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신간호학 ADHD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간호과정, ADHD간호과정
본 내용은
"
정신간호학 ADHD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간호과정, ADHD간호과정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5.11
문서 내 토픽
-
1. ADHD 정의 및 원인ADHD는 아동기에 많이 나타나는 장애로, 지속적으로 주의력이 부족하여 산만하고 과다활동, 충동성을 보이는 상태를 말한다. 생물학적 요인과의 연관성이 강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신경화학적으로는 노르에피네프린이나 도파민과 같은 신경전달물질의 결핍이 원인이라는 학설이 있다.
-
2. ADHD 증상ADHD 아동들은 자극에 선택적으로 주의 집중하기 어렵고, 지적을 해도 잘 고쳐지지 않는다. 또한 허락 없이 자리에서 일어나고, 뛰어다니고, 팔과 다리를 끊임없이 움직이는 등 활동 수준이 높으며, 생각하기 전에 행동하는 경향이 있다.
-
3. ADHD 진단 및 검사ADHD 진단은 부주의 증상 6가지 이상 또는 과잉행동-충동 증상 6가지 이상이 6개월 동안 지속되는 경우 가능하다. 또한 증상으로 인한 장해가 2가지 이상의 장면에서 존재하고, 사회적, 학업적, 직업적 기능에 심각한 장해가 초래되어야 한다.
-
4. ADHD 치료ADHD 치료에는 약물치료가 효과적이며, 80% 정도가 분명한 호전을 보인다. 하지만 약물 치료로만 모든 것이 해결되는 것은 아니며, 부모 교육, 인지행동 치료, 학습치료, 놀이치료, 사회성 그룹치료 등 다양한 치료가 병행되는 것이 좋다.
-
5. ADHD 경과 및 합병증ADHD 유병률은 약 3~8% 정도이며, 남자 아이가 여자 아이보다 약 3배 정도 더 높다. 청소년기 이후 성인기까지 지속되는 경우도 30%에서 많게는 70%에 이르는 것으로 밝혀졌다. 증상이 지속되는 경우 과잉행동 증상은 호전되나 집중력 저하와 충동조절 문제는 지속되는 경향이 있다.
-
6. ADHD 식이요법 및 생활가이드ADHD 아동들은 충동적이고 산만한 행동 때문에 부정적인 평가를 받게 되어 자신감이 없어지고, 또래 관계가 힘들어지며 학습 능력이 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부모를 포함한 가족, 학교의 선생님이 교육을 통해 치료적인 환경을 조성하는데 노력해야 한다.
-
7. ADHD 간호과정 - 집중력 저하와 관련된 학습 불이행간호사정 결과 대상자는 집중력이 저하되어 시키는 일을 수행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호진단은 '집중력 저하와 관련된 학습 불이행'이며, 단기목표는 5일 이내에 시키는 일을 1가지 이상 수행하는 것, 장기목표는 퇴원 시까지 하루에 일정시간을 집중하는 것이다. 간호중재로는 대상자 및 가족 교육, 긍정적 강화, 성취감 있는 과제 제공, 약물치료 등이 포함된다.
-
8. ADHD 간호과정 - 부모의 잘못된 양육방법과 관련된 가족과정 기능장애간호사정 결과 보호자는 대상자에게 한 번에 너무 많은 일을 시키고, 아버지는 대상자 돌봄에 관심이 없어 보였다. 간호진단은 '부모의 잘못된 양육방법과 관련된 가족과정 기능장애'이며, 단기목표는 3일 이내에 보호자가 자신들의 양육방법 문제점을 인식하고 적절한 양육방법 2가지 이상을 설명할 수 있는 것, 장기목표는 퇴원 시까지 부모가 서로 같이 양육하는 것이다. 간호중재로는 부모 교육, 가족 면담, 가족지지체계 연계 등이 포함된다.
