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65개
-
기관내삽관 및 관리, 빠른기도삽관, 어려운기도삽관 포함 PPT 자료2025.04.261. 기도관리 기관내삽관은 술기 자체가 어렵기도 하지만 삽관을 할 것인지 말 것인지를 판단할 줄 아는 것이 중요하다. 삽관의 결정이 환자의 예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어떤 장비로 어떻게 삽관할 것인지, 약물은 어떻게 사용할 것인지, 삽관에 실패했을 때에는 어떤 대비책을 준비할 것인지 상황에 대한 판단이 필요하기에 쉽지 않다. 기관내 삽관의 필요성을 결정하는 원칙과 환자의 기도평가 방법, 실수의 가능성을 줄이기 위한 방법을 알아야 한다. 2. 기도삽관의 적응증 기도 유지(maintenance) 또는 보호(p...2025.04.26
-
신규간호사 교육 매뉴얼_전문기도 확보와 환기의 이해2025.05.111. 전문기도 확보와 환기 전문기도기의 종류에는 기관내삽관 외에 기관으로 직접 튜브를 넣지 않고 후두에 위치구(extraglottic device)가 있다. 특히 후두마스크기도기, 아이-젤 기도기, 후두기도기 등이 현재 여러 나라에서 사용되고 있다. 전문기도기를 통한 인공호흡은 충분한 훈련과 경험이 있는 보건의료인들에게 권장되지만, 아직까지 전문기도기 사용이 심정지 환자의 생존율을 높인다는 증거는 불충분하다. 따라서 성인 심정지 환자에게 심폐소생술을 할 때 백 마스크 또는 전문기도기 중 어느 방법을 선택해도 된다. 2. 기관내 삽관...2025.05.11
-
Video laryngoscope(회사명 코맥 KoMAC)사용법2025.01.181. Video Laryngoscope Video Laryngoscope는 기관 내 삽관 튜브를 삽관하는데 사용하는 기구로, 모니터를 통해 기도 내부를 보면서 삽관할 수 있는 장비입니다. 기관 내 삽관이 어려운 환자에게 fiber optics videoscope를 통해 성문을 직접 확인하고 삽관할 수 있어 일반 기관 내 삽관보다 성공 확률이 높습니다. 2. Video Laryngoscope 기기 사용 방법 Video Laryngoscope 기기 사용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 Video Laryngoscope box 준비 및 개봉...2025.01.18
-
도수적 기도유지, 인공 기도유지(intubation) 방법 및 주의사항(레포트 A+)2025.05.061. 도수적 기도유지 방법 두부후굴/하악거상법과 하악견인법은 외상환자가 아닌 경우의 도수 기도 유지법으로 가장 흔하게 사용된다. 두부후굴/하악거상법은 환자의 이마를 밀어 두부를 후굴시키고 턱을 전방으로 거상시켜 기도를 개방한다. 하악견인법은 양쪽 하악을 전방으로 밀어 올려 기도를 개방한다. 목뼈 손상의 위험이 있는 경우에는 하악견인이나 변형된 하악견인을 사용해야 한다. 2. 인공기도기를 이용한 기본기도 유지법 구인두기도기와 비인두기도기는 의식이 없는 환자에서 기도를 유지하는 데 사용된다. 구인두기도기는 입을 통해 삽입하여 기도를 유...2025.05.06
-
Tube, 비위관 종류 및 간호2025.01.271. L-tube L-tube는 위장관으로부터 가스, 수술 후 분비물을 제거하기 위해 삽입합니다. 삽입 시 위관의 길이는 코→귀→검상돌기까지이며, 청색증, 구역질, 기침, 호흡곤란 증상을 관찰해야 합니다. 위관을 잘 고정하고 위관의 위치를 확인하며, 위관영양 시 residual volume을 체크하고 부작용 증상을 관찰해야 합니다. 장기적으로 사용하는 경우 2주일마다 교환하고 피부 손상을 주의깊게 관찰해야 합니다. 2. Trachial-tube 기관내 삽관의 목적은 기도의 개방성을 유지하고, 흡인을 방지하며, 분비물 제거와 양압적 ...2025.01.27
-
