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82개
-
듣기와 다른 영역을 결합하여 교육할 때 가장 관련성이 높은 영역2025.01.041. 듣기의 기능적 특징 듣기는 언어의 네 가지 기능 중에서 음성언어를 이해하는 의사소통 활동과 관련된 기능이다. 듣기는 언어학습에 있어 대단히 중요하며, 소리는 발화와 즉시 소멸되는 성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녹음이나 다른 도구 없이 순간적으로 음성언어를 듣고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 구어에서는 강세, 리듬, 억양, 축약, 생략, 비문법적 형태, 주변의 소음, 관용어 등의 사회문화적 어휘가 많이 쓰이기 때문에 듣기는 한국어 학습을 시작하는 외국인 학습자에게는 어려움을 더하는 요소가 되기도 한다. 2. 듣기와 다른 영역의 연관성 듣...2025.01.04
-
입말의 특성과 말하기 교육의 세부 목표2025.05.041. 입말의 특성 입말은 음성 언어로 자신의 생각을 표현하거나 상대와 상호작용하는 의미 협상 과정이다. 입말의 특징으로는 다양성, 즉각성, 친교성, 표현성, 포함성, 구체성, 순간성, 동태성, 모호성, 비논리성, 비격식성, 상황의존성 등이 있다. 또한 무리짓기, 중복성, 구어체 사용, 발화 속도 반영, 축약형 사용, 수행 변인, 억양과 강세, 상호작용 등의 특징도 지닌다. 2. 말하기 교육의 세부 목표 말하기 교육의 세부 목표는 다음과 같다: 1) 다양한 길이의 한국어 발화 단위 사용, 2) 한국어 음소와 변이음 정확한 발음, 3)...2025.05.04
-
한국어 말하기 교육에 반영된 중심 교수법의 특징과 효율적인 말하기 교육을 위한 제언2025.01.191. 과제 중심 교수법 과제 중심 교수법은 학습자가 수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 다양한 의사소통 기회를 가질 수 있게 한다. 교사는 학습의 도우미 역할을 하며, 실생활에서 마주할 수 있는 현실적인 과제를 제시하여 학습자의 실제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목적으로 한다. 하지만 과제 수행 과정 및 결과가 단편적일 수 있고, 시간 압박감과 발표에 대한 부담감이 있어 부자연스러운 수업으로 전개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2. 내용 중심 교수법 내용 중심 교수법은 Krashen의 습득-학습 가설을 배경으로 한다. 언어 습득...2025.01.19
-
한국어 말하기 교육에 반영된 중심 교수법의 특징과 효율적인 말하기 교육을 위한 교수법2025.05.151. 의사소통 중심 교수법 의사소통 중심 교수법은 한국어 학습자의 유창한 의사소통 수행을 목표로 하며 언어의 구조적 요소와 기술적 측면을 함께 강조하는 교수법입니다. 이 교수법은 의미 전달에 초점을 둔 유창성과 정확성을 동시에 강조하며, 말하기와 듣기를 연계하여 교수하고 적극적인 학습자 활동을 통해 다양한 발화와 학습 전략을 향상시키는 것이 특징입니다. 2. 과제 중심 교수법 과제 중심 교수법은 학습자에게 유의미한 과제를 제시하고 과제를 해결하는 과정을 통해 언어를 학습할 수 있도록 하는 교수법입니다. 이 교수법에서는 다양한 활동과...2025.05.15
-
한국어 말하기 교육에 반영된 중심 교수법의 특징과 효율적인 말하기 교육을 위한 교수법2025.04.251. 한국어 말하기 교육에 반영된 교수법 한국어 말하기 교육에 가장 먼저 시도된 교수법은 문법 번역식 교수법이었다. 이 방식은 문법 자체에 초점을 두어 학문 연구나 교양 체득이라는 개인적 목표에 중점을 두는 학습자들에게 적용하는 데 효율적이었지만, 외국어 말하기 능력으로 전이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이후 청각 구두식 교수법이 도입되었는데, 이 방식은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순으로 구어→문어로, 수동적인 방향 → 능동적인 방향으로 이해와 표현교육의 순서로 교육되었다. 그러나 학습자의 유창성에는 기여할지 모르지만 다양한 의사소...2025.04.25
