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등기법 - 등기신청의 보정, 취하, 각하
본 내용은
"
부동산등기법 ) 부동산등기법 5주차 강의안의 내용과 관련 법규를 참고하여 등기신청의 보정 취하 각하에 관하여 기술하세요.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1.23
문서 내 토픽
-
1. 부동산등기신청의 보정부동산등기신청을 했으나 서류 미비, 정보 부족 등으로 등기관의 지적을 받은 경우, 신청정보와 첨부정보의 부족한 부분을 보충하거나 고치는 것을 부동산등기신청의 보정이라 한다. 등기관은 보정이 필요한 사항과 근거 법령, 보정기간 등을 신청인에게 통지해야 하며, 신청인은 방문 또는 전자신청으로 보정을 진행할 수 있다. 등기관은 보정된 사건을 즉시 처리해야 하며, 보정기간이 지나거나 보정이 부적절한 경우 각하할 수 있다.
-
2. 부동산등기신청의 취하등기신청을 한 후 등기관의 처리가 완료되기 전에 등기신청에 대한 의사표시를 취소하는 것을 부동산등기신청의 취하라 한다. 취하는 등기신청인 또는 대리인이 방문 또는 전자신청으로 진행할 수 있으며, 등기관의 각하 전에 취하가 가능하다. 공동신청의 경우 공동취하가 필요하다. 취하가 이루어지면 등기신청이 없었던 것으로 처리되며, 신청서와 첨부서류가 반환된다.
-
3. 부동산등기신청의 각하등기관이 등기신청을 거부하는 소극적인 처분을 부동산등기신청의 각하라 한다. 부동산등기법 제29조에 각하 사유가 명시되어 있으며, 이에 해당되는 경우 등기관은 각하 결정을 내린다. 각하 사유를 간과하고 등기가 완료된 경우, 당연무효의 등기는 직권으로 말소할 수 있지만 그 외의 경우에는 이의신청 등의 구제절차를 거쳐야 한다.
-
1. 부동산등기신청의 보정부동산등기신청의 보정은 등기신청서나 첨부서류에 오류나 누락이 있는 경우 이를 바로잡는 절차입니다. 이는 등기신청의 효력을 유지하면서 등기를 완성하기 위한 중요한 절차입니다. 보정 절차를 통해 등기신청의 흠결을 해소할 수 있으므로, 등기신청인은 등기관의 보정 요구에 신속히 대응하여 등기절차를 원활히 진행할 필요가 있습니다. 다만 보정 기간 내에 보정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등기신청이 각하될 수 있으므로, 등기신청인은 보정 기간을 엄수하고 성실히 보정 절차를 이행해야 합니다.
-
2. 부동산등기신청의 취하부동산등기신청의 취하는 등기신청인이 자신의 의사로 등기신청을 철회하는 절차입니다. 이는 등기신청인의 권리를 보호하고 등기절차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제도입니다. 등기신청인은 등기신청을 취하함으로써 등기절차를 중단하고 새로운 등기신청을 할 수 있습니다. 다만 등기신청의 취하는 신중히 이루어져야 하며, 취하 이후에는 등기신청의 효력이 소멸되므로 등기신청인은 이에 유의해야 합니다. 또한 등기신청의 취하에는 일정한 절차와 요건이 필요하므로, 등기신청인은 관련 법령을 숙지하고 적절한 절차를 거쳐야 합니다.
-
3. 부동산등기신청의 각하부동산등기신청의 각하는 등기관이 등기신청을 받아들이지 않고 거절하는 절차입니다. 이는 등기신청이 법적 요건을 충족하지 못하거나 등기신청 절차에 하자가 있는 경우에 이루어집니다. 등기신청의 각하는 등기신청인의 권리를 제한하므로 엄격한 요건 하에서 이루어져야 합니다. 등기관은 각하 사유를 구체적으로 명시하고 등기신청인에게 이를 통지해야 합니다. 등기신청인은 각하 결정에 불복할 경우 이의신청 등의 구제절차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등기신청의 각하는 등기신청인의 권리를 보호하면서도 등기제도의 적정성을 유지하기 위한 중요한 절차라고 할 수 있습니다.
-
등기신청의 보정·취하·각하」에 관하여 기술하세요 7페이지
주제:「등기신청의 보정·취하·각하」에 관하여 기술하세요.- 목 차 -I. 서론II. 등기신청의 접수와 등기관의 심사III. 등기신청의 보정·취하·각하1. 보정2. 취하3. 각하IV. 등기관의 결정 등에 대한 이의V. 관련판례 검토1. 대법원 2012. 9. 13. 선고 2012다47098 판결2. 대법원 2007. 11. 15. 선고 2004다2786 판결3. 대법원 2004. 5. 14. 선고 2004다11896 판결IV. 결론: 문제점◆ 참고문헌I. 서론등기는 일반적으로 등기관이 공적 권한에 기하여 법정절차에 따라 등기부로 불리...2020.08.04· 7페이지 -
[법학]부동산등기법 정리 7페이지
《 건물소유권보존의 등기절차 》1. 의의건물소유권보존등기란 특정의 건물에 관하여 등기용지를 개설하는 것을 말하며, 이로써 해당 특정의 건물이 등기부상 확정된다.2. 건축물 대장(1) 일반건물의 건축물 대장일반건물을 관리하는 법으로 “건축물대장의 기재 및 관리등에 관한 규칙”이 제정?시행되고 있으며, 이 규칙은 건축물대장의 서식, 기재내용, 기재절차등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을 획일적으로 규정하고 있다.(2) 구분건물의 건축물 대장① 구분건물을 신축하거나 일반건물이 구분건물이 된 경우, 그 건물의 소유자는 1월이내에 1동의 건물에 속하는...2005.12.21· 7페이지 -
상업등기 17페이지
제1절 상업등기의 의의제2절 상업등기의 종류1. 상업등기부의 종류에 의한 분류2. 등기의 목적에 의한 분류제3절 등기사항1. 실질적 의의의 등기사항과 형식적 의의의 등기사항2. 절대적 등기사항과 상대적 등기사항3. 설정적 등기사항과 면책적 등기사항4. 기본적 등기사항과 부가적 등기사항제4절 등기신청절차1 등기신청의 기본원칙2 등기신청인과 그 대리인3 등기신청서4 등기의 촉탁절차제5절 등기의 효력1. 일반적 효력1) 등기전의 효력① 상법 제37조 제1항의 기능② 상법 제37조 제1항의 구성요건③ 상법 제37조 제1항의 법률효과2) 등...2003.04.07· 17페이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