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규간호사 교육 매뉴얼_수술/시술/처치 전 점검 및 교육
본 내용은
"
신규간호사 교육 매뉴얼_수술/시술/처치 전 점검 및 교육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7.12
문서 내 토픽
-
1. 수술/시술/처치 전 점검 절차수술/시술/처치 전 점검 절차에는 일반적인 절차, 수술/시술/처치 전 확인 절차, 수술/시술/처치 직전 확인 절차 등이 포함됩니다. 일반적인 절차에는 환자 정보 확인, 수술/시술 부위 표식, 환자 참여 등이 있습니다. 수술/시술/처치 전 확인 절차와 수술/시술/처치 직전 확인 절차에서는 환자 확인, 동의서 확인, 표지 확인 등을 수행합니다. Time-out 절차도 수술/시술/처치 직전에 시행됩니다.
-
2. 수술부위 표지를 위한 활동 지침수술부위 표지 대상, 표지자, 표지 방법, 수술부위 표지 예외 상황 등이 포함됩니다. 표지 대상은 좌/우 구분이나 다중 구조, 다중 수준을 포함하는 수술이며, 표지자는 수술에 직접 참여하는 의사입니다. 표지 방법은 피부소독 후 지워지지 않는 마커를 이용하여 절개부위 근처에 표기하는 것이며, 일부 예외 상황에서는 표지를 면제할 수 있습니다.
-
3. 수술 계수(counts) 확인수술 계수란 수술 중 사용된 모든 물품을 집계하여 환자 체내에 이물질이 남지 않도록 하는 것입니다. 수술 계수 시점, 계수 방법, 계수 불일치 시 대처 방법 등이 포함됩니다. 계수는 수술 의료팀이 함께 확인하며, 불일치 시 재계수, 수술 부위 재확인 등의 절차를 거칩니다.
-
4. 수술 중 채취한 조직표본검체 취급조직표본검체란 수술 중 환자의 인체에서 채취한 유래물로, 검체 취급 절차에는 검체명 확인, 전용 용기 사용, 라벨 부착, 간호기록 작성, 검체 보관 등이 포함됩니다.
-
5. 수술 process수술 process에는 수술 전 확인, 수술 전 간호 기록, 수술 후 간호 기록 등이 포함됩니다. 수술 전 확인에는 수술명, 수술 예정일 및 시간 확인, 수술 전 준비 사항 확인 등이 있습니다. 수술 전 간호 기록과 수술 후 간호 기록에는 환자 상태 확인, 처방 시행, 환자 교육 등이 포함됩니다.
-
1. 수술/시술/처치 전 점검 절차수술/시술/처치 전 점검 절차는 환자의 안전과 수술 성공을 위해 매우 중요합니다. 이 절차에는 환자 확인, 수술 부위 표시, 필요한 장비와 도구의 준비, 마취 상태 확인 등이 포함됩니다. 이러한 점검을 통해 수술 전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사전에 방지하고 수술 과정을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의료진 간의 의사소통을 강화하여 팀워크를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이러한 점검 절차는 의료기관의 표준 운영 지침에 포함되어야 하며, 모든 의료진이 이를 숙지하고 준수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환자 안전을 최우선으로 하는 의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입니다.
-
2. 수술부위 표지를 위한 활동 지침수술부위 표지는 수술 전 환자 확인과 더불어 매우 중요한 절차입니다. 이를 통해 수술 부위를 명확히 확인하고 수술 오류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수술부위 표지를 위한 활동 지침에는 환자와 함께 수술 부위를 확인하고 표시하는 과정, 표시 방법, 표시 위치 등이 포함되어야 합니다. 또한 이 지침은 모든 의료진이 숙지하고 준수해야 하며, 수술 전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수술부위 표지 절차를 통해 환자 안전을 보장하고 수술 성공률을 높일 수 있을 것입니다.
