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교원] 언어학개론 1차, 2차 토론합본
본 내용은
"
[한국어교원] 언어학개론 1차, 2차 토론합본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6.25
문서 내 토픽
  • 1. 신조어 사용
    신조어 사용에 대해 찬성합니다. 신조어는 주로 젊은 층을 중심으로 새롭게 만들어진 단어라서 세대 간의 갈등을 일으킨다는 의견이 있습니다. 하지만 실제로 신조어는 내포된 의미를 공유 가능한 대상과의 대화에서 자주 쓰입니다. 젊은 세대들이 기성세대와 대화할 때 혹은 공식적인 자리에서 신조어를 남발하는 경우는 드뭅니다. 대부분 사람들이 의복을 상황에 맞게 입듯이 언어도 상황에 맞게 쓰기에 문제가 되지 않는다고 생각합니다. 세대 간의 갈등을 일으키는 것은 신조어 사용이 아니라 신조어 사용을 무조건적으로 비난하며 막는 관점이라고 생각합니다.
  • 2. 외국어 교수학습 시 모국어 사용
    외국어를 교수학습할 때 학습자의 모국어를 사용하는 것에 대해 반대합니다. 학습자의 모국어 사용 시 문법 규칙을 보다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이는 모국어의 간섭 때문에 실생활에서 학습 언어로 의사소통할 때 오히려 방해될 수 있습니다. 학습자는 모국어와 학습 언어가 갖는 문법 구조의 사소한 차이를 받아들이기 어려울 것입니다. 또한, 모국어를 학습 언어로 재번역해 생각하는 습관 때문에 학습 언어로 듣고 말하는 데 비교적 많은 시간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학습자가 학습 언어로 자연스러운 의사소통을 하기 위해서는 같은 구조의 다양한 문장을 학습 언어로 반복해서 말하고 듣는 연습이 필요합니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신조어 사용
    신조어 사용은 언어의 발전과 변화를 보여주는 중요한 현상입니다. 새로운 문화와 기술의 등장에 따라 기존 언어로는 이를 표현하기 어려워지면서 신조어가 생겨나게 됩니다. 신조어는 언어의 유연성과 창의성을 보여주며, 사회적 변화와 트렌드를 반영합니다. 다만 신조어 사용이 지나치면 의사소통에 혼란을 줄 수 있으므로, 상황에 맞는 적절한 사용이 필요합니다. 신조어는 언어의 발전을 위해 필요하지만, 기존 언어와의 균형을 유지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 2. 외국어 교수학습 시 모국어 사용
    외국어 교수학습 시 모국어 사용은 장단점이 있습니다. 모국어 사용은 학습자의 이해를 돕고 학습 동기를 높일 수 있습니다. 특히 초급 단계에서는 모국어 사용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지나친 모국어 사용은 학습자의 외국어 노출을 제한하고 언어 습득을 방해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학습 단계와 상황에 따라 적절한 모국어 사용이 필요합니다. 교수자는 학습자의 수준과 요구를 고려하여 모국어와 외국어의 균형을 잡아야 합니다. 이를 통해 효과적인 외국어 교수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