진다. 3. ...2025.01.24
-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의 사례와 설명2025.05.111.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는 충격적인 사건을 경험하거나 목격한 후 나타나는 다양한 정신적, 신체적 증상을 말한다. 사고 장소 및 사고 기억에 대한 회피, 정기적인 병원 치료와 약물 복용 등이 대표적인 사례이다.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의 역사, 원인, 증상, 진단 및 치료 방법 등을 자세히 설명하고 있다. 1.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는 심각한 외상적 사건을 경험한 후 발생하는 정신 건강 문제입니다. 이 장애는 불안, 우울, 악몽, 회피 행동 등의 증상을 동반하며, 일상 생활과...2025.05.11
-
ATLS 소아 외상 관리2025.01.041. 소아 외상 역학 소아에서 가장 흔한 사망 원인은 자동차 사고로 인한 외상이다. 둔상 기전과 소아의 고유한 신체적 특성으로 인해 다발성 장기 손상이 발생한다. 대부분의 부상 소아는 치료 중 상태가 악화되지 않으며, 혈역학적 이상이 없다. 그러나 일부 다발성 손상 소아는 상태가 급격히 악화되어 심각한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 2. 소아 기도 관리 소아 심정지의 가장 흔한 원인은 기도 폐쇄이다. 소아는 큰 머리와 불완전한 경추 골화로 인해 기도 관리가 어렵다. 기관내삽관 시 튜브 크기는 콧구멍 크기 또는 가장 작은 손가락 지름과 ...2025.01.04
-
(PTSD)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2025.05.051.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PTSD)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PTSD)는 생명의 위협을 느낄 정도로 정신적으로 심한 충격을 주는 외상적 사건이나 상황을 경험한 후 일련의 심각한 이상증상이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불안장애의 일종입니다. 이 질환의 주요 증상으로는 충격적인 사건의 재경험, 관련 상황 및 자극에 대한 회피, 해리 현상이나 공황발작, 우울증 및 약물 남용 등이 있습니다. 치료방법으로는 인지행동치료, 집단치료, 단기 정신역동 정신치료, 부부 및 가족치료, 약물치료 등이 있습니다. 2. PTSD의 원인 PTSD의 원인은 충격...2025.05.05
-
외상응급의료의 중요성과 필요성2025.05.091. 외상응급의료 외상 응급 의료는 생명을 위협하는 부상을 해결하고 매일 수많은 생명을 구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사고, 재해 또는 폭력 사건이 발생할 때, 즉각적인 전문 의료 서비스 제공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외상성 상해는 자동차 사고, 추락, 스포츠 관련 사고, 자연 재해, 폭력 행위 및 산업 사고를 포함하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는 광범위한 상황에서 발생할 수 있다. 외상응급의료의 목적은 외상부상을 입은 개인에게 즉시 평가, 안정화 및 치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전문적인 의학 분야는 다학제적 접근 방식을 포함하며, 숙련된 ...2025.05.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