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더십 상황이론
본 내용은
"
리더십 상황이론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3.29
문서 내 토픽
  • 1. 상황이론
    상황이론은 행동이론의 한계성을 인식하고 등장한 새로운 이론이다. 행동이론 등의 공통적 과제는 효과성을 증진시키는 데 가장 적합한 이상적인 리더십 유형이나 형태를 발견하려는 것이었으나 모든 상황에 적합한 리더십 유형을 발견해내는 데 실패하였다. 왜냐하면 상황에 따라 최적의 리더십 유형이 다를 수 있기 때문이었다.
  • 2. 상황적합이론
    상황적합이론은 피들러(F E. Fiedler, 1967) 에 의하여 최초로 제시되었는데, 피들러는 조직에 대한 리더의 영향력은 세 가지 변수에 의해서 결정된다고 보았다. 그 변수는 첫째, 구성원이 리더에 대하여 갖는 신뢰, 믿음, 존경 정도와 리더의 매력을 포함하는 정도의 리더와 구성원과의 관계, 둘째, 과업 구조, 즉 집단의 과업이 일상적이고 예측 가능한가라는 직무가 절차화된 정도, 셋째, 리더 영향력, 즉 직위권력은 리더가 채용, 해고, 징계, 승진 및 임금인상 등과 같은 권력변수에 대하여 행사하고 있는 영향력의 정도를 말한다.
  • 3. 리더십 대체물이론
    케르(Kerr, 1977 135-146) 는 리더십 연구에서 리더십 행동을 대체하는 대체물로서 상황변수를 확인하는 작업을 최초로 시도하였으며, 리더십의 영향력을 약화시키는 상황적 측면을 '대체물substitutes)' 변수와 '장애물neutralizers)' 변수로 나누었다. 대체물은 리더의 행동을 불필요하게 만드는 부하의 특성, 과업 및 조직의 특성과 같은 상황변수이며, 장애물(중화물)이란 리더 행동의 유효한 기능을 방해하고 리더행동의 효과를 약화, 중화시키는 상황변수이다.
  • 4. 상황 리더십이론
    허시와 블란차드(Hersey & Blanchard, 1977) 는 다양한 상황 중에서 부하직원의 상황에 주목하고 부하가 없으면 리더도 존재하지 않는다는 가정을 기반으로 해서 이론을 전개하였다. 그리고 효과적 리더십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상황적 요인을 추종자의 과업과 관련된 성숙도(maturity)로 규정했다. 성숙도란 과업수행을 위한 추종자의 동기, 책임감 및 능력을 의미한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상황이론
    상황이론은 리더십 발휘에 있어 상황적 요인들이 중요하다고 강조합니다. 리더의 행동은 리더 개인의 특성뿐만 아니라 상황적 요인들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는다는 것입니다. 이 이론에 따르면 리더는 상황에 맞는 적절한 행동을 취해야 하며, 상황에 따라 다른 리더십 스타일을 발휘해야 합니다. 이는 리더십 발휘에 있어 상황적 요인들의 중요성을 강조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다만 이 이론은 상황적 요인들이 리더십 발휘에 미치는 영향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지 못한다는 한계가 있습니다.
  • 2. 상황적합이론
    상황적합이론은 리더십 발휘에 있어 리더의 행동 스타일과 상황적 요인들 간의 적합성이 중요하다고 강조합니다. 이 이론에 따르면 리더는 상황에 맞는 적절한 행동 스타일을 발휘해야 하며, 리더의 행동 스타일과 상황적 요인들 간의 적합성이 높을수록 리더십 효과성이 높아진다고 합니다. 이는 리더십 발휘에 있어 상황적 요인들과 리더의 행동 스타일 간의 적합성이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다만 이 이론은 상황적 요인들과 리더의 행동 스타일 간의 구체적인 적합성 기준을 제시하지 못한다는 한계가 있습니다.
  • 3. 리더십 대체물이론
    리더십 대체물이론은 리더십 발휘에 있어 리더의 행동이 부차적인 역할을 한다고 주장합니다. 이 이론에 따르면 조직 구성원의 특성, 과업의 특성, 조직 구조 등의 요인들이 리더십 발휘를 대체할 수 있다고 합니다. 즉, 이러한 요인들이 리더의 행동을 대체하여 구성원들의 동기부여와 성과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이는 리더십 발휘에 있어 리더의 행동 외에도 다양한 요인들이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다만 이 이론은 리더의 행동이 완전히 대체될 수 있다는 점에 대해 논란의 여지가 있습니다.
  • 4. 상황 리더십이론
    상황 리더십이론은 리더십 발휘에 있어 리더의 행동 스타일과 상황적 요인들 간의 상호작용이 중요하다고 강조합니다. 이 이론에 따르면 리더는 상황에 맞는 적절한 행동 스타일을 발휘해야 하며, 상황적 요인들에 따라 다른 행동 스타일을 선택해야 한다고 합니다. 즉, 리더의 행동 스타일과 상황적 요인들 간의 상호작용이 리더십 효과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입니다. 이는 리더십 발휘에 있어 상황적 요인들과 리더의 행동 스타일 간의 상호작용이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다만 이 이론은 상황적 요인들과 리더의 행동 스타일 간의 구체적인 상호작용 메커니즘을 설명하지 못한다는 한계가 있습니다.
주제 연관 토픽을 확인해 보세요!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