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교수님칭찬,성인간호학실습 케이스스터디 - 경막하출혈 SDH 간호진단3개, 주관적, 객관적 자료, 임상지도
본 내용은
"
A+ 교수님칭찬,성인간호학실습 케이스스터디 - 경막하출혈 SDH 간호진단3개, 주관적, 객관적 자료, 임상지도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4.17
문서 내 토픽
  • 1. 경막하출혈(SDH)
    경막하 출혈은 뇌를 둘러싸고 있는 경막(dura)이라는 막의 안쪽에서 뇌 표면의 혈관이나 뇌와 경막 사이를 이어주는 혈관이 외상에 의해 파열되어 다량의 급성 출혈이 발생하여 뇌와 경막 사의의 경막하 공간(subdural space)에 피가 고여 뇌를 압박하는 상태로서, 흔히 뇌 실질의 좌상(타박상)과 파열, 뇌내 출혈을 동반한다. 대부분이 심한 두부외상 후에 발생되어 심한 뇌좌상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으나 간혹 특히 노년층에서 아주 경미한 외상 후에도 발생된다. 급성(acute), 아급성(subacute), 만성(chronic)으로 분류하는데, 만성은 2주후~몇 달에 증상이나 징후를 보일 때를 말한다.
  • 2. 감염 위험
    대상자의 도관 삽입 상태, 수술 후 EVD 배액, Foley catheter 삽입 등으로 인해 감염 위험이 있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 1시간마다 활력징후 사정, CBC 검사 확인, 상처부위 관리, 2시간마다 percussion 시행, 항생제 투여 등의 중재가 필요하다.
  • 3. 장기간 부동과 관련된 피부손상 위험성
    대상자가 24시간 침상에서 사지 억제대가 적용되어 있어 장기간 부동으로 인한 피부손상 위험이 있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 2시간마다 자세 변경, 피부 관찰 및 관리, 욕창 예방 등의 중재가 필요하다.
  • 4. 복합적 요인과 관련된 피로
    대상자가 불충분한 수면, 신체적 스트레스, 주위의 소음 및 빛 등의 복합적인 요인으로 인해 피로감을 호소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수면 양상 관찰, 충분한 수면 시간 확보, 기운없음 관찰 등의 중재가 필요하다.
  • 5. 약물 치료
    대상자에게 페르디핀 주사액, 큐팜 주사, 세파졸린 주, 염산페치딘 주사, 트윈스타 정 등의 약물이 처방되어 투여 중이다. 이들 약물의 작용, 용량, 부작용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투여와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 6. 검사 및 처치
    대상자에게 brain CT, chest AP, ABGA, UA 등의 검사와 Burr hole trephination (subdural), Burr hole OP site gauze dressing, EVD 등의 처치가 시행되었다. 이에 대한 결과 해석과 처치 과정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 7. 식이 및 운동 요법
    대상자의 식이는 수술 전후 NPO, 수술 2일 후 일반죽 3식 3일째 적용 중이며, 운동은 침상안전과 2시간마다 체위 변경(Head up 30도)이 시행되고 있다. 이러한 식이 및 운동 요법이 대상자의 회복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 8. 간호 진단
    본 사례에서 도출된 주요 간호 진단은 감염 위험, 장기간 부동과 관련된 피부손상 위험성, 복합적 요인과 관련된 피로 등이다. 이에 대한 적절한 간호 중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9. 임상 지도
    본 사례는 성인간호학실습 CASE STUDY로 제출된 것으로, 교수님의 임상 지도 하에 작성된 것으로 보인다. 이를 통해 학생들이 실제 임상 상황에서의 간호 과정을 학습할 수 있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 10. 환자 정보 및 상태
    본 사례의 대상자는 80세 남성으로 Traumatic chronic subdural hemorrhage 진단을 받고 Burr hole trephination (subdural) 수술을 받은 상태이다. 현재 의식 수준은 혼돈 상태이며, 좌측 근력 저하, 고혈압 등의 증상을 보이고 있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경막하출혈(SDH)
    경막하출혈(SDH)은 두개강 내 출혈로 인한 심각한 상태로, 신속한 진단과 치료가 필요합니다. 이는 외상, 혈액 응고 장애, 항응고제 사용 등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증상으로는 두통, 구토, 의식 저하, 운동 장애 등이 나타나며, 신속한 영상 검사와 수술적 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환자의 상태와 원인을 정확히 파악하고, 신속한 대응이 이루어져야 합니다. 또한 재발 방지를 위한 장기적인 관리도 중요합니다.
  • 2. 감염 위험
    감염 위험은 환자 관리에 있어 매우 중요한 요소입니다. 특히 중환자실이나 수술 후 환자의 경우 감염 위험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철저한 감염 관리 프로토콜 준수, 손 위생 강화, 무균 술기 준수, 적절한 항생제 사용 등이 필요합니다. 또한 환자의 면역 상태, 기저 질환 등을 고려하여 개별화된 접근이 필요합니다. 감염 발생 시 신속한 진단과 치료가 이루어져야 하며, 감염 관리에 대한 지속적인 교육과 모니터링이 중요합니다.