-
9. ADHD 간호과정 참고문헌이미형 외(2019). 정신건강간호학. 현문사, 이은희 외(2019). 비판적 사고에 기반한 간호과정. 고문사, 서울대학교병원 홈페이지
-
1. ADHD 정의 및 원인ADHD(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는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충동성 등의 증상을 보이는 신경발달 장애입니다. ADHD의 정확한 원인은 아직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지만, 유전적 요인, 뇌 구조 및 기능의 차이, 환경적 요인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유전적 요인은 ADHD 발병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며, 뇌 영상 검사에서 ADHD 환자의 경우 전두엽과 기저핵 등 주의력 및 행동 조절과 관련된 뇌 영역의 구조적, 기능적 차이가 발견됩니다. 또한 임신 중 알코올 및 약물 노출, 출생 시 합병증, 유해 환경 노출 등의 환경적 요인도 ADHD 발병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
2. ADHD 증상ADHD의 주요 증상은 부주의, 과잉행동, 충동성입니다. 부주의 증상으로는 주의력 결핍, 산만함, 과제 완수의 어려움 등이 있고, 과잉행동 증상으로는 지속적인 움직임, 안절부절, 과도한 말하기 등이 나타납니다. 충동성 증상으로는 참을성 부족, 위험한 행동, 감정 조절의 어려움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증상들은 아동기부터 나타나며, 성인기까지 지속될 수 있습니다. ADHD 증상의 심각도와 양상은 개인차가 크며, 연령, 성별, 지적 능력 등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따라서 ADHD 진단 및 치료 시 개인의 특성을 고려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3. ADHD 진단 및 검사ADHD 진단을 위해서는 종합적인 평가가 필요합니다. 의사는 환자의 병력, 증상, 행동 관찰, 심리검사 등을 통해 ADHD 진단 기준을 충족하는지 확인합니다. 주요 진단 도구로는 ADHD 증상 척도, 지능검사, 신경심리검사 등이 사용됩니다. 또한 다른 정신 질환과의 감별을 위해 전반적인 건강 상태 및 정신 건강 평가도 이루어집니다. ADHD 진단은 단일 검사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정보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이루어지므로,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전문가의 종합적인 평가가 필요합니다.
-
4. ADHD 치료ADHD 치료는 약물 치료와 행동 치료를 병행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입니다. 약물 치료로는 주로 자극제 계열 약물이 사용되며, 이를 통해 주의력 향상, 충동성 감소 등의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행동 치료에는 인지행동치료, 사회기술훈련, 부모 교육 등이 포함됩니다. 이를 통해 ADHD 증상 관리, 자기조절 능력 향상, 가족 관계 개선 등을 도모할 수 있습니다. 치료 방법은 환자의 연령, 증상 정도, 동반 질환 유무 등을 고려하여 개별화되어야 하며, 약물 치료와 행동 치료를 병행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입니다.
-
5. ADHD 경과 및 합병증ADHD는 만성적인 질환으로, 대부분의 경우 아동기부터 성인기까지 지속됩니다. 하지만 증상의 양상과 심각도는 연령에 따라 변화할 수 있습니다. 아동기에는 과잉행동과 충동성이 두드러지지만, 성인기로 갈수록 부주의 증상이 더 두드러지게 나타납니다. ADHD 환자는 학업 및 직업 수행, 대인관계, 정서 등 다양한 영역에서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또한 우울증, 불안장애, 약물 남용, 반사회적 행동 등의 합병증이 동반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ADHD 환자에 대한 지속적인 관리와 지원이 중요하며, 증상 악화 및 합병증 예방을 위한 노력이 필요합니다.
