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과제아동간호학 신생아 case study
본 내용은
"
A+과제아동간호학 신생아 case study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4.20
문서 내 토픽
  • 1. 심방중격결손증 (ASD;Atrial Septal Defect)
    심방 중격 결손이란 좌우 양 심방 사이의 중격(중간 벽)에 구멍(결손)이 있는 경우를 말한다. 심방 중격 결손에는 위치에 따라 3가지 형태가 있는데, 1차공 결손(primum ASD), 2차공 결손(secundum ASD), 정맥굴 결손(sinus venosus defect)이 있다. 대개는 증상이 없어 1~2세 경에 심잡음으로 진단되거나, 혹은 무증상으로 있다가 20대 이후에 증세가 나타나기 시작한다. 심장 초음파 검사로 결손을 직접 확인할 수 있으며, 증상이 있는 모든 경우와 좌우 단락비가 1.5~2이상인 경우 수술이나 폐쇄 기구(occlusion device)로 결손 부위를 막아 준다.
  • 2. 약한 Sucking reflex와 관련된 영양부족
    환아의 어머니의 말에 따르면 환아가 다른 아이들보다 잘 빨지를 못해서 우유병으로 우유를 먹지 못하고 있다. 관찰 결과 환아의 Sucking reflex가 미숙하여 수유 중 자주 멈추고 우유병을 피하려고 하며, 수유 중 역류와 우유가 흘러내리는 모습이 관찰되었다. 또한 체중이 증가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간호 목표는 1주 이내 영양섭취 능력을 회복하고 영양결핍이 없도록 하며, 수유에 어려움이 없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매일 체중 측정, 적절한 영양 공급, I/O 및 검사 수치 모니터링, 비경구 영양 및 수분/전해질 공급, 편안한 수유 자세와 방법 등의 간호중재를 제공한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심방중격결손증 (ASD;Atrial Septal Defect)
    심방중격결손증(ASD)은 심장 내 중격에 구멍이 생겨 혈액이 비정상적으로 흐르는 선천성 심장 질환입니다. 이로 인해 폐로 가는 혈액량이 증가하여 폐동맥압이 높아지고 심장이 과부하되는 문제가 발생합니다. 대부분의 경우 증상이 없거나 경미하지만, 크기가 큰 경우 호흡곤란, 피로감, 부정맥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치료는 약물 치료와 수술적 치료가 있는데, 증상이 심하거나 합병증이 있는 경우 수술을 통해 결손부위를 폐쇄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조기 진단과 적절한 치료를 통해 대부분의 환자들이 정상적인 생활을 할 수 있습니다.
  • 2. 약한 Sucking reflex와 관련된 영양부족
    약한 빨기 반사(Sucking reflex)는 신생아기에 나타나는 중요한 생존 반사 중 하나로, 젖병이나 젖꼭지를 빨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합니다. 이 반사가 약하거나 결여되면 영아가 원활하게 젖병이나 모유를 섭취하지 못해 영양 섭취가 부족해질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성장 발달 지연, 체중 증가 부족, 탈수, 전해질 불균형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원인으로는 신경계 이상, 구강 및 인두 근육 발달 지연, 선천성 기형 등이 있습니다. 치료로는 구강 자극 훈련, 튜브 급식, 영양 보충제 투여 등이 필요하며, 원인 질환에 대한 적극적인 치료도 병행되어야 합니다. 약한 빨기 반사에 대한 조기 발견과 적절한 관리가 중요합니다.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