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임상에서 자주쓰는 수액 종류 및 성분
본 내용은
"
임상에서 자주쓰는 수액 종류 및 성분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6.20
문서 내 토픽
-
1. 생리식염수신체를 구성하고 있는 수분의 농도 0.9%와 동일하게 제조한 등장성 수액. 탈수 증상 시 수분 공급 목적으로 사용되며 주사제 mix 용으로도 사용. 심부전, 부종, 고나트륨혈증 환자에게는 금기.
-
2. 하프 셀라인생리식염수 농도의 절반인 수액. 수분 소실이 나트륨 소실보다 많을 때 사용, 구토, 설사, 체온 상승으로 땀을 많이 흘린 경우, 혈액검사상 Na가 높을 때 사용. 심부전, 부종, 고나트륨혈증 환자에게는 주의가 필요.
-
3. 하트만 용액하트만 솔루션에 포도당을 섞은 수액. 수분 공급 및 전해질 공급, 포도당 공급 목적으로 사용. 당뇨환자에게는 금기.
-
4. 락테이트 링거정상 산도인 pH 7.4의 약알칼리성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젖산을 첨가한 수액. 수분 공급 및 전해질 공급, 수술 환자에게 많이 사용. 간질환 환자, 혈전 발생 위험이 있는 환자, 고칼륨혈증 환자에게는 주의가 필요.
-
5. 5% 포도당 수액1000ml 증류수에 포도당 50g을 섞은 수액. 영양공급, 주사제 mix용, 중독환자, 고칼륨혈증 환자에게 사용. 당뇨환자에게는 주의가 필요.
-
1. 생리식염수생리식염수는 의료 현장에서 매우 중요한 수액 중 하나입니다. 생리식염수는 0.9% 농도의 염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체내 전해질 균형을 유지하고 탈수를 예방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이 수액은 수술, 외상, 화상 등의 치료에 널리 사용되며, 약물 투여의 희석제로도 활용됩니다. 생리식염수는 안전성과 효과성이 입증된 수액으로, 의료 현장에서 없어서는 안 될 필수적인 약물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2. 하프 셀라인하프 셀라인은 생리식염수와 5% 포도당 수액을 1:1로 혼합한 수액입니다. 이 수액은 탈수 예방과 함께 에너지 공급을 위해 사용됩니다. 하프 셀라인은 수술 전후, 화상 치료, 감염 치료 등 다양한 상황에서 활용됩니다. 특히 장기간 수액 공급이 필요한 경우에 유용합니다. 하프 셀라인은 전해질 균형과 에너지 공급을 동시에 고려한 수액으로, 환자 상태에 따라 적절히 사용되어야 합니다.
-
3. 하트만 용액하트만 용액은 생리식염수와 유사한 조성을 가진 수액으로, 체내 전해질 균형 유지에 도움을 줍니다. 이 수액에는 염화나트륨, 염화칼륨, 염화칼슘, 젖산나트륨 등이 포함되어 있어 탈수 예방과 함께 산-염기 균형 조절에 효과적입니다. 하트만 용액은 수술, 외상, 화상 등의 치료에 널리 사용되며, 특히 산-염기 불균형이 동반된 경우에 유용합니다. 이 수액은 생리식염수에 비해 생리적 조성이 더 유사하여 환자 상태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
4. 락테이트 링거락테이트 링거는 하트만 용액과 유사한 조성을 가진 수액으로, 체내 전해질 균형 유지와 산-염기 균형 조절에 도움을 줍니다. 이 수액에는 염화나트륨, 염화칼륨, 염화칼슘, 젖산나트륨 등이 포함되어 있어 탈수 예방과 함께 산-염기 균형 개선에 효과적입니다. 락테이트 링거는 하트만 용액과 유사한 용도로 사용되며, 특히 산-염기 불균형이 동반된 경우에 유용합니다. 이 수액은 생리식염수에 비해 생리적 조성이 더 유사하여 환자 상태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
5. 5% 포도당 수액5% 포도당 수액은 탈수 예방과 에너지 공급을 위해 사용되는 수액입니다. 이 수액에는 5%의 포도당이 포함되어 있어 체내 에너지 공급에 도움을 줍니다. 5% 포도당 수액은 수술, 외상, 감염 등의 치료에 널리 사용되며, 특히 장기간 수액 공급이 필요한 경우에 유용합니다. 이 수액은 전해질 공급이 부족하므로 전해질 균형을 고려하여 다른 수액과 병용 투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5% 포도당 수액은 에너지 공급을 위한 필수적인 수액 중 하나라고 할 수 있습니다.
