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 RDS 케이스(문헌고찰, 인수인계, 간호진단10, 간호과정2)
문서 내 토픽
-
1. 폐의 미성숙과 관련된 비효과적 호흡양상신00 환아는 emergency c/sec을 통해 유도 분만된 GA 34w+4, Weight 1700g인 미숙아, 저체중출생아로 태어났다. 환아는 NICU 입원 당일 Spo2: 80-85% 계속 check 되고 chest retraction 심했고 ABGA pH 7.181, PaCO2 58.6, PaO2 45.3로 respiratory acidosis 보이면서 Chest X-ray 결과 RDS 진단받았다. 이후 치료를 위해 S-E tube intubation하고 SIMV mode로 Ventilator(FiO2 : 0.45, PIP : 18, PEEP : 4, RR : 20)적용하였으나 SpO2 80-85%로 desaturaiton 되고 Respiration 여전히 빠르며 chest retraction 심하여 infasurf 6ml 1V 주입 후 position change & ambu-bagging 수차례 시행하였습니다. 11/23일 11시 extubation 시행하고 11/24일 8시에 Nasal prong 적용하다가 11월 26일 o2 stop한 상태이며 현재 지속적으로 V/s 상 apnea로 비효율적 호흡양상 보이는 바 있어 시급성/중요성이 높다.
-
2. 위장관 미성숙과 관련된 위장관 운동기능 장애환아는 미숙아로 위장관운동 기능장애의 위험 대상자이다. only G-tube feeding과 PN 하고 있으며 11월 23일 11시에 regurge 후 milk+old blood clot+salivary 양상으로 2.8cc out되어 feeding skip하였고 이후 14시 20분에 milk form vomitting 1g한 후 obs 중이며 현재까지 하루 한 두 차례씩 1-2g정도로 vomiting 보이고 있다. 신체로부터 부산물을 분비하고 배설하는 배설기능과 위장계 내의 연동운동으로 인한 흡수와 영양섭취는 환아의 정상 성장과 관련이 있어 시급성/중요성이 높지만 호흡에 비했을 때 생명에 바로 직결되는 것이 낮아 시급성/중요성은 보통 반이다.
-
3. 뇌혈관 손상과 관련된 비효과적 뇌조직 관류의 위험환아 11/24일 Brain CT상 Acute ICH involving left occipital lobe로 나와 ICH 및 기타 저산소성 뇌 손상 가능성 있어 CT상 hypoxic damage 의심된다고 하여 Brain USG f/u 하라고 하였고 이후 27일, Brain MRI 시행 결과 좌측 두정엽과 후두엽을 포함해서 ICH 이전보다 증가된 양 보이면서 ICH 확진되어 Brain MRI 한달 뒤 f/up 예정입니다. 그리고 이와 함께 좌측 방사관에 국소적으로 확산된 제한 병변 보여 acute infarction 의심상태입니다. ICH에 대해서는 한 달 뒤 f/up 예정이기에 당장 생명에 위급할 정도는 아니기에 시급성/중요성은 보통이다.
-
4. 복합적 요인(침습적 처치, tube, 미숙한 면역체계)과 관련된 감염의 위험maternal cervical Cx 결과 enterococcus spp 나와 환아 sepsis의 위험 있으며 CRP 0.03으로 정상범위이나 WBC는 11/22일 14.42였다가 현재는 10.21로 정상범위에서 약간 벗어난 상태입니다. 대상자는 G-tube, IV site 가지고 있으며 미숙아로 면역체계가 미숙한 바 있어 환경에 의한 교차감염의 위험이 있습니다. 대상자의 현재 호흡상태에 비해 시급성이 낮다 생각하여 시급성/중요성은 보통 반으로 했습니다.
-
5. 산모병력과 관련된 불안정한 혈당수치의 위험GDM을 겪는 산모의 환아로 출생 당일 14시 30분 혈당 31로 check 되어 Dextrose 10% 500ml/Bag 3.5ml를 IV로 bolus 투여하고 Dextrose 12.5% 3.5cc/hr로 변경, 이후 26일 5시에 혈당 45, 27일 5시에 55check 되어 Dextrose bolus 투여하였습니다. 28일 현재는 혈당 70 이상으로 잘 유지되고 있으나 대상자는 혈당수치가 불안정한 상태였으므로 위험성이 있어 시급성/중요성은 보통으로 하였습니다.
-
6. 출혈의 위험성환아 11/24일 Brain CT상 Acute ICH involving left occipital lobe로 나와 ICH 가능성 있어 신경외과 협진 의뢰하였더니 small amount hemorrhage 관찰되고 있으나 양이 많지 않아 conservative Tx하다가 7일 Brain MRI 시행 결과 좌측 두정엽과 후두엽을 포함해서 ICH 이전보다 증가된 양보이면서 ICH 확진되었다. 이를 보았을 때, 대상자는 내출혈의 위험성이 있음으로 시급성이 높으나 Brain MRI 한달 뒤 f/up 예정임으로 시급성/중요성은 보통이다.
