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간호실습 수술실 마취 수술 회복 간호
본 내용은
"
성인간호실습 수술실 마취 수술 회복 간호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6.20
문서 내 토픽
  • 1. 마취의 정의와 개념
    마취제를 투여하여 중추신경기능을 억제함으로써 의식이나 전신적인 감각, 운동 및 반사를 소실시키는 방법. 마취통증의학과 의사가 환자가 수술을 받는 동안 통증, 의식, 움직임이 없는 상태를 유지하면서 호흡, 혈압 및 전신상태를 적정하게 유지하는 일련의 진료 과정.
  • 2. 마취 방법
    1. 대상자의 활력징후 측정 후 장비 부착 2. 산소마스크 착용 및 수면제 투여 3. 흡입마취제 또는 정맥마취제 지속 투여, 근육기관제 투여, 기계환기 4. 기관내삽관 및 마취기 연결 5. 마취과 의사의 지속적 활력징후 감시 및 마취깊이 조절 6. 수술 종료 후 마취제 투여 중단 및 의식 회복 7. 기관내튜브 제거 및 회복실 이동, 병실 또는 중환자실 이동
  • 3. 마취의 종류
    1. 흡입마취: 휘발성 가스나 액체로 된 마취제를 기체로 만들어 폐포를 통해 폐로 주입하는 방법. desflurane, sevoflurane, nitrous oxide(N2O) 등 사용. 기관내관을 사용하며 마취유도와 각성이 매우 빠름. 2. 정맥마취: 정맥주사로 마취제를 투여하는 방법. 3. 밸런스마취: 흡입마취와 정맥마취를 병행하는 방법.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주제2: 마취 방법
    마취 방법에는 크게 전신마취와 국소마취가 있습니다. 전신마취는 전신에 마취 효과를 주어 환자의 의식을 완전히 잃게 하는 방법으로, 주로 수술이나 시술 시 사용됩니다. 전신마취는 마취제를 정맥 주사하거나 흡입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집니다. 국소마취는 특정 부위에만 마취 효과를 주는 방법으로, 주사나 연고 등을 이용해 마취 부위를 국한시킵니다. 국소마취는 주로 치과 시술이나 피부 시술 등에 사용됩니다. 마취 방법은 환자의 상태와 시술의 종류에 따라 선택되며, 마취 전문의의 판단에 따라 결정됩니다.
주제 연관 토픽을 확인해 보세요!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