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숙아의 폐기능, 피부 통합성 장애 위험성
문서 내 토픽
-
1. 미숙아의 정의세계보건기구(WHO)에 의하면 재태 기간 37주 미만 또는 최종 월경일로부터 259일 미만에 태어난 아기를 미숙아(preterm infant) 또는 조산아라고 한다. 대한신생아학회 조사통계위원회에서 2001년 1년 동안 전국 75개 병의원 108,485명의 출생아를 대상으로 조사한 바에 의하면 37주 미만의 미숙아는 8.4%를 차지한다. 국내에서는 재태주령으로는 22주 3일, 출생 체중으로는 430g의 미숙아가 출생하여 무사히 신생아 집중 치료실에서 퇴원하였다.
-
2. 저체중 출생아의 분류- 저체중 출생아(LWB, low birth weight): 재태 기간과 상관 없이 출생 체중을 기준으로 하여 출생 체중이 2,500g 미만 - 극소 저체중 출생아(VLBW, very low birth weight): 출생 체중이 1,500g 미만 , 80~92%의 생존율 - 초극소 저체중 출생아(ELBW, extremely low birth weight): 출생 체중이 1,000g 미만, 65~83%의 생존율 - 이른둥이: 최근 출생 체중이 2,500g 미만이거나 재태 기간 37주 미만으로 출생한 아기를 통칭함
-
3. 미숙아의 증상전반적인 외모: 투명한 피부, 솜털이 별로 없으며 생식기의 미성숙하며, 대체적으로 머리가 큰 데 비해 몸은 마르고 작다. 뇌: 뇌혈관의 자율조절 기전 미비로 허혈 상태에서도 뇌혈류가 성인처럼 어느 정도 유지되지 못하고 전신 혈압의 변동에 따라 함께 떨어지게 되어 허혈 손상이 있을 가능성이 높다. 또한 뇌 세포들이 아직 완전히 성숙되지 못한 상태에서 출생하게 되므로 취약한 세포들을 위주로 손상이 일어나게 되는데, 특히 미성숙 희소돌기아교세포가 손상을 받아 백질 손상을 일으키게 된다. 미숙아는 측뇌실 부위의 혈관 발달이 미비되어 측뇌실 부위에 뇌출혈이 쉽게 생기고, 허혈성 뇌 손상인 뇌실 주위 백질연화증이 쉽게 온다.
-
1. 미숙아의 정의미숙아는 임신 37주 미만에 태어난 신생아를 말합니다. 이들은 신체 발달이 완전하지 않아 다양한 건강 문제를 겪을 수 있습니다. 미숙아의 정의는 의학적 기준에 따라 조금씩 변화해 왔지만, 일반적으로 임신 37주 미만에 태어난 신생아를 미숙아로 간주합니다. 이들은 체중, 신장, 두위 등 신체 발달이 미숙하고 여러 가지 합병증에 노출될 수 있어 집중적인 의료 관리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미숙아의 정의와 특성을 이해하는 것은 이들의 건강한 성장을 위해 매우 중요합니다.
-
2. 저체중 출생아의 분류저체중 출생아는 출생 시 체중이 2,500g 미만인 신생아를 말합니다. 이들은 다시 초극소 저체중아(1,000g 미만), 극소 저체중아(1,000~1,500g), 저체중아(1,500~2,500g)로 세분화됩니다. 초극소 저체중아와 극소 저체중아는 생존율이 낮고 합병증 발생 위험이 높습니다. 반면 저체중아는 비교적 예후가 양호한 편입니다. 저체중 출생아의 분류는 이들의 건강 상태와 예후를 예측하고 적절한 의료 지원을 제공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따라서 저체중 출생아의 세부 분류 기준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3. 미숙아의 증상미숙아는 신체 발달이 미성숙하여 다양한 건강 문제를 겪을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증상으로는 호흡 곤란, 체온 조절 장애, 감염 위험 증가, 뇌출혈, 괴사성 장염, 망막증 등이 있습니다. 이들은 체중 증가와 성장 발달이 지연되기도 합니다. 또한 장기적으로 신경 발달 장애, 시각 및 청각 장애, 학습 장애 등의 합병증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미숙아의 증상을 정확히 파악하고 적절한 치료와 관리를 제공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이를 통해 미숙아의 건강한 성장과 발달을 도모할 수 있습니다.