-
외국어로서의 한국어표현교육론 - 글말과 입말의 특성 및 말하기 교육 목표2025.04.251. 글말과 입말의 특성 글말은 문자를 바탕으로 하는 언어로, 시각적이며 문법과 어휘가 정형화되어 있어 변화가 적다. 반면 입말은 음성 언어로, 문법 구조가 자유롭고 축약이나 탈락이 많으며 비문법적 표현도 사용된다. 또한 입말은 문맥 의존성이 낮고 담화 참여도가 높다. 2. 말하기 교육의 세부 목표 말하기 교육에서는 입말의 통사적, 음운적, 담화적 특성을 고려해야 한다. 입말은 조사 생략, 문장 구조 단순화, 강조어 사용, 간접 표현 등의 특징이 있으므로 이를 반영한 교육 목표와 내용이 필요하다. 1. 글말과 입말의 특성 글말과 입...2025.04.25
-
글말의 특성과 대별되는 입말의 특성을 말하기 교육의 세부 목표를 바탕으로 서술하시오2025.01.041. 입말의 특성 입말의 특성은 크게 통사적인 특성, 음운적인 특성, 그리고 담화화용적 특성으로 구분할 수 있다. 통사적 특성으로는 어순의 자유로움, 조사 생략의 자유로움, 입말 접속 조사 사용, 관형격 조사 사용 감소, 문장 성분 생략 등이 있다. 음운적 특성으로는 음운 축약 및 탈락, 된소리 발음, 표준음 및 현실음 발음, 문말 억양 등이 있다. 담화화용적 특성으로는 입말 담화 표지 사용, 간접 표현 사용, 순서 교대의 비계획성, 화제 생략 및 전환 등이 있다. 2. 말하기 교육의 세부 목표 입말의 특성을 고려한 말하기 교육의 ...2025.01.04
-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이해교육에서 듣기와 다른 영역의 결합2025.05.051. 듣기의 개념 듣기는 말하기와 더불어 음성 언어를 사용한 의사소통 기능으로 화자가 입말을 통해 전달하고자 하는 생각이나 감정을 이해하고 수용하는 활동이다. 듣기는 청각적으로 물리적인 소리를 인지하는 듣기(hearing), 그러한 소리로부터 단어의 의미를 떠올리고 그 과정을 통해 의미를 구성하는 듣기(listening), 화자가 전달하고자 하는 의미를 종합적으로 해석하고 적절하게 반응하는 청해(auding)의 과정을 통해 이루어진다. 2. 듣기의 비중 실생활에서 듣기에 45%, 말하기에 30%, 읽기에 16%, 쓰기에 9%를 할애...2025.05.05
-
한국어 말하기 교육에 반영된 중심 교수법의 특징과 효율적인 교수법 도입 방안2025.01.241. 문법 번역법 문법 번역법은 가장 전통적인 교수법으로, 문법 규칙과 어휘 학습을 중심으로 한다. 이 방법은 문법적 정확성을 높이는 데 효과적이지만, 실제 말하기 능력 향상에는 한계가 있다. 최근 조사에 따르면, 한국어 교육 기관에서 문법 번역법을 사용하는 비율은 여전히 약 35%로, 이는 많은 교육 기관이 전통적인 접근 방식을 고수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2. 직접 교수법 직접 교수법은 학습자가 실제 상황에서 한국어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교수법으로, 듣기와 말하기 중심의 활동을 포함한다. 이 방법은 문법 번역법과는 달리, 실용...2025.01.24
-
한국어 말하기 교육에서 가르쳐야 할 내용2025.01.271. 발음 교육 한국어는 자음과 모음의 조합이 다양한 소리를 만들어내며, 이로 인해 발음 교육이 중요하다. 특히 외국인 학습자들은 한국어의 복잡한 발음 체계를 이해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 예를 들어, 자음 'ㄹ'과 'ㄴ'의 발음 차이는 학습자들에게 쉽게 이해되지 않는 부분이며, 이러한 발음 차이는 명확히 인식하고 연습하지 않으면 의사소통에 혼란을 줄 수 있다. 2. 문법과 어휘 사용 교육 문법과 어휘 사용은 언어적 표현의 정확성을 위해 필수적인 요소이다. 특히 한국어는 존댓말과 반말의 구분, 존칭어와 일반어의 차이 등 문법적 요소...2025.01.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