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44개
-
스토아학파와 에피쿠로스학파의 행복론2025.01.141. 스토아학파의 행복론 스토아학파는 외부 상황은 우주, 자연의 필연적인 인과법칙에 따라 일어나는 바꿀 수 없는 것이거나 내 의지와 상관없이 일어나는 일들이므로 순응하면 되고, 그러한 외부 상황을 어떻게 받아들이고 이해, 해석하는지는 내가 하기에 달린 것이며 바꿀 수 있는 영역이라고 보았다. 스토아학파에 따르면 인간뿐만 아니라 이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것은 로고스 즉, 이성의 법칙에 따라 움직인다. 따라서 인간 역시 그 내면에 존재하는 이성의 법칙에 따라 움직인다. 스토아학파는 감정으로부터의 해방, 즉 기쁨과 슬픔에 대한 완전한 무...2025.01.14
-
스토아 학파와 에피쿠로스의 세계관과 바울의 세계관2025.01.281. 에피쿠로스 학파의 세계관 에피쿠로스 학파는 신의 존재를 인정하지 않았으며 인생의 목적을 자기 행복에 두었고 쾌락을 지고의 선으로 간주하였다. 그들은 우주가 우연의 결과이고 신들도 다른 모든 존재와 같이 원자의 복합체이며, 신들은 섭리를 통해 세상일에 간섭하지 않는 '잠자는 신'이라고 믿었다. 따라서 그들은 세상에서의 웰빙을 추구하는 삶을 살았다. 2. 스토아 학파의 세계관 스토아 학파는 모든 만물을 신으로 보는 범신론의 입장을 취하고 있으며 일체의 사물이 신의 뜻에 따라 그 운명이 정해지는 것으로 보고 있다. 그들에게 있어서 ...2025.01.28
-
생활과 윤리 수능연계교재 선지 OX 문제 및 정답(에피쿠로스)2025.01.201. 죽음과 윤리 에피쿠로스는 죽음을 감각의 소멸이자 영혼의 해체로 보았기 때문에 죽음은 두려워할 대상이 아니라고 주장했다. 그는 죽음 이후에 육체와 영혼이 모두 소멸한다고 보았으며, 현명한 사람에게 죽음은 두려움의 대상이 아니라고 생각했다. 그러나 그는 죽음 이후에 영혼이 영원불멸하는 진리의 세계에 들어갈 수 있다는 생각은 반대했다. 1. 죽음과 윤리 죽음은 인간이 피할 수 없는 자연스러운 과정이지만, 그 과정에서 발생하는 윤리적 문제들은 복잡하고 민감한 주제입니다. 죽음에 대한 개인의 신념과 가치관, 그리고 사회적 규범이 충돌하...2025.01.20
-
행복에 이르는 지혜 4장, 5장, 9장 중 인상적인 주제 정리2025.05.031. 행복의 정의 행복은 개인마다 다르게 정의되며, 어린이에게는 부모의 보호 아래 맛있는 아이스크림을 먹는 것이 행복일 수 있지만, 사회 초년생에게는 원하던 회사에 입사하거나 결혼하는 것이 행복일 수 있다. 노년에는 건강과 가족의 화목이 행복의 기준이 된다. 따라서 행복의 기준은 개인마다 다르며, 그때그때 만족할 줄 아는 삶을 살아가는 것이 행복의 시작이라고 할 수 있다. 2. 에피쿠로스의 행복론 에피쿠로스는 철저한 유물론자이자 원자론자로, 인간의 자발성과 의지가 확대되면 스스로 행동하고 도덕적 책임을 지는 존재가 된다고 보았다. ...2025.05.03
-
2024년 1학기 방송통신대 기말과제물 - 행복에이르는지혜2025.01.251. 플라톤의 행복론 플라톤은 서양의 윤리학, 행복론의 체계를 최초로 다져 놓은 인물이다. 그는 모든 사람들이 행복을 원한다고 보았지만, 재산, 외모, 사회적 지위 등의 외적 요소들이 그 자체로 선하거나 악한 것이 아니라 그것을 사용하는 사람의 태도와 지혜에 따라 가치가 달라진다고 설명했다. 플라톤은 정의로운 삶을 통해 건강한 영혼을 기르는 것이 행복의 핵심이라고 주장했다. 그의 이상국가 모델인 칼리폴리스에서는 각자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며 서로 조화를 이루는 것이 정의의 실현이자 행복의 길이다. 2. 아리스토텔레스의 행복론 아리스...2025.01.25
-