미숙한 폐기능과 관련된 비효과적 호흡양상, 미숙한 피부구조와 영양부족과 관련된 피부 통합성 장애 위험성,
본 내용은 원문 자료의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4.18
-
아동간호학_미숙아_VLBW_nicu_케이스스터디_문헌고찰_간호과정1. 미숙아의 분류와 특성 미숙아는 재태기간에 따라 만기분만, 조기분만, 과숙분만으로 구분되며, 출생체중에 따라 저출생체중아(LBW), 극소 저출생체중아(VLBW), 초극소 저출생체중아(ELBW)로 분류됩니다. 미숙아는 자세 이완, 피부 특성, 호흡 양상, 생리적 특성 등에서 만삭아와 다른 특성을 보입니다. 2. 미숙아의 진단 검사 및 임상증상 미숙아의 임...2025.01.15 · 의학/약학
-
A+ RDS 케이스(문헌고찰, 인수인계, 간호진단10, 간호과정2)1. 폐의 미성숙과 관련된 비효과적 호흡양상 신00 환아는 emergency c/sec을 통해 유도 분만된 GA 34w+4, Weight 1700g인 미숙아, 저체중출생아로 태어났다. 환아는 NICU 입원 당일 Spo2: 80-85% 계속 check 되고 chest retraction 심했고 ABGA pH 7.181, PaCO2 58.6, PaO2 45.3...2025.04.27 · 의학/약학
-
정상신생아 (normal newborn)1. 신생아 특징 신생아는 출생 후 28일까지를 말하며 신생아를 사정할 때는 머리끝부터 발끝까지 꼼꼼히 사정한다. 일단 자세는 자궁 내에서와 비슷한 자세를 취하는데 좌우균형이 잡혀있고 골곡된 사지, 주먹 쥔 손, 구부린 자세가 정상이다. 출생 시 평균 체중은 3.400g이며 생후 5일 체중의 10%가 줄어든다. 그 후 하루 2~30g의 체중이 증가되며 10...2025.01.19 · 의학/약학
-
성인간호 실습 A+ 흡인성 폐렴 케이스 스터디, 비효과적 기도청결, 피부통합성 장애 간호진단 3개 간호과정 2개1. 흡인성 폐렴 흡인성 폐렴은 구강 분비물이나 위에 있는 내용물 등의 이물질이 기도로 흡인되면서 폐에 염증이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치매, 두부 손상, 경련, 알코올 중독 등 의식 저하가 있는 상황에서 흡인이 일어날 위험이 높으며, 삼킴 장애가 있는 환자, 허약한 아기나 신생아, 미숙아의 경우에도 흡인성 폐렴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녹농균, 황색...2025.01.27 · 의학/약학
-
신생아 호흡곤란 증후군 케이스 스터디1. 신생아 호흡곤란 증후군 신생아 호흡곤란 증후군은 폐의 발달이 미숙하여 폐의 지속적인 팽창을 유지시키는 표면 활성제(surfactant)가 부족하여 호흡곤란이 초래되는 질병으로 주로 미숙아에게 나타난다. 이는 단일 질병으로서는 사망률이 가장 높으며(약 10~20%), 신생아기의 대표적인 질병이다. 재태 기간이 짧을수록, 출생 시 체중이 작을수록 발생빈도...2025.01.16 · 의학/약학
-
고위험 신생아 간호 요약정리 보고서1. 고위험 신생아 확인 고위험 신생아는 재태기간과 출생 시 체중과 상관없이 출생과 관련한 상황이나 자궁 외 생활의 적응과정에서 사망률이나 이환률이 평균보다 높은 신생아로 정의할 수 있다. 고위험 신생아의 분류에는 재태연령, 체중, 재태연령-체중, 사망률에 따른 분류가 있다. 2. 고위험 신생아의 간호 고위험 신생아 간호의 주요 목표는 호흡을 확보하고 유지...2025.01.28 · 의학/약학
-
신생아실 정상 신생아 케이스 간호과정 2개 흡인의 위험성, 피부 통합성 장애의 위험 8페이지
