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우주항공기업의 시스템- 항공우주공학과 자료
본 내용은
"
한국 우주항공기업의 시스템- 항공우주공학과 자료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5.20
문서 내 토픽
  • 1. 해궁 함대공 미사일
    해궁은 대한민국 해군에서 운용 중인 RIM-116 RAM을 대체하기 위해 개발된 유도탄입니다. 수직발사 체계를 채택하며 발사 직후 TVC를 이용하여 초기선회를 하게 됩니다. 선회를 하고 난 후 불필요해진 TVC를 분리하고 계속 비행합니다. 이 단계까지는 함정에 별도로 탑재된 데이터 송신 시스템을 이용하여 업데이트 받으며 이는 VL-MICA와 거의 동일한 유도 방식입니다. 또한 RF 탐색기와 IIR 탐색기를 같이 사용하는 듀얼 시커 방식을 채용하고 있습니다.
  • 2. 한국형 초음속 대함미사일
    국방과학연구소에서는 러시아군이 보유한 P-800 오닉스/야혼트를 참고해 기존의 해성 미사일을 대체할 신형 대함미사일을 개발해 왔으며, 2021년 9월 15일 개발 완료 및 성공을 공식 발표했습니다. 이 미사일은 크기와 무게가 줄어들어 전장 6m 이하, 직경 533mm 이하, 발사중량 1.5톤 수준으로 소형화되었으며, 스텔스 설계와 양방향 데이터 링크, GPS/INS 유도시스템, 다중모드 탐색기 등의 기술이 적용되었습니다. 또한 탄두에 둔감 장약을 적용하여 CIWS의 철갑탄이나 근접 방어 미사일의 근접 폭발도 방어할 수 있습니다.
  • 3. KF-21 보라매
    KF-21 보라매는 KAI에서 개발한 초음속 전투기로, 대한민국 공군 및 인도네시아 공군이 도입할 예정인 4.5세대 전투기입니다. 기존 스텔스 전투기와 유사한 기체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향후 개발 단계를 거치면서 완전 매립형 내부 무장창을 갖춘 5.5세대 스텔스 전투기 혹은 그 이상의 성능을 갖출 것으로 예상됩니다. KF-21은 F-16이나 JAS 39 그리펜 등의 소형 전투기보다 크고, F/A-18E/F, F-4, F-15, F-22 등의 대형 전투기보다 작은 중형 전투기 체급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저피탐 기술이 적용되어 F/A-18E/F 슈퍼호넷보다 낮은 RCS를 달성하였으며, 공대공 및 공대지 임무효과도 향상될 것으로 예측되고 있습니다.
  • 4. KSLV-II (누리호)
    KSLV-II (누리호)는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 개발한 대한민국 최초의 저궤도 실용 위성 발사용 로켓입니다. 누리호는 총 3단의 액체로켓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1단에는 추력 735 kN의 75톤급 엔진 4개를, 2단에는 75톤급 엔진 하나를, 3단에는 7톤급 엔진 하나를 사용합니다. 이를 통해 1톤 이상의 실용 위성을 궤도에 안착시킬 수 있는 기술을 확보하였습니다. 누리호 개발에는 약 2조 원이 투입되었으며, 향후 KSLV-III 개발의 기술적 기반이 될 예정입니다.
  • 5. 등천검 공대지 미사일
    등천검은 대한민국의 무장헬기용 전천후 공대지 미사일로, 국방과학연구소에서 개발하고 한화에서 양산할 예정입니다. 사거리는 8km이며, 2연장 발사관에서 운용 가능합니다. 탄두는 풍산의 폭발반응장갑 격파용 탠덤 탄두를 사용하고, 시커로는 LIG NEX1의 CCD TV와 IIR 시커를 채택하였습니다. 광섬유 유선 데이터링크를 이용한 유선 유도와 자체 이중 모드 탐색기를 사용한 Fire&Forget / Fire&Update 기능을 가지고 있어, 직접 조종, LOAL, LOBL, NLOS 운용이 가능합니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해궁 함대공 미사일
    해궁 함대공 미사일은 한국 해군의 주요 방어 수단 중 하나입니다. 이 미사일은 적 함선을 효과적으로 격파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있으며, 한국 해군의 전력 투사 능력을 크게 향상시킬 것으로 기대됩니다. 특히 최근 개발된 신형 해궁 미사일은 사거리와 정확도가 크게 향상되어 보다 효과적인 대함 타격이 가능할 것으로 보입니다. 이를 통해 한국 해군은 주변국과의 해양 분쟁에서 우위를 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다만 이러한 무기 개발이 군비 경쟁을 부추기고 지역 긴장을 고조시킬 수 있다는 우려도 있어 이에 대한 신중한 접근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 2. 한국형 초음속 대함미사일
    한국형 초음속 대함미사일은 한국 해군의 핵심 무기 체계 중 하나로, 적 함선에 대한 신속하고 정확한 타격을 가능하게 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특히 초음속 비행 능력을 갖추고 있어 적의 요격 시도를 효과적으로 회피할 수 있다는 점이 큰 장점입니다. 이를 통해 한국 해군은 보다 강력한 해양 억제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다만 이러한 무기 체계 개발에는 막대한 비용이 소요되므로, 국방 예산의 효율적 배분과 함께 기술 자립도 제고를 위한 노력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또한 이 무기가 지역 긴장을 고조시킬 수 있다는 우려도 있어 이에 대한 외교적 노력도 병행해야 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 3. KF-21 보라매
    KF-21 보라매는 한국 공군의 차세대 주력 전투기로, 한국 방위산업의 기술 자립도 제고와 전력 증강에 큰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특히 스텔스 기능, 첨단 센서 체계, 강력한 무장 등을 갖추고 있어 한국 공군의 공중 우세 확보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또한 이 사업을 통해 한국 방위산업의 기술 경쟁력이 크게 향상되어 향후 수출 시장 개척에도 유리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다만 개발 및 양산 과정에서 막대한 예산이 소요되므로, 이에 대한 국민적 공감대 형성과 함께 사업 관리의 효율성 제고가 필요할 것 같습니다.
  • 4. KSLV-II (누리호)
    KSLV-II(누리호)는 한국 우주 개발 역사상 가장 큰 성과 중 하나로, 한국의 독자적인 우주 발사체 개발 능력을 보여주는 상징적인 사업입니다. 이를 통해 한국은 우주 강국으로 도약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특히 누리호의 성공적인 발사와 궤도 진입은 한국 우주 산업의 기술 경쟁력을 크게 높였으며, 향후 다양한 위성 발사와 우주 탐사 등 다양한 분야에서의 활용이 기대됩니다. 다만 이러한 우주 개발 사업은 막대한 예산이 소요되므로, 국민적 공감대 형성과 함께 사업 관리의 효율성 제고가 필요할 것 같습니다.
  • 5. 등천검 공대지 미사일
    등천검 공대지 미사일은 한국군의 주요 타격 수단 중 하나로, 적 지상 목표물에 대한 정밀 타격을 가능하게 합니다. 특히 최근 개발된 신형 등천검 미사일은 사거리와 정확도가 크게 향상되어 보다 효과적인 타격이 가능할 것으로 보입니다. 이를 통해 한국군은 전장 상황에서 보다 강력한 화력 투사 능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다만 이러한 무기 체계 개발에는 막대한 비용이 소요되므로, 국방 예산의 효율적 배분과 함께 기술 자립도 제고를 위한 노력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또한 이 무기가 지역 긴장을 고조시킬 수 있다는 우려도 있어 이에 대한 외교적 노력도 병행해야 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