-
7. 전해질 불균형의 위험11월 23일 14시 20분에 feeding BM or PM 4cc중 milk form vomitting 1g하여 Dr notify하여 obs 하기로 하였고 현재까지 하루 한 두 차례씩 1-2g정도로 vomiting 보이고있다. 그러나 feeding 11/22일 BM or PM 4cc이던 것이 현재 18cc까지 증량된 것으로 보아 시급성은 낮습니다. Fluid로 Na-40 6ml 4.6cc/hr, K-40 4ml 4.6cc/hr로 전해질 보정액 들어가고있는 것으로 보아 자원의 가용도는 높고 현재까지 구토 하루 1-2회 1-2g 정도있음으로 선호도는 보통 반이다.
-
8. 신생아 고빌리루빈혈증의 위험11/22일 Liver profile 결과 Total bilirubin 1.4mg/dl로 hyperbilirubinemia있어 11월 23일 8시부터 광선요법 진행 중이며 26일 Total bilirubin 9.0, 27일 8.0, 현재는 6.3mg/dl로 check 되었다. 이를 보아 이전의 높은 수치가 있었지만 현재는 정상수치로 고빌리루빈혈증이 아니기때문에 시급성은 낮다.
-
9. 피부통합성장애대상자는 인큐베이터 안에서 생활하고 있으며 11/26일부터 anus 주변으로 기저귀 발진 mild-moderate하게 있는 상태이고 욕창 점수 사정 결과 19점으로 욕창 고위험군으로 위의 진단에 비해 생명과 연관성이 덜하기에 시급도는 낮다. 현재 기저귀 발진이 있는 상태임으로 시급도는 밑의 진단보다는 높고 선호도는 보통이다.
-
10. 낙상위험환아는 입원 당시 측정한 낙상 위험 평가 도구에서 14점으로 High risk군에 속하였기 때문에 중요성이 높으나 현재 인큐베이터 care 중으로 앞선 간호진단들에 비해 시급성이 낮고 변화가능성도 낮으며 선호도는 보통이다.
-
1. 폐의 미성숙과 관련된 비효과적 호흡양상신생아의 폐는 출생 시 미성숙한 상태이므로 호흡 기능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호흡 양상이 비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적절한 산소 공급과 호흡 보조 등의 치료가 필요합니다. 또한 폐 성숙을 돕는 약물 치료도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신생아의 폐 기능 향상을 위해서는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전문적인 관리가 중요합니다.
-
2. 위장관 미성숙과 관련된 위장관 운동기능 장애신생아의 위장관 기능은 출생 시 미성숙한 상태이므로 위장관 운동 기능 장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소화 및 배변 기능에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적절한 영양 공급과 장 기능 개선을 위한 약물 치료, 장관 내 영양 공급 등의 방법을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또한 장 기능 발달을 돕는 자극 요법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신생아의 위장관 기능 향상을 위해서는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전문적인 관리가 필요합니다.
-
3. 뇌혈관 손상과 관련된 비효과적 뇌조직 관류의 위험신생아의 뇌혈관은 출생 시 취약한 상태이므로 손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뇌조직으로의 혈액 공급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 뇌 기능 저하, 신경학적 합병증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뇌혈관 보호와 혈액 순환 개선을 위한 약물 치료, 적절한 산소 공급, 체온 관리 등의 집중 치료가 필요합니다. 또한 신생아의 뇌 발달을 위해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전문적인 관리가 중요합니다.
-
4. 복합적 요인(침습적 처치, tube, 미숙한 면역체계)과 관련된 감염의 위험신생아는 면역 체계가 미성숙하고 다양한 침습적 처치를 받게 되므로 감염의 위험이 높습니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철저한 감염 관리, 무균 술기 준수, 적절한 항생제 사용 등이 필요합니다. 또한 면역 기능 향상을 위한 영양 공급과 면역 증강제 투여 등의 방법도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신생아의 감염 예방을 위해서는 의료진의 지속적인 관심과 노력이 중요합니다.
-
5. 산모병력과 관련된 불안정한 혈당수치의 위험산모의 병력, 특히 임신성 당뇨병 등은 신생아의 혈당 불안정성 위험을 높일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저혈당이나 고혈당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산모의 철저한 혈당 관리, 신생아의 지속적인 혈당 모니터링, 필요 시 적절한 인슐린 투여 등의 치료가 필요합니다. 또한 신생아의 혈당 안정화를 위해 영양 공급 관리, 스트레스 관리 등의 노력이 중요합니다.
-
6. 출혈의 위험성신생아는 혈액 응고 기능이 미성숙하여 출혈의 위험이 높습니다. 특히 뇌출혈, 위장관 출혈, 피부 출혈 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혈액 응고 인자 보충, 혈소판 수혈, 비타민 K 투여 등의 치료가 필요합니다. 또한 출혈 위험 요인을 최소화하고 출혈 징후를 조기에 발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신생아의 출혈 관리를 위해서는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전문적인 치료가 필수적입니다.