-
6. ADHD 식이요법 및 생활가이드ADHD 환자의 경우 식이요법과 생활습관 개선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식이요법으로는 인공 색소, 방부제, 카페인 등의 섭취를 줄이고, 오메가-3 지방산, 아연, 철분 등의 섭취를 늘리는 것이 권장됩니다. 이를 통해 ADHD 증상 개선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또한 규칙적인 수면, 운동, 스트레스 관리 등의 생활습관 개선도 중요합니다. 이를 통해 ADHD 환자의 전반적인 건강과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할 수 있습니다. 다만 개인차가 크므로 전문가와 상담을 통해 맞춤형 식이요법 및 생활 가이드를 수립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
7. ADHD 간호과정 - 집중력 저하와 관련된 학습 불이행ADHD 환자의 집중력 저하는 학습 불이행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이에 대한 간호 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먼저 환자의 집중력 저하 및 학습 불이행 양상을 사정하고, 그 원인을 파악합니다. 그 다음 환자 개인의 특성과 요구사항을 고려하여 개별화된 간호 계획을 수립합니다. 이를 바탕으로 약물 치료, 행동 치료, 학습 전략 교육 등의 중재를 제공합니다. 또한 가족 교육을 통해 가정 내 지지 체계를 강화하고, 학교와의 협력을 통해 학습 환경을 개선합니다. 마지막으로 중재 효과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평가하여 필요 시 계획을 수정합니다. 이러한 포괄적인 간호 과정을 통해 ADHD 환자의 학습 능력 향상을 도모할 수 있습니다.
-
8. ADHD 간호과정 - 부모의 잘못된 양육방법과 관련된 가족과정 기능장애ADHD 환자의 가족 기능 장애는 부모의 잘못된 양육방법과 관련이 깊습니다. 이에 대한 간호 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먼저 가족 구조, 역할, 의사소통 등 가족 기능을 사정하고, 부모의 양육 방식과 ADHD 환자와의 상호작용을 관찰합니다. 그 다음 가족 구성원 개개인의 요구사항을 파악하고, 가족 중심 간호 계획을 수립합니다. 이를 바탕으로 부모 교육, 가족 상담, 의사소통 기술 훈련 등의 중재를 제공합니다. 또한 가족 구성원 간 유대감 증진, 문제 해결 능력 향상 등을 도모합니다. 마지막으로 중재 효과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평가하여 필요 시 계획을 수정합니다. 이러한 포괄적인 간호 과정을 통해 ADHD 환자와 가족의 기능 향상을 도모할 수 있습니다.
-
9. ADHD 간호과정 참고문헌ADHD 간호과정 수립을 위한 주요 참고문헌은 다음과 같습니다. 1.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13).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5th ed.). Washington, DC: Author. 2. Barkley, R. A. (2015).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 handbook for diagnosis and treatment (4th ed.). New York, NY: Guilford Press. 3. Chronis-Tuscano, A., Seymour, K. E., Stein, M. A., Jones, H. A., & Jiles, C. D. (2014). Family-based treatment of young children with ADHD: Adapting the children and parents COPE program. The ADHD Report, 22(5), 1-7. 4. Hockenberry, M. J., & Wilson, D. (2019). Wong's nursing care of infants and children (11th ed.). St. Louis, MO: Elsevier. 5. Kazdin, A. E. (2017). Psychosocial treatments for conduct disorder in children and adolescents. The ABCT Clinical Casebook, 1, 45-72. 6. National Institute of Mental Health. (2019).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ADHD). Retrieved from https://www.nimh.nih.gov/health/topics/attention-deficit-hyperactivity-disorder-adhd/index.shtml 이러한 문헌들은 ADHD의 병태생리, 진단, 치료, 간호 중재 등에 대한 최신 지견을 제공하여 ADHD 환자 간호 과정 수립에 도움이 될 것입니다.
