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6개
-
이사와 회사 간 거래에서의 이해충돌 방지와 이사회 승인 요건2025.01.261. 이사와 회사 간 거래의 범위 대법원은 구 상법 제398조가 이사가 거래의 당사자인 경우뿐만 아니라, 대리인이나 대표자로서 회사와 거래할 때도 적용된다고 판단했습니다. 이는 회사와 이사 간에 이해충돌의 염려가 있거나, 회사가 불이익을 입을 가능성이 있는 거래까지 포괄합니다. 따라서 이사가 제3자의 대리인이나 대표자로서 회사와 거래하는 경우에도, 이사회의 사전 승인을 받아야 합니다. 2. 이사의 정보 개시 의무 대법원은 이사가 이사회 승인을 받기 전에 거래와 관련된 자신의 이해관계 및 중요한 사실들을 이사회에 충분히 개시해야 한다...2025.01.26
-
주식회사법3E 대법원 2021 11 11 선고 2017다222368 판결을 목차에 따라 서술하여 제출2025.01.261. 이사와 회사 간의 거래 범위 대법원은 구 상법 제398조가 이사가 거래의 당사자인 경우뿐만 아니라, 대리인이나 대표자로서 회사와 거래할 때도 적용된다고 판단했습니다. 이는 회사와 이사 간에 이해충돌의 염려가 있거나, 회사가 불이익을 입을 가능성이 있는 거래까지 포괄합니다. 따라서 이사가 제3자의 대리인이나 대표자로서 회사와 거래하는 경우에도, 이사회의 사전 승인을 받아야 합니다. 2. 이사의 정보 개시 의무 대법원은 이사가 이사회 승인을 받기 전에 거래와 관련된 자신의 이해관계 및 중요한 사실들을 이사회에 충분히 개시해야 한다...2025.01.26
-
종류채권의 특정에 대하여 논하시오2025.05.011. 종류채권의 의의 채권은 채권자가 채무자에게 이행을 요구할 수 있는 것의 성질에 따라 특정물 채권과 불특정물 채권으로 구분할 수 있다. 종류채권은 채권의 목적물이 종류와 수량에 의해 정해진 채권을 말한다. 즉, 채권의 목적이 되는 물건이 특정한 어떤 물건으로 정해진 것이 아니라 '어떤 종류의 물건 몇 개'로 지정된 채권이 종류채권이다. 2. 종류채권의 특정의 의의 종류채권은 특정물채권과 비교하면 다소 추상적인 권리라고 할 수 있다. 그렇지만 종류채권이 아무리 불특정물 채권이라고 하더라도 실제로 채무자가 채무를 이행할 때는 개별적...2025.05.01
-
(주식회사법) B형 [대법원 2022. 11. 10. 선고 2021다271282 판결]을 목차에 따라 서술하여 제출2025.01.221. 퇴임한 이사의 권리의무 법원은 상법 제386조에 따라 임기 만료 또는 사임으로 퇴임한 이사는 새로운 이사가 선임될 때까지 이사의 권리의무를 가진다고 판단했습니다. 그러나 소외 1이 「특정경제범죄 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 위반으로 유죄판결을 받았기 때문에, 해당 법률 제14조에 따라 유죄판결된 범죄행위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기업체에 취업할 수 없어 퇴임대표이사로서의 권리의무를 상실한다고 보았습니다. 2. 주주총회 소집권한 및 결의 효력 법원은 주주총회를 소집할 권한이 없는 자가 이사회의 주주총회 소집결정도 없이 소집한 주주총회...2025.01.22
-
[주식회사법] 대법원 선고 2015다 70044판결에 관한 분석 및 의견 - (A+ 최고예요 평가)2025.04.281. 자기거래금지 위반 한화의 이사들이 충실의무 등을 위반하여 향후 매출 및 이익이 급증할 것으로 예상되어 매각의 필요가 전혀 없던 한화에스앤씨의 지분을 경영권 승계의 목적으로 피고1의 장남인 소외 2에게 저가로 매각한 것인지 여부에 대해 검토하였다. 법원은 이사회 결의를 통해 이해관계 및 거래에 관한 중요한 사실들이 공개되었고 승인이 있었다고 판단하여 자기거래금지 위반은 인정되지 않는다고 보았다. 2. 회사기회 유용금지 위반 한화가 보유하고 있던 한화에스앤씨의 지분을 한화의 대표이사이었던 피고 1 장남인 소외 2에게 매각한 것이 ...2025.04.28
-
수탁자와 수익자(신탁 교육)2025.01.201. 수탁자의 권한 수탁자는 신탁재산의 관리, 처분 등 신탁목적 달성을 위해 필요한 모든 행위를 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지며, 신탁재산에 대한 권리와 의무의 귀속주체가 됩니다. 또한 수탁자는 수익자에게 신탁계약에 따라 급부할 계약상의 의무를 부담하지만, 신탁사무 처리 상 신탁채권을 취득한 제3자에 대한 채무에 대해서는 고유재산으로 무한책임을 집니다. 2. 수탁자의 책임 수탁자의 책임은 상대방에 따라 차별화되는데, 수익자에 대해서는 신탁재산만으로 책임을 지는 유한책임이 적용되지만, 제3자에 대해서는 고유재산으로도 책임을 지는 무한책임이...2025.0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