-
7. 전해질 불균형의 위험신생아는 전해질 조절 기능이 미성숙하여 전해질 불균형의 위험이 높습니다. 특히 나트륨, 칼륨, 칼슘 등의 불균형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신경계, 심혈관계, 신장 기능 등에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전해질 수치 모니터링, 필요 시 정맥 내 전해질 보충, 수분 균형 관리 등의 치료가 필요합니다. 신생아의 전해질 관리를 위해서는 지속적인 관찰과 전문적인 접근이 중요합니다.
-
8. 신생아 고빌리루빈혈증의 위험신생아 고빌리루빈혈증은 신생아기에 흔히 발생하는 문제로, 적절한 치료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뇌 손상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정기적인 빌리루빈 수치 모니터링, 광선 치료, 필요 시 교환 수혈 등의 치료가 필요합니다. 또한 고빌리루빈혈증의 원인을 파악하고 이를 해결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신생아 고빌리루빈혈증 관리를 위해서는 의료진의 지속적인 관심과 노력이 필요합니다.
-
9. 피부통합성장애신생아의 피부는 출생 시 미성숙한 상태이므로 피부 통합성 장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피부 손상, 감염, 체온 조절 문제 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피부 보호, 적절한 수분 공급, 감염 관리 등의 노력이 필요합니다. 또한 피부 상태 모니터링과 필요 시 치료적 중재가 중요합니다. 신생아의 피부 건강 관리를 위해서는 의료진과 보호자의 지속적인 관심과 협력이 필요합니다.
-
10. 낙상위험신생아는 근력과 균형 감각이 미숙하여 낙상의 위험이 높습니다. 이로 인해 골절, 두부 외상 등의 심각한 부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신생아 침대의 안전한 사용, 보호자의 지속적인 관찰, 낙상 위험 요인 제거 등의 노력이 필요합니다. 또한 낙상 발생 시 신속한 대응과 적절한 처치가 중요합니다. 신생아의 안전한 환경 조성을 위해서는 의료진과 보호자의 협력이 필수적입니다.
A+ RDS 케이스(문헌고찰, 인수인계, 간호진단10, 간호과정2)
본 내용은 원문 자료의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1.27
-
[NICU케이스]실습A+,혼을 갈아넣은 RDS, Apnea, 단일제대동맥 간호진단, 간호과정 엄청 자세한 케이스 17페이지
NICU학과:간호학과학번:00000000학년:0학년이름:000-목차-1. 질병에 대한 문헌고찰2. 인수인계3. 간호진단(7개, 정의 및 우선순위 설정한 사유)-- 기도흡인 위험성- 감염위험성- 피부 손상- 비효율적 호흡양상- 피부 통합성 장애의 위험- 돌봄 제공자의 불안- 욕창 위험성4. 간호과정(3개)- 기도흡인 위험성- 감염위험성- 피부 손상5. 대상자 사정양식(1) 기초자료A. 출생정보B. 건강력/과거력C. 영양상태 사정(2) 진단검사 및 치료과정-임상검사 및 진단적 검사 결과-특수검사-경구, 비경구 투약과 정맥 주입사례보고서...2023.11.01· 17페이지 -
NICU casestudy(복합적 요인(광선 요법, 침습적 처치, 부동 등)과 관련된 피부손상 위험성, 경관 영양으로 인한 흡인의 위험) 18페이지
케이스 환아 진단명:호흡곤란 증후군(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 RDS)[1. 질병에 대한 문헌고찰]호흡곤란 증후군(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 RDS)정의신생아 호흡곤란 증후군이란 폐의 발달이 완성되지 않은 미숙아에서 주로 발생한다. 폐 표면 계면활성제의 생성과 분비가 부족하게 되면서 폐포가 제대로 펴지지 않아 호흡곤란이 발생하는 질환이다. 이 물질은 임신 20주 이후부터 생성되기 시작하며 임신 34주가 되어야 폐포 내로 충분히 분비되어 제 역할을 하게 된다.원인미숙아의 경...2023.11.20· 18페이지 -
NICU case study (신생아 호흡곤란 증후군, RDS,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17페이지
NICU CASE STUDY신생아 호흡곤란 증후군(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RDS)목차1. 질병에 대한 문헌 고찰2. 인수인계3. 간호진단 10개4. 간호과정- 비효율적 호흡양상- 피부통합 장애사례보고서 양식케이스 환아 진단명:신생아 호흡곤란 증후군(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RDS)[1. 질병에 대한 문헌고찰]1. 정의신생아 호흡 곤란 증후군은 폐의 발달이 미숙하여, 폐의 지속적인 팽창을 유지시켜 주는 물질인 폐 표면 활성제가 부족하여 무기폐를 초래하는 대표적인 진행성 호...2020.04.26· 17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