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863개
-
[종합실습 A+] 병동 드레싱 카트 물품 및 소독 약품 (실제 사진) + 병동 주요 시술 및 수술 검사2025.04.291. 병동 드레싱 카트 물품 및 소독 약품 양지병원 드레싱 카트에 포함된 물품 및 소독약품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포셉, 가위, 멸균 탈지면, 소독제 등 드레싱 및 처치에 사용되는 다양한 물품과 소독약품이 카트에 구비되어 있습니다. 각 물품과 약품의 사용 목적 및 용도가 자세히 기술되어 있습니다. 2. 병동 주요 시술 및 수술 병동에서 이루어지는 주요 시술 및 수술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갑상선고주파시술, 요실금 수술, 편도절제술, 담낭절제수술, 치핵수술, 충수절제술, 사타구니 탈장수술, 하지정맥류 수술 등 다양한 시술과 수...2025.04.29
-
뇌수술 및 시술2025.01.141. 뇌 수술 및 시술 종류 신경외과 수술 및 시술에는 개두술(craniotomy), 두개골 절제술(craniectomy), 천두술(burr hole/trephination), 두개골 성형술(Cranioplasty), 뇌실 복막간 단락술(Ventriculoperitoneal shunt), 기관절개술(Tracheostomy) 등이 있습니다. 각 수술 및 시술에 대한 주요 내용이 설명되어 있습니다. 2. 뇌혈관 조영술 뇌혈관 조영술에는 TFCA(Trans Femoral Cerebral Angiography), 동맥 내 혈전 제거술(Th...2025.01.14
-
병동의 주요 시술/수술/침습적 검사 및 관련 간호2025.05.071. 호흡기내과 호흡기내과에서 시행하는 주요 시술/수술/침습적 검사로는 전혈구 검사(CBC), 동맥혈가스분석(ABGA), 그람염색 검사, 객담 배양 및 민감성 검사, 객담 세포검사, 흉부 X-선 촬영, 컴퓨터단층촬영(CT) 등이 있다. 이러한 검사를 통해 호흡기계 질환의 진단 및 치료 방향을 수립할 수 있다. 간호사는 검사 전후 대상자의 상태를 사정하고 합병증 예방을 위한 간호중재를 제공해야 한다. 2. 소화기내과 소화기내과에서 시행하는 주요 시술/수술/침습적 검사로는 위관삽입, 위관영양, 경피적 내시경 위루술(PEG), 중심정맥관...2025.05.07
-
신규간호사 교육 매뉴얼_수술/시술/처치 전 점검 및 교육2025.05.111. 수술/시술/처치 전 점검 절차 수술/시술/처치 전 점검 절차에는 일반적인 절차, 수술/시술/처치 전 확인 절차, 수술/시술/처치 직전 확인 절차 등이 포함됩니다. 일반적인 절차에는 환자 정보 확인, 수술/시술 부위 표식, 환자 참여 등이 있습니다. 수술/시술/처치 전 확인 절차와 수술/시술/처치 직전 확인 절차에서는 환자 확인, 동의서 확인, 표지 확인 등을 수행합니다. Time-out 절차도 수술/시술/처치 직전에 시행됩니다. 2. 수술부위 표지를 위한 활동 지침 수술부위 표지 대상, 표지자, 표지 방법, 수술부위 표지 예외...2025.05.11
-
실전 임상영어2025.05.031. 임상영어 임상영어 관련 용어와 표현을 정리하였습니다. 수술이 지연되는 경우 클리닉에 연락하여 알려주고, 수술 전 항생제 처방이 없는 경우, 수술 후 퇴원 환자의 입원 준비 등 다양한 상황에서 사용할 수 있는 영어 표현을 제공하였습니다. 2. 의료용어 MRSA, Hepatitis B/C, SNF, LTAC 등 의료 현장에서 자주 사용되는 약어와 용어를 정리하였습니다. 또한 환자 상태 표현, 투약, 검사 등과 관련된 용어도 함께 다루었습니다. 3. 의사소통 환자, 보호자, 동료 간 의사소통에 필요한 다양한 표현을 정리하였습니다. ...2025.05.03
-
