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3개
-
파이펫 사용법과 DNA 정량 실험2025.11.131. 마이크로파이펫(Micropipette) 사용법 마이크로파이펫은 마이크로리터 단위의 액체를 정확하게 흡입하고 분출하는 분자세포생물학 실험에서 가장 자주 사용되는 파이펫이다. 사용 시 주의사항으로는 팁 끝이 오염되지 않도록 주의하고, push button을 천천히 눌러야 한다. 빠르게 누르면 버블이 생겨 오차가 발생할 수 있으며 파이펫이 오염될 수 있다. First stop과 second stop 두 지점이 있으며, 각 단계에서 적절히 눌러야 한다. 정기적인 내부 클리닝, 멸균, 연 1회 calibration이 필요하다. 2. 흡...2025.11.13
-
광학현미경과 파이펫의 원리 및 사용법 실험2025.11.181. 광학현미경의 구조와 기능 광학현미경은 빛의 파장을 이용하여 물체를 관찰하는 장비로, 대물렌즈의 배율이 높아질수록 재물대와의 거리가 가까워져 상의 밝기가 어두워지고 시야가 좁아진다. 현미경 관찰 시 저배율에서 고배율 순서로 진행하며, 각 배율에서 초점을 맞추고 조명을 조절하여 명확한 상을 얻는다. 프레파라트 제작 과정에서 파이펫을 사용하여 액체를 정확히 분배한다. 2. 모발의 미세구조 관찰 모발은 표면의 큐티클층, 대부분을 차지하는 코르텍스층, 중심부의 메듈라층으로 구성된다. 일반모는 불투명한 검은색이고 표면이 매끄러우며, 염색...2025.11.18
-
DPPH 라디칼 소거 활성능을 이용한 항산화 물질 평가2025.11.161. DPPH 라디칼 소거 활성능 DPPH 라디칼 소거 활성능은 [(A control - A sample) / A control] × 100 공식으로 계산되며, A control은 시료를 첨가하지 않은 대조군의 흡광도, A sample은 시료를 첨가한 반응군의 흡광도를 의미한다. 실험 결과 Tocopherol이 가장 우수한 항산화 능력을 보였으며, Gallic acid도 상당한 항산화 능력을 나타냈다. L-ascorbic acid는 중간 정도의 항산화 능력을 보였고, Naringin은 상대적으로 낮은 항산화 능력을 나타냈다. 2. ...2025.11.16
-
현미경 및 초자류의 원리 및 조작2025.11.151. 광학현미경의 원리 및 사용법 광학현미경은 대물렌즈와 접안렌즈의 배율을 곱하여 총 배율을 결정한다. 저배율에서 고배율로 관찰할 때 시야는 좁아지지만 상이 확대되어 세부 구조를 관찰할 수 있다. 현미경 사용 시 저배율(40X)에서 시작하여 고배율(100X, 400X)로 진행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머리카락 관찰 실험에서 배율에 따른 상의 크기 변화와 표면 구조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2. Pipetting 기술과 액체 취급 Micropipette를 이용한 정확한 액체 이동은 생명과학 실험의 기본이다. 설탕물의 농도 차이를 이용...2025.11.15
-
미생물 분류학 실험보고서: 16S rRNA를 이용한 미생물 동정2025.11.151. 미생물의 순수배양 및 분리 방법 미생물 순수배양은 한천배지에서 단일 종만 존재하는 상태에서 배양하는 과정입니다. 도말평판법은 백금으로 균을 찍어 평판배지 위에서 지그재그로 연속 도말하여 균의 수를 점진적으로 감소시키는 방법이고, 주입평판법은 희석한 시료를 45℃의 한천배지와 섞어 배양하는 방법입니다. 표면도말법은 희석된 시료를 한천배지에 도말하여 집락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액체배지에서는 희석법을 사용하여 연속적으로 희석된 배지에 접종합니다. 2. 중합효소연쇄반응(PCR)과 16S rRNA 분석 PCR은 특정 표적 유전물질을 증...2025.11.15