-
정신간호학 이상행동 및 방어기제 용어정리1. 사고장애 정신간호학에서 사고장애에는 사고 형태의 장애와 사고 내용의 장애가 있습니다. 사고 형태의 장애에는 사고의 비약, 사고지연, 사고단절, 부적절한 사고, 음연상, 지리멸렬, 실어증, 보속증, 음속증, 우회증, 자폐적 사고, 신어조작증, 마술적 사고 등이 있습니다. 사고 내용의 장애에는 건강염려증, 자살사고, 강박사고, 공포증, 이인증, 망상(과대...2025.01.13 · 의학/약학
-
정신간호학 ADHD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Case study A+ 받은 자료입니다! (간호진단4, 간호과정4)1.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ADHD))는 아동기에 많이 나타나는 장애로, 지속적으로 주의력이 부족하여 산만하고 과다활동, 충동성을 보이는 상태를 말한다. 일부 아동은 과잉행동 없이 주의력결핍장애(Deficitt Hyperactivity Disorde...2025.05.02 · 의학/약학
-
정신간호학 ADHD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Case study A+ 받은 자료입니다! (간호진단4, 간호과정4) 21페이지
정신 건강 간호학 Case Study[학교 마크]학년학번 / 이름담당 교수님제출일목 차Ⅰ. 연구의 필요성Ⅱ. 문헌고찰Ⅲ. 시나리오Ⅳ. 간호진단Ⅴ. 간호과정Ⅵ. 참고문헌Ⅰ. 연구의 필요성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현대인에게 많이 발생하고 사회적으로 관심이 높은 정신건강 질환의 2019년 진료 현황 분석 결과, 19세 이하가 많이 앓는 정신질환은 총 환자 수가 4만8335명으로 운동과다장애(ADHD 포함)동과다장애(ADHD 포함)인 것으로 조사됐다. 2019년 정신건강의학과에서 진료받은 환자 수는 177만 명으로 전년(167만명)보다 5.9%...2023.03.05· 21페이지 -
정신 케이스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adhd, 정동장애, 문헌고찰, 간호진단, 간호과정6개 24페이지
목차Ⅰ. 서론1.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2. 정동장애 (affective disorder)Ⅱ. 본론1. 일반적 정보2. 정신 병력3. 의학적 정보4. 약물5. 간호문제 목록6. 간호목표 수립7. 간호 진단8. 간호 과정Ⅲ. 참고문헌Ⅰ. 서론1.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1) 정의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의 특징적 증상은 집중력이 낮아 주의집중기간이 짧고, 충동성과 과...2020.08.14· 24페이지 -
[A+] 정신간호학 실습 케이스 스터디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ADHD) 환아 폭력 위험성 간호과정 치료적 의사소통에 대한 임상 수행력 평가 10페이지
REPORT환자 간호문제에 따른 간호 과정 적용 및치료적 의사소통에 대한 임상 수행력 평가-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ADHD) 환아 -과 목 명담당교수학 번이 름실습병원실습병동제출날짜목 차Ⅰ. 주요 증상과 간호문제 기술 및 간호 과정 적용Ⅱ. 사례 및 간호 상황 제시Ⅲ. 의사소통 적용Ⅳ. 참고문헌Ⅰ. 주요 증상과 간호문제 기술 및 간호 과정 적용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장애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ADHD)에 관한 이론적 고찰을 실시하여 질환의 정의 및 주된 증상을 기술하고 초점 ...2020.12.03· 10페이지 -
[아동간호학] ADHD 문헌고찰 및 사례 (아동기 인지 및 심리사회적 건강 문제 해결을 위한 간호 및 관리) 14페이지
아동기 인지 및 심리사회적 건강 문제해결을 위한 간호 및 관리(ADHD)[ 목 차 ]Ⅰ. 문헌고찰1. 정의12. 특성 및 임상증상13. 유병률, 원인과 병태생리24. 진단적 검사35. 치료 및 간호관리56. 가족을 위한 교육6Ⅱ. 사례소개10Ⅲ. 참고문헌12Ⅰ. 문헌고찰1. 정의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는 부주의, 과잉행동, 충동적 행동이 특징이다. 아동기에 가장 흔한 신경 행동 장애이면서 학령기 아동에게 많은 만성적 건강 상태이다. ADHD는 억제가...2025.04.11· 14페이지 -
아동건강간호학 케이스 / ADHD /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장애 / 진단2 과정2 중재 19 37페이지
주의력 결핍/과잉행동 장애(Attention 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ADHD)교 과 명학 기학번 / 이름반 / 조제 출 일지 도 교 수 명Ⅰ. 서론 ------------------------- 1pⅡ. 본론 ------------------------- 2pⅰ. 문헌고찰ⅱ. 학령전기 발달ⅲ. 가상 시나리오ⅳ. 간호사정ⅴ. 간호진단ⅵ. 간호과정 1ⅶ. 간호과정 2Ⅲ. 결론 ------------------------ 32pⅣ. 참고문헌 --------------------- 34pⅤ. 회의록 ---...2025.02.28· 37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