-
성인간호학실습 흡인성폐렴 케이스 스터디(진단 3개, 과정 3개) 19페이지
성인간호학실습 Case Study-흡인성 폐렴-목 차Ⅰ. 서론Ⅱ. 본론문헌고찰1. 폐렴, 흡인성 폐렴의 정의2. 원인3. 병태생리4. 증상/징후5. 진단검사6. 치료 및 간호case study1. 간호정보 조사지2. 약물3. 검사 및 수치4. 간호과정Ⅰ. 서론대상자 선정이유제가 일하는 6b병동에는 대부분 정형외과 환자분이 계시고, 다른 과의 환자분을 찾기가 어렵습니다. 그래서 정형외과의 케이스는 별로 하기 싫었습니다. 너무 흔하기도 하고, 아직 자세히 배우지도 않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다른 분을 찾던 도중 흡인성 폐렴이라는 병을 ...2022.12.16· 19페이지 -
A+ 담석증 성인간호학/ 문헌고찰 간호진단2 간호과정2 30페이지
A+ 성인간호학 실습Case Study- 담석증 -과목명담당교수학번성명실습기관 및 부서실습기간목차Ⅰ. 서론1. 문헌고찰Ⅱ. 본론1. 간호력(Nursing history taking)2. 간호사정 도구: NANDA 분류체계3. 신체검진4. 임상병리 검사 및 기타 진단검사5. 약물6. 간호과정Ⅲ. 참고문헌Ⅰ. 서론1. 문헌고찰1. 담성증의 정의담낭(쓸개)은 작고 서양배 모양의 주머니 형태의 구조물로 우측 위쪽 복부, 간 밑에 위치하고 있으며 담석증은 담낭에 저장된 액체가 돌조각 같은 물질로 단단히 굳어져서 형성된다.2. 병태생리 및 원...2021.12.03· 30페이지 -
아동간호학3 보고서_소아암 치료와 합병증_간호중재(잦은 구토와 관련된 전해질 불균형) 14페이지
아동간호학팀과제보고서주제1. 소아암 치료와 합병증교과목이름 & 역할담당교수제출날짜I. 서론3PⅡ. 본론 3P1. 소아암 치료와 합병증3P2. 소아암 간호중재11PⅡ. 결론 12PⅣ. 참고문헌13PⅠ. 서론현재 소아암의 진료 인원은 점점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질환 발생의 증가와 더불어 이에 대한 치료 기술 또한 발전되어 암환아의 5년 생존율은 80%에 달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습니다. 즉, 소아암은 생명을 위협하는 치명적인 질병에서 장기적으로 질병에 적응해야 하는 만성질환으로 변화되고 있습니다. 소아암은 질병 및 치료로 ...2024.04.23· 14페이지 -
성인간호학 간암 케이스 A+ 28페이지
Case Study간암(Liver cancer)※ 간의 위치 및 구조간은 우리 몸에서 가장 큰 장기의 하나로 무게가 1,200~1,500 그램 정도이다. 우리 몸에서 간은 오른쪽 갈비뼈의 아래 3 분의 1에 위치하여 보호받고, 우측 폐 아래의 횡격막 밑에 있으므로 숨을 쉴 때 위아래로 움직인다. 정상적인 간은 암적색의 부드러운 표면을 가지고 길쭉한 삼각형 모양이고, 대개 우측과 좌측 두 개의 부위(엽)로 나뉘며 우엽이 3분의 2정도를 차지한다.※ 간의 기능영양분 저장 및 방출, 해독 작용간은 다양하고 총괄적인 대사 과정에 중요한 역...2022.12.05· 28페이지 -
요로감염과 관련된 배뇨장애 9페이지
간호과정: 요로감염과 관련된 배뇨장애(Impaired Urinary Elimination)간호사정주관적 자료(1) “갑자기 소변이 마려워서 빨리 화장실 가면 막상 조금밖에 잘 안 나와요. ”(2) “소변볼 때마다 느낌이 막 찌릿찌릿하고 따갑고 아파요. ”(3) “이상하게 자꾸 소변이 찔끔거리면서 나오고 뭔가 시원한 느낌이 안 들어요. 더 나올 것 같은데 안 나오니까 답답해요. ”(4) “화장실을 너무 자주 가니까 힘들어요. ”객관적 자료(1) Dx: 급성신우신염(APN, Acute pyelonephritis)(2) 대상자는 이틀 전...2022.03.19· 9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