소아 청소년 응급 간호2025.01.041. 소아기도 관리 소아청소년 환아의 기도 관리에는 소아기도의 해부학적 및 생리학적 차이점을 고려해야 합니다. 소아의 기도 확보술로는 자세잡기, 백마스크 환기, 기관내 삽관 등이 있으며, 기관내 도관 선택, 기능확인, 소침 준비, 후두경 날 선택, 기관내 삽관 확인, 호기말 이산화탄소 분압 측정, 기관삽관 튜브 고정, 기관삽관 후 흡인 등의 과정이 필요합니다. 2. 2020 AHA 지침의 소아심폐소생술 2020 AHA 지침에 따르면 소아 생존의 고리, 심정지의 가역적인 요인, 소아 기본 심폐소생술, 심폐소생술의 중요 요소, 심정지 ...2025.01.04
-
간호과정 A+ 당뇨병 간호진단3개2025.01.021. 기관 내 삽관 및 의식수준 저하와 관련된 흡인의 위험 의식수준 저하, 기침/구개반사 저하, 턱의 보철장치, 위 내용물 배출시간 지연 등의 요인으로 인해 위장 분비물, 구강인두 분비물, 외부에서 들어온 고형이나 액체음식이 정상적인 방어기전이 기능을 못하거나 없어 기관이나 기관지 내로 넘어갈 위험이 있는 상태이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 1시간마다 흡인(석션)을 시행하고, 활력징후와 폐음, 산소포화도를 사정하며, 필요 시 ABGA 검사와 가래량 감소 관련 약물 투여 등의 간호중재가 필요하다. 2. 도뇨관 삽입과 관련된 감염의 위험 도...2025.01.02
-
천식 발작(Asthma attack)2025.01.041. 천식 천식은 가장 흔한 만성 기도질환 중 하나로, 가변적인 증상(호흡곤란, 천명, 가슴답답함, 기침 등)과 가역적인 호기 기류제한이 특징입니다. 천식 악화 요인으로는 운동, 알레르기 유발 요인, 날씨 변화, 호흡기계 감염 등이 있습니다. 2. 천식 발작 천식 발작은 천식 증상과 폐기능이 급속도로 악화되는 것을 말합니다. 천식 발작은 기관지 경련, 기도 수축, 염증으로 인한 기도 내벽 비대, 호흡량 감소, 점액 과분비로 인한 기도 폐쇄 및 감염 등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천식 발작 악화 징후로는 빈호흡, 빈맥, 흡기 보조 근육 사...2025.01.04
-
성인간호학 실습 - ER 응급실 실습 사전학습2025.05.071. Emergency cart 약물 응급실에서 사용되는 주요 약물들의 작용기전, 용량 및 투여경로, 부작용 등을 자세히 설명하고 있습니다. Atropine, Epinephrine, Sodium bicarbonate, Tropin, Cordarone, Norpine 등의 약물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2. Emergency Kit 장비와 기구 응급실에서 사용되는 주요 장비와 기구들을 단계별로 설명하고 있습니다. 기관내 튜브, 기도유지기, 마스크, 수액 관련 기구 등 응급처치에 필요한 다양한 장비와 기구들의 용도와 사용방법을...2025.05.07
-
HICU AMI 임상사례 구두보고서2025.01.221. 심장기능 저하와 관련된 심박출량 저하 대상자는 AMI(급성 심근경색) 진단을 받았으며, 심장 기능 저하로 인한 심박출량 감소가 나타났습니다. 간호사는 EKG 모니터링, 활력징후 및 I/O 확인, 약물 투여 등을 통해 대상자의 심박출량 증진을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단기적으로는 정상 심박수 범위 유지, 장기적으로는 입원기간 동안 정상 심박동수 유지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2. 의식수준 저하와 관련된 비효과적 기도 청결 대상자의 의식수준이 저하되어 스스로 객담을 배출하지 못하는 상황입니다. 간호사는 호흡 상태 모니터링, 기도 ...2025.0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