  • 3. 장기간 부동과 관련된 피부손상 위험성
    장기간 부동은 피부 손상의 주요 위험 요인입니다. 욕창, 피부 찰과상, 피부 감염 등의 발생 위험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정기적인 체위 변경, 압력 재분산 지지면 사용, 피부 관찰 및 관리, 영양 관리 등이 필요합니다. 또한 환자의 활동 수준, 감각 저하, 영양 상태 등을 고려하여 개별화된 예방 전략을 수립해야 합니다. 피부 손상 발생 시 신속한 사정과 치료가 이루어져야 하며, 장기적인 관리와 교육이 중요합니다.
  • 4. 복합적 요인과 관련된 피로
    피로는 다양한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할 수 있습니다. 질병, 치료, 수면 장애, 스트레스, 영양 불균형 등이 피로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피로 관리를 위해서는 이러한 요인들을 종합적으로 사정하고 관리해야 합니다. 충분한 휴식, 규칙적인 수면, 균형 잡힌 식단, 운동 등의 생활 습관 개선이 필요하며, 필요 시 약물 치료나 심리 상담 등의 중재도 고려해야 합니다. 또한 환자의 개별적인 특성과 상황을 고려한 맞춤형 접근이 중요합니다.
  • 5. 약물 치료
    약물 치료는 환자 관리에 있어 매우 중요한 부분입니다. 질병의 증상 완화, 합병증 예방, 예후 개선 등을 위해 적절한 약물 선택과 투여가 필요합니다. 그러나 약물 부작용, 상호작용, 내성 등의 위험도 고려해야 합니다. 따라서 환자의 병력, 기저 질환, 약물 반응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개별화된 약물 치료 계획을 수립해야 합니다. 또한 약물 모니터링, 투약 교육, 순응도 관리 등이 병행되어야 합니다. 약물 치료의 효과와 안전성을 지속적으로 평가하고, 필요 시 적절한 조정이 이루어져야 합니다.
  • 6. 검사 및 처치
    검사와 처치는 환자 상태 파악과 적절한 치료를 위해 필수적입니다. 정확한 진단을 위한 검사 선택과 시행, 그리고 환자의 상태와 요구에 맞는 처치가 이루어져야 합니다. 이 과정에서 환자의 안전과 편안함을 최우선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또한 검사와 처치에 따른 합병증 예방과 관리도 중요합니다. 환자와 보호자에게 충분한 정보를 제공하고, 동의를 구하는 등 윤리적 원칙을 준수해야 합니다. 검사와 처치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사전에 예측하고 대응할 수 있는 체계가 마련되어야 합니다.
  • 7. 식이 및 운동 요법
    식이와 운동 요법은 환자 관리에 있어 중요한 부분입니다. 질병 상태, 영양 상태, 기능 수준 등을 고려하여 개별화된 식이와 운동 계획을 수립해야 합니다. 균형 잡힌 영양 공급, 수분 섭취, 적절한 활동량 등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회복 촉진, 합병증 예방, 삶의 질 향상 등을 도모할 수 있습니다. 환자와 보호자에게 식이와 운동의 중요성을 교육하고,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피드백을 제공해야 합니다. 또한 다학제 팀의 협력을 통해 통합적인 접근이 이루어져야 합니다.
  • 8. 간호 진단
    간호 진단은 환자의 건강 문제를 체계적으로 파악하고 간호 중재를 계획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간호사는 환자의 건강 상태, 간호 요구, 자원 등을 종합적으로 사정하여 간호 진단을 내리고, 이에 따른 간호 계획을 수립해야 합니다. 이 과정에서 환자 중심의 접근, 근거 기반 실무, 다학제 협력 등이 중요합니다. 또한 간호 진단의 정확성과 타당성을 지속적으로 평가하고, 필요 시 수정 및 보완이 이루어져야 합니다. 간호 진단은 환자 관리의 핵심 요소이므로, 간호사의 전문성과 책임감이 요구됩니다.
  • 9. 임상 지도
    임상 지도는 간호 실무 역량 향상을 위해 매우 중요합니다. 경험 있는 간호사가 신규 간호사나 학생 간호사를 지도하여 실무 능력을 향상시키고, 전문성 개발을 지원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이를 위해서는 지도자의 전문성, 리더십, 의사소통 능력 등이 필요합니다. 또한 지도 대상자의 요구와 특성을 고려한 개별화된 접근이 중요합니다. 지도 과정에서 피드백 제공, 문제 해결 지원, 역할 모델링 등이 이루어져야 하며, 지도자와 피지도자 간의 상호 존중과 신뢰가 바탕이 되어야 합니다. 임상 지도는 간호 실무의 질 향상과 전문성 발전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 10. 환자 정보 및 상태
    환자 정보와 상태에 대한 정확한 파악은 환자 관리의 기초가 됩니다. 환자의 병력, 증상, 검사 결과, 치료 경과 등을 체계적으로 수집하고 분석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환자의 건강 문제를 정확히 파악하고, 적절한 간호 계획을 수립할 수 있습니다. 또한 환자와 보호자에게 정보를 제공하고 의사소통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환자 정보와 상태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기록 관리가 필요하며, 다학제 팀 간의 정보 공유와 협력이 이루어져야 합니다. 이를 통해 환자 중심의 통합적인 관리가 가능해질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