-
Horseradish Peroxidase 효소 동역학 분석 실험2025.11.161. 효소 동역학 분석 (Enzyme Kinetic Assay) Horseradish Peroxidase (HRP)를 이용한 효소 동역학 실험으로, ABTS를 기질로 사용하여 분광광도계로 흡광도 변화를 측정했다. 다양한 기질 농도(50-400 μM)에서 시간에 따른 흡광도 변화를 405nm에서 20초 간격으로 5분간 측정하여 초기 반응속도(V₀)를 구했다. Michaelis-Menten 반응식과 Lineweaver-Burk plot을 이용하여 Vmax, Km, Kcat 값을 계산했다. 2. Lineweaver-Burk Plot 분석...2025.11.16
-
적분과 심박출량: 염료희석법을 통한 심낭염 진단 탐구2025.11.151. 심박출량(Cardiac Output)과 염료희석법 심박출량은 심장의 수축 운동에 의해 1분 동안 동맥으로 박출되는 혈액량으로, 안정 시 성인의 심박출량은 4~6L이다. 염료희석법은 염료를 우심방에 주입하여 대동맥에서 나가는 염료의 농도를 측정함으로써 심박출량을 구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심장의 기능과 전체 순환계 상태를 평가하는 데 중요하며, 정적분을 이용하여 심박출량 F를 계산할 수 있다. 2. 심낭염과 부정맥의 관계 심낭염은 mRNA 백신의 대표적인 부작용으로, 빠른 심장박동이나 심장박동의 불규칙성(부정맥)이 주요 증상이...2025.11.15
-
에탄올 수용액 제조와 분몰부피 측정 실험2025.11.161. 에탄올 수용액 제조 미지 에탄올 수용액의 질량을 측정하여 밀도를 구하고 조성을 결정하는 실험. 조성이 감소할수록 밀도가 물에 가까워지는 경향을 관찰. 내삽법을 이용하여 정확한 조성을 계산하고, 91% 에탄올 수용액을 60% 조성으로 희석하는 과정에서 0.6% 오차 발생. 오차 원인은 온도 변동과 에탄올의 기화 현상으로 분석됨. 2. 분몰부피 측정 3M NaCl 수용액을 제조하고 4배, 8배 희석하여 밀도와 몰랄 농도를 측정. 25°C에서 3M NaCl의 이론 밀도는 1.14g/mol이나 실험값은 1.11886g/mol로 측정됨...2025.11.16
-
소화효소의 활성 결과레포트2025.11.141. 효소의 정의 및 특성 효소는 생물체 내에서 각종 화학반응을 촉매하는 단백질이다. 효소는 세포 내외에서 특수한 촉매작용을 하지만 그 자체는 변하지 않으며, 생물체 내에서의 촉매를 특히 효소라고 부른다. 효소의 주성분은 단백질이며, 대부분의 소화효소는 단백질만으로 활성을 나타낸다. 효소는 생물체 내에서 활성화 에너지를 낮추어 물질대사의 반응 속도를 증가시키는 생체 촉매이다. 2. 아밀라아제와 온도의 관계 아밀라아제는 다당류의 글루코사이드 결합을 절단하여 이당류나 단당류를 만드는 효소이다. 효소는 온도 35~45℃ 정도에서 활성이 ...2025.11.14
-
식품미생물학 ) 수분활성도와 미생물 생육의 관계2025.01.241. 수분활성도와 미생물 생육의 관계 수분활성도는 미생물의 생육에 있어 결정적인 요소 중 하나이다. 이는 미생물이 활성화되어 증식하는 데 필요한 최소한의 수분 환경을 나타내는 지표로, 수분활성도가 일정 수준 이하로 떨어지면 미생물의 생육 및 증식이 크게 제한된다. 구체적으로 보면, 세균은 수분활성도가 0.9 이상, 효모는 0.8 이상, 그리고 곰팡이는 0.6 이상의 환경에서야 제대로된 생육이 가능하다. 2. 수분활성도를 낮추어 식품의 저장성을 높이는 방법 실제 생활에서는 다양한 방법으로 식품의 수분활성도를 조절하여 그 보존성을 높이...2025.01.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