-
3. 수술 계수(counts) 확인수술 계수(counts) 확인은 수술 중 환자의 안전을 위해 매우 중요한 절차입니다. 이를 통해 수술 중 사용된 모든 의료 기구와 재료가 제거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수술 계수 확인 절차에는 수술 전, 중, 후 각 단계에서의 기구 및 재료 확인, 누락 시 대응 방안 등이 포함되어야 합니다. 모든 의료진은 이 절차를 숙지하고 정확히 수행해야 하며, 누락이나 오류가 발생하지 않도록 주의 깊게 확인해야 합니다. 수술 계수 확인은 환자 안전을 최우선으로 하는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필수적인 절차라고 할 수 있습니다.
-
4. 수술 중 채취한 조직표본검체 취급수술 중 채취한 조직표본검체의 적절한 취급은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위해 매우 중요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검체 채취, 보관, 운송, 분석 등 전 과정에서의 표준화된 지침이 필요합니다. 검체 취급 지침에는 검체 라벨링, 적절한 용기 사용, 온도 및 시간 관리, 안전한 운송 방법 등이 포함되어야 합니다. 모든 의료진은 이 지침을 숙지하고 정확히 따라야 하며, 검체 관리의 각 단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최소화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정확한 진단과 효과적인 치료가 가능해질 것입니다.
-
5. 수술 process수술 process는 환자의 안전과 수술 성공을 위해 매우 중요합니다. 이 process에는 수술 전 준비, 수술 중 진행, 수술 후 관리 등 다양한 단계가 포함됩니다. 각 단계에서는 환자 확인, 수술 부위 표시, 의료진 간 의사소통, 수술 계수 확인, 검체 관리 등의 절차가 필요합니다. 이러한 표준화된 process를 통해 수술 오류를 방지하고 환자 안전을 보장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의료진 간 협력과 팀워크를 강화하여 수술 과정을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습니다. 수술 process의 각 단계는 의료기관의 표준 운영 지침에 포함되어야 하며, 모든 의료진이 이를 숙지하고 준수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환자 중심의 안전하고 효과적인 수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입니다.
-
동국대학교 간호학과_간호관리실습_지침서 24페이지
..FILE:mimetypeapplication/hwp+zip..FILE:version.xml..FILE:Contents/header.xml^1.^2.^3)^4)(^5)(^6)^7^8..FILE:BinData/image1.jpg..FILE:BinData/image2.png..FILE:BinData/image3.png..FILE:BinData/image4.png..FILE:BinData/image5.bmp..FILE:BinData/image6.bmp..FILE:BinData/image7.bmp..FILE:Contents/section...2024.03.02· 24페이지 -
[A+ 간호 관리] 병동현황및 시사점, 간호업무량 산출, 간호단위 문제점 관리방안, 인수인계문제점 개선방안 12페이지
목차1. 병동 주요현황 분석------------------------------------------------11. 병동 주요 현황 분석2. 시사점 분석2. 간호업무량 산출------------------------------------------------- 61. 간호업무량 산출2. 필요한 간호인력 산출3. 근무시간대 직접간호시간 증대를 위한 전략3. 간호단위 문제점- 관리방안 제시-----------------------------------194. 인수인계 문제점 및 개선방안 제시-----------------------...2024.09.07· 12페이지 -
종합실습 사례 기반 환자 안전 사건 분석 및 개선활동 11페이지
종합실습사례 기반 환자 안전 사건 분석 및 개선활동실습 기관 :실습 부서 :실습 기간 :학 번 :이 름 :제 출 일 :담당 교수 :ooo대학교목차1. 사례1- 사례분석- 개선활동2. 사례2- 사례분석- 개선활동3. 사례3- 사례분석- 개선활동사례 기반 환자 안전 사건 분석 및 개선 활동사례 1환자의 좌수지에 알부민을 정맥 주입하면서 주사액이 누출되었으나 의료진이 이를 조기에 발견하지 못하여 주사액 누출 부위의 조직이 괴사되어 환자의 피부 및 손가락 등이 절단되는 장애를 입었다.사례 분석문제 : 알부민을 좌수지에 정맥 주입 중 주사액...2023.11.21· 11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