흙의 함수비, 비중, 체가름 시험
본 내용은
"
흙의 함수비, 비중, 체가름 시험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5.27
문서 내 토픽
  • 1. 흙의 함수비 실험
    흙의 함수비 실험은 흙의 중요한 성질 중 하나인 함수비를 구하기 위한 것이다. 흙덩어리는 흙, 물, 공기의 3요소로 구성되어있으며 흙의 성질은 그 속에 포함되어 있는 물의 비율에 따라 달라진다. 함수비가 중요한 이유는 공학적 측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그것이 높아짐에 따라 위험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함수비가 커지면 흙의 무게가 늘어나는 동시에 전단강도도 작아진다. 점토지반에서 점착력이 작아지며 모래지반에서 내부마찰력이 작아진다. 농사를 지을 때에는 함수율이 약 20%인 흙이 작물 재배에 있어 가장 좋다. 본 실험에서 쓰인 흙의 함수비는 15.28%이므로 농사에 적합한 흙은 아니라고 할 수 있다.
  • 2. 흙의 비중 실험
    흙이나 모래처럼 작은 알갱이로 구성된 입자들의 순 비중을 구해서 흙덩이 중의 고체부분의 무게(Ws), 부피(Vs), 간극비(e) 등의 산출에 이용한다. 시험 결과는 토양 1-5의 비중(2.474)과 2-X의 비중(2.456)의 평균값 "2.47(2.465)"이다. 흙의 일반적인 비중은 2.6-2.85이나 우리조가 시험한 토양은 일반값에서 최소 0.13이 모자란 값이다. 이에 대해 우리조가 생각한 시험결과에 대한 생각은 첫 번째, 사용한 시료가 적절치 못하다. 이유는 우리조가 준비한 시료의 출처는 한경대학교 제 3 농학관 주변 토양으로, 순수 토립자만으로 구성되어있다고 보기에 부적합하다. 두 번째, 시험과정의 생략이다. 이번 시험은 기존의 시험방법과는 다르게 비중병에 건조토와 증류수를 넣어 가열하는 과정을 생략하였다.
  • 3. 흙의 체가름 실험
    흙 시료를 입경별 표준 체로 쳐서 남은 무게를 재서 누가잔류율과 누가통과율을 계산한 결과로 입경분포도를 그린다. 입도분포 곡선에서 유효입경, 균등계수와 곡률계수를 구해서 분포가 균등한가 또는 몰려있는가를 판별한다. 본 실험에 쓰인 시료의 입경분포를 보면 모래가 대부분을 차지한다. 그 다음으로는 자갈이 많고 실트와 점토는 거의 없다. 균등 계수가 7.467, 곡률 계수가 1.101로 나와 입도가 좋은 것으로 판단된다. 체가름을 하기 전 흙의 무게는 1399.37g이고 체가름을 한 후 흙의 무게는 1397.24g 으로 약 0.15%의 오차율을 추측한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흙의 함수비 실험
    흙의 함수비 실험은 토질 공학에서 매우 중요한 실험 중 하나입니다. 이 실험을 통해 흙의 수분 함량을 측정할 수 있으며, 이는 토질의 강도, 압축성, 투수성 등 다양한 특성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실험 방법은 비교적 간단하지만, 정확한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실험 과정에서 주의 깊은 관찰과 측정이 필요합니다. 또한 실험 결과를 해석할 때는 토질의 특성과 실험 조건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이 실험은 토질 공학 분야에서 기초적이면서도 필수적인 실험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2. 흙의 비중 실험
    흙의 비중 실험은 토질 공학에서 매우 중요한 실험 중 하나입니다. 이 실험을 통해 흙 입자의 밀도를 측정할 수 있으며, 이는 토질의 강도, 압축성, 투수성 등 다양한 특성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실험 방법은 비교적 간단하지만, 정확한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실험 과정에서 주의 깊은 관찰과 측정이 필요합니다. 또한 실험 결과를 해석할 때는 토질의 특성과 실험 조건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이 실험은 토질 공학 분야에서 기초적이면서도 필수적인 실험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3. 흙의 체가름 실험
    흙의 체가름 실험은 토질 공학에서 매우 중요한 실험 중 하나입니다. 이 실험을 통해 흙 입자의 크기 분포를 측정할 수 있으며, 이는 토질의 강도, 압축성, 투수성 등 다양한 특성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실험 방법은 비교적 간단하지만, 정확한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실험 과정에서 주의 깊은 관찰과 측정이 필요합니다. 또한 실험 결과를 해석할 때는 토질의 특성과 실험 조건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이 실험은 토질 공학 분야에서 기초적이면서도 필수적인 실험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