신생아실 간호과정간호진단 2개1. 미성숙한 위장관계와 관련된 흡인 위험성2. 피부 기능 미숙, 장시간 기저귀 착용과 관련된 피부 통합성 장애의 위험1. 미성숙한 위장관계와 관련된 흡인 위험성간호사정주관적 자료(-)객관적 자료- 출생: 23-03-13, NR 재실- 체중: 3260 Gm, 주수: 38주 3일- C/S, 남아- 신체사정 시 tongue tie 소견 있었으나 문제없다고 함.- 수유 시 마다 bottle propping하고 있는 것 관찰함(3/14~3/17).- 젖병을 물고 있다가 미간을 찌푸리고 켁켁대는 모습 관찰함(3/...2023.11.06· 8페이지 -
신생아간호과정 3페이지
간호과정 적용객관적 자료환자이름: 김간호 어머니 아기성별: 여연령:조정나이 30주 2일몸무게 1.03kg주증상:무호흡진단명:prematury, premature apneaaminophylline투약중위식도 역류가 의심됨영양공급시 가끔 역류가 보임활동성이 감소하여 처지고 desaturation이 증가V/S: 체온36도, 맥박 120회/분, 호흡수 50회분간호진단#1.미성숙한 폐기능과 관련된 비효과적 호흡 양상(Ineffective breathing pattern)#2.장기간의 입원과 관련된 잠재적인 피부통합성 장애의 위험(Risk f...2021.02.22· 3페이지 -
아동간호학실습 NICU 신생아중환자실 케이스 간호과정 (미성숙한 폐기능과 관련된 가스교환장애) 6페이지
A. 대상자 간략 소개산모1) 임신/분만 합병증 : 전자간증 (부종, 고혈압, 당뇨)2) 분만 형태: C-sec대상자 (아기)1) 이름: 미정 (고OO님 아기)2) 성별: 남자3) 제태 주수 : 27weeks + 1 days4) 출생일 및 시간 : 2019년 06 04일 11시 27분5) APGAR 점수: 1분 (8점), 5분 (9점)6) 신체계측 : 키 34 cm, 체중 760g, 두위 24cm, 흉위 19cm7) 활력징후 : 체온 36.2℃, 맥박 136회/분, 호흡 58회/분8) 입원 경로OR에서 repeat C-sec gn ...2020.11.08· 6페이지 -
(과제 A+)신생아무호흡증 간호과정(간호진단 3개, 간호과정 3개) 11페이지
..FILE:mimetypeapplication/hwp+zip..FILE:version.xml..FILE:Contents/header.xml^1.^2.^3)^4)(^5)(^6)^7^8^1.^2.^3)^4)(^5)(^6)^7^8^1.^2.^3)^4)(^5)(^6)^7^8..FILE:BinData/image1.bmp..FILE:BinData/image2.bmp..FILE:BinData/image3.bmp..FILE:Contents/section0.xml간호진단 1[진단명] 무호흡과 청색증으로 나타나는 미성숙한 폐 기능과 관련된 비효과적...2023.06.28· 11페이지 -
NICU(신생아중환자실) 미숙아 적용 간호과정 보고서 4페이지
모아선택실습 미숙아 간호과정 보고서제출일: 학번: 이름:1. 미숙아의 정의 및 원인세계보건기구(WHO)에 의하면 출생 시 체중과 관계 없이 임신 기간 37주 미만 도는 최종 월경일로부터 37주 미만에 태어난 신생아를 미숙아(premature baby) 또는 조산아(preterm baby)라고 정의한다. 출생 체중이 2500g 미만인 경우가 많으며 출생 체중에 따라 초극소저출생체중아(1,000g 미만, ELBW), 극소저출생체중아(1,500g 미만, VLBW), 및 저출생체중아(2,000g 미만, LBW)로 분류한다. 일반적으로 체중...2020.09.02· 4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