행복에 이르는 지혜(기말)2025.01.251. 플라톤의 행복론 플라톤은 행복이 단순히 좋은 것을 얻는 것이 아니라 자기 내면에 대한 성찰과 균형 잡힌 정신을 함양하는 과정에서 얻어진다고 보았습니다. 그는 이상적인 국가와 개인의 영혼이 조화와 균형을 이루어야 정의로운 삶, 즉 가장 행복한 삶에 이를 수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2. 아리스토텔레스의 행복론 아리스토텔레스는 행복을 인간의 고유한 기능을 완전하게 실현하는 것이라고 보았습니다. 그에 따르면 행복은 이성적 영혼의 활동이며, 이는 덕의 실천을 통해 달성됩니다. 따라서 아리스토텔레스는 행복을 위해서는 지속적인 노력과 실천이...2025.01.25
-
행복에 이르는 지혜 기말 2, 3, 4, 5장 공부 및 행복론 요약2025.01.251. 소크라테스의 행복론 소크라테스는 정의로운 삶이 행복을 찾는 길임을 강조한다. 그는 정의로운 국가와 개인의 퇴락 과정을 통해 정의의 중요성을 설명하며, 정의를 포기하는 행위가 곧 행복을 잃게 되는 원인이라고 주장한다. 정의로운 사람은 욕구를 제어하고 다른 이의 이익을 고려함으로써 진정한 행복을 찾을 수 있다고 설명한다. 2. 아리스토텔레스의 행복론 아리스토텔레스는 인간의 행복을 심층적으로 탐구하며, 그것을 외적인 성공이나 성품의 덕만으로 설명하지 않는다. 그는 인간이 신적인 차원까지 넘어선 행복을 추구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러...2025.01.25
-
행복에 이르는 지혜2025.01.251. 플라톤의 행복론 플라톤의 행복론은 영혼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정의로운 국가의 형성과 그 안에서 정의로운 개인의 삶을 통해 행복을 설명한다. 플라톤의 철학적 사상에서 행복의 개념을 명확히 이해하려면, 영혼의 구조, 국가의 이상적인 형태, 그리고 정의와 아름다움의 개념을 고려해야 한다. 플라톤에 따르면, 인간의 영혼은 세 부분으로 나뉜다. 이성, 기개, 욕망의 세 부분은 특정한 덕목과 관련이 있는데, 이성은 지혜와 관련이 있고, 기개는 용기와 관련이 있으며, 욕망은 절제와 관련이 있다. 영혼의 각 부분이 제자리를 지키며 조화를 이...2025.01.25
-
행복에 이르는 지혜2025.01.251. 플라톤의 행복론 플라톤은 행복을 단순한 쾌락이나 만족을 추구하는 것이 아니라, 영혼이 자신의 기능을 훌륭하게 수행하는 데서 비롯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인간의 영혼을 이성, 용기, 절제라는 세 가지 부분으로 구성된다고 생각했다. 플라톤은 절제가 없이는 진정한 행복을 얻을 수 없다고 주장했다. 그는 과도한 욕망은 불행과 고통의 근원이라고 생각했고, 절제를 통해서만 내면의 평온과 균형을 이루고 진정한 행복을 얻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2. 아리스토텔레스의 행복론 아리스토텔레스는 행복을 '탁월성에 따른 영혼의 활동'이라고 정의...2025.01.25
-
죽음과 윤리에 대한 다양한 철학적 관점2025.05.101. 유교의 죽음관 유교에서는 삶과 죽음을 자연의 순리로 받아들이며, 삶을 소중히 여기되 죽음을 두려워하지 않는다. 공자와 맹자는 삶을 잘 살아내는 것이 중요하며, 죽음에 대해서는 알 수 없다고 보았다. 또한 죽음을 맞이할 때 예(禮)를 다하여 존엄성을 지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2. 도가의 죽음관 도가에서는 삶과 죽음을 자연의 순환 과정으로 보며, 이를 차별하지 않는다. 장자는 삶과 죽음이 밤낮의 변화와 같다고 하며, 진인(眞人)은 삶을 기뻐하지도 않고 죽음을 거부하지도 않는다고 말했다. 도가는 자연의 변화에 순응하면 슬픔과 즐거움...2025.05.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