A+ 혈전성 뇌졸중 문헌고찰(주제발표)2025.05.151. 신경계통 신경계는 크게 중추신경계(central nervous system, CNS)와 말초신경계(peripheral nervous system, PNS)로 구분할 수 있다. 중추신경계는 뇌(brain)과 척수(spinal cord)로 구성되며, 말초 수용기를 통해 신체 안과 밖에서 들어오는 모든 정보를 총괄하여 원활한 활동이 가능하도록 통제하고 조정하는 중심적 기능을 발휘한다. 2. 뇌 순환 뇌는 좌우 내경동맥(internal carotid artery)과 좌우 추골동맥(vertebral artery)에 의해 혈액공급을 받고...2025.05.15
-
신경외과 시술 및 수술 전후 간호 총정리(임상)2025.05.111. UBE disectomy 양방향 척추 내시경 수술로, 5mm 정도의 두 개의 구멍을 통해 한쪽은 내시경, 다른 한쪽은 수술 기구를 삽입해 8~10배의 배율로 병변을 보며 수술을 진행합니다. 기존의 절개 수술법에 비해 근육 손상이 거의 없어 수술 후 통증이 덜하며 회복이 빠른 장점이 있습니다. 또한 기존의 단일공 척추 내시경 수술과 비교하여 넓은 수술 시야확보 및 다양한 기구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2. PSLD 내시경 협착 신경 감압술로, 7mm의 최소절개 후 내시경, 레이저, 미세드릴을 사용하여 근육이나 뼈의 손상 없이 척추...2025.05.11
-
[A+보장]아동간호학실습 울혈성 심부전(Congestive Heart Failure) 간호, 간호진단, 간호과정, 컨퍼런스, 케이스스터디 14페이지 자료입니다.2025.01.161. 울혈성 심부전(Congestive Heart Failure) 울혈성 심부전은 여러 원인으로 인해 심장이 신체 조직이나 기관에서 필요한 혈액(특히 산소)을 공급할 수 없는 병태생리학적 상태를 말합니다. 나이가 들면 심장의 기능이 감소하여 울혈성 심부전이 발생할 위험성이 커집니다. 65세 이상 노인 인구의 3~5% 정도에서 울혈성 심부전이 나타납니다. 이 질환은 성인 입원 환자의 5% 정도를 차지합니다. 울혈성 심부전의 일반적인 증상으로는 전반적으로 몸이 약해짐, 피곤함, 운동을 조금만 해도 힘듦, 중추신경 증상(착란, 불면, 두...2025.01.16
-
EVAR, TEVAR 간호2025.04.271. EVAR(Endovascular aneurysm repair) EVAR은 복부 대동맥 스텐트 시술로, 대동맥류의 정의, 원인, 증상 등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시술 방법, 준비사항, 시술 후 관리 등이 자세히 기술되어 있습니다. 2. TEVAR(Thoratic Endovascular aneurysm repair) TEVAR은 흉부 대동맥 스텐트 시술로, EVAR과 유사한 시술 방법과 관리 과정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3. 대동맥류 대동맥류의 정의, 원인, 증상 등이 자세히 설명되어 있습니다. 대동맥류가 파열되거나 혈관 내 염증, ...2025.04.27
-
병동의 주요 시술 및 검사2025.01.091. G-ESD(내시경적 점막하 박리술) G-ESD는 점막암, 병변 2cm 이하, 육안적으로 궤양이나 궤양 반흔 없음, 암세포의 림프 혈관 침범이 없으며 CT에서 림프절 전이 없고 조직학적으로 분화형인 경우에 적응증이 됩니다. 합병증으로는 출혈, 천공, 심근경색증이 있을 수 있습니다. 시술 전 동의서를 받고, 의치와 장신구를 제거하며, 보호자와 함께 내시경실로 내려가도록 합니다. 시술 후 어지러움, 흉통, 혈변 등이 발생하면 즉시 간호사에게 알리도록 교육합니다. 2. 골수 검사 골수 검사는 빈혈, 급성백혈병, 호중구감소증, 호지킨림...2025.0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