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라이커스가 말하는 잘못된 가상적 목표를 설정한 예(영상 또는 경험)를 듣고 그에 따른 대안에 대해 논하시오
본 내용은
"
드라이커스가 말하는 잘못된 가상적 목표를 설정한 예(영상 또는 경험)를 듣고 그에 따른 대안에 대해 논하시오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8.01
문서 내 토픽
  • 1. 드라이커스가 말하는 잘못된 가상적 목표
    드라이커스는 아동이 가족 내에서 자신의 위치를 차지하고 소속감을 얻기 위해 잘못된 행동 목표를 세우고 이를 성취하기 위하여 관심 끌기, 권력 행사하기, 보복하기, 무능함 보이기 등의 행동을 한다고 말한다. 이러한 정황 속에서 드라이커스는 자녀가 잘못된 행동목표를 설정하지 않고 긍정적인 행동목표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부모교육이 필요하다고 제안하였다.
  • 2. 잘못된 가상적 목표를 설정한 예
    어린이집에 다니는 S는 지나친 관심끌기의 대명사로 불린다. S는 놀이하다가도 옆 친구의 귀에 소리를 지르거나 큰 소리로 고함을 치곤 하며, 자기에게 기회가 돌아오지 않으면 상대를 밀치면서 눈을 부라리고 소리를 질렀다. 이처럼 S는 수업에서 관심끌기 행동의 전형을 보여주고 있다.
  • 3. 잘못된 가상적 목표에 대한 대응방안
    S가 체현, 투사, 역할놀이로 다시 돌아가 자신감을 회복하고 세상과 자신을 연결하는 사회화 연습을 함으로써 잘못된 가상적 목표를 수정할 수 있을 것이다. EPR 모델은 아동으로 하여금 심리적으로 왜곡된 내용을 허구세계에서 체현, 투사, 역할의 과정으로 적극적으로 표출하도록 허용하여 억눌린 정서가 해소되고 표현된 내용물들을 객관적으로 바라볼 수 있게 한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주제2: 잘못된 가상적 목표를 설정한 예
    잘못된 가상적 목표의 대표적인 예로는 '회사를 세계 최고의 기업으로 만들겠다'와 같은 선언적이고 모호한 목표를 들 수 있습니다. 이러한 목표는 구체적인 실행 계획이나 측정 기준이 부재하기 때문에 실제 달성하기 어렵습니다. 또한 '매출을 1년 내 10배 늘리겠다'와 같이 비현실적인 수치 목표도 잘못된 가상적 목표에 해당합니다. 이러한 목표는 직원들의 동기를 저하시키고 좌절감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목표 설정 시에는 구체성, 실현 가능성, 측정 가능성 등을 고려해야 합니다.
주제 연관 토픽을 확인해 보세요!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