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과정 A+ 당뇨병 간호진단3개
본 내용은
"
간호과정 A+ 당뇨병 간호진단3개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1.08
문서 내 토픽
  • 1. 기관 내 삽관 및 의식수준 저하와 관련된 흡인의 위험
    의식수준 저하, 기침/구개반사 저하, 턱의 보철장치, 위 내용물 배출시간 지연 등의 요인으로 인해 위장 분비물, 구강인두 분비물, 외부에서 들어온 고형이나 액체음식이 정상적인 방어기전이 기능을 못하거나 없어 기관이나 기관지 내로 넘어갈 위험이 있는 상태이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 1시간마다 흡인(석션)을 시행하고, 활력징후와 폐음, 산소포화도를 사정하며, 필요 시 ABGA 검사와 가래량 감소 관련 약물 투여 등의 간호중재가 필요하다.
  • 2. 도뇨관 삽입과 관련된 감염의 위험
    도뇨관 삽입으로 인해 병원성 미생물에 의해 침범될 위험성이 증가된 상태이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 4시간마다 활력징후를 측정하고, 소변의 색, 냄새 등을 사정하며, 대상자 또는 보호자에게 도뇨관 조작 금지 및 필요 시 보고하도록 교육하는 등의 간호중재가 필요하다.
  • 3. 인지기능 장애 및 활동 저하와 관련된 욕창의 위험
    의식 저하, 신체적 부동 등으로 인해 압박 또는 쓸리는 힘과 결합된 압력의 결과로 주로 뼈 돌출 부위의 피부 또는 그 아래 조직에 국한된 손상에 취약한 상태이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 활력징후 측정, 2시간마다 자세 변경, 홑이불 편평하게 정리, 4시간마다 피부 상태 확인, 브레이든 욕창 위험 사정도구 활용 등의 간호중재가 필요하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기관 내 삽관 및 의식수준 저하와 관련된 흡인의 위험
    기관 내 삽관은 환자의 기도를 확보하고 인공호흡을 가능하게 하는 중요한 처치이지만, 동시에 흡인의 위험을 동반합니다. 의식수준이 저하된 환자의 경우 기침 및 연하 반사가 저하되어 구토물이나 분비물이 기도로 유입될 위험이 높습니다. 이로 인해 폐렴, 무기폐, 급성호흡부전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기관 내 삽관 시 흡인 예방을 위한 주의 깊은 관찰과 적절한 간호중재가 필요합니다. 기도 흡인 예방을 위해서는 기관 내 튜브의 적절한 위치 유지, 흡인 전 산소공급, 흡인 시 무균술 준수, 체위변경 등의 간호중재가 중요합니다. 또한 의식수준 저하 환자의 경우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함께 기도 확보, 기침 유발, 체위변경 등의 적극적인 간호중재가 필요할 것입니다.
  • 2. 도뇨관 삽입과 관련된 감염의 위험
    도뇨관 삽입은 배뇨장애 환자의 관리에 필수적인 처치이지만, 동시에 요로감염의 위험을 동반합니다. 도뇨관을 통해 세균이 방광 내로 유입되어 방광염, 신우신염 등의 요로감염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는 환자의 회복을 지연시키고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도뇨관 삽입 및 관리 시 무균술 준수, 적절한 도뇨관 고정, 정기적인 도뇨관 교환 등의 간호중재가 중요합니다. 또한 도뇨관 삽입이 필요한 환자의 경우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함께 증상 발현 시 신속한 대응이 필요할 것입니다. 요로감염 예방을 위해서는 환자 교육, 적절한 수분 섭취, 배뇨 습관 관리 등의 포괄적인 접근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 3. 인지기능 장애 및 활동 저하와 관련된 욕창의 위험
    인지기능 장애 및 활동 저하 환자는 욕창 발생의 고위험군에 속합니다. 이들은 통증 및 불편감에 대한 인지와 표현이 어려워 욕창 발생을 조기에 발견하기 어렵습니다. 또한 활동 저하로 인해 피부에 지속적인 압박이 가해지고, 영
주제 연관 토픽을 확인해 보세요!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