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골격계 절단 간호진단3 간호과정3(케이스x)
문서 내 토픽
  • 1. 신체 부분 상실과 관련된 신체상 장애
    대상자는 왼쪽 대퇴절단(Transfemoral Amputation)을 받았으며, 무조건 부정적인 태도와 불안감을 보이고 있다. 분노가 많아지고 상실에 대한 허무함이 크다. 정서상태를 사정하고 정신과 의사와 상담을 하였으며, 효과적인 자세(운동)에 대해 교육하고 절단 부위를 관찰하도록 격려하였다. 지지체계를 확인하고 자조모임에 참여하도록 격려하였다. 대상자는 1일 이내에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였고 5일 이내에 신체상의 변화를 수용하였다.
  • 2. 수술과 관련된 급성통증
    대상자는 왼쪽 대퇴절단(Transfemoral Amputation) 수술을 받았으며, 수술 상처의 통증이 증가하고 진통제를 투여했음에도 통증이 지속되며 환상통을 호소하고 있다. 통증 부위의 NRS를 측정하고 환상통이 있는지 사정하였다. IV PCA를 사용하고 처방에 따라 진통제를 투여하였으며, 환상통에 대해 설명하고 IV PCA 사용법과 PCA의 목적, 부작용, 효과에 대해 교육하였다. 대상자는 1일 이내에 통증이 감소되어 편안하다고 말하였고 퇴원시까지 통증이 없다고 말하였다.
  • 3. 절단과 관련된 이동 능력 장애
    대상자는 왼쪽 대퇴절단(Transfemoral Amputation)을 받아 스스로 이동하지 못하고 활동하기 두려워하며 활동이 감소하여 대부분 침상에 누워있다. 활동 수준을 평가하고 스스로 자세를 변경하도록 격려하였다. 수술 후 48시간 이후 절단부에 베개를 고여주거나 절단부를 올리지 않도록 교육하고, 절단부가 외회전되지 않게 적절한 체위를 취해주며 절단부를 내전시키도록 교육하였다. 휠체어와 목발 사용법을 교육하고 능동적인 관절 운동과 재활을 위한 근육강화 운동을 교육하고 격려하였다. 활동방법을 대상자와 보호자에게 교육하였다. 대상자는 1일 이내에 절단된 사지의 정상적인 관절 운동을 유지할 수 있었고 3일 이내에 제한된 범위 내에서 일상생활을 유지할 수 있었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신체 부분 상실과 관련된 신체상 장애
    신체 부분 상실은 개인의 자아 정체성과 자존감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신체상 장애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는 개인의 삶의 질을 크게 저하시킬 수 있습니다. 이러한 신체상 장애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전문가의 도움과 함께 가족과 친구들의 지지가 매우 중요합니다. 또한 절단 환자들을 위한 재활 프로그램과 보조기기 지원 등 사회적 지원 체계가 마련되어야 할 것입니다. 신체 부분 상실로 인한 신체상 장애는 개인의 삶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이에 대한 관심과 지원이 필요합니다.
  • 2. 수술과 관련된 급성통증
    수술 후 발생하는 급성통증은 환자의 회복 과정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통증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수술 전부터 통증 관리 계획을 수립하고, 수술 중 및 수술 후 적절한 진통제 투여와 함께 다양한 통증 완화 방법을 활용해야 합니다. 또한 환자의 통증 호소에 귀 기울이고 이를 적극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수술 후 급성통증을 효과적으로 관리하면 환자의 회복 속도를 높이고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수술 전후 통증 관리에 대한 의료진의 관심과 노력이 필요합니다.
  • 3. 절단과 관련된 이동 능력 장애
    절단으로 인한 이동 능력 장애는 환자의 일상생활과 사회 활동에 큰 제약을 가져올 수 있습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보조기기 지원, 재활 프로그램 등 다양한 지원 체계가 마련되어야 합니다. 또한 절단 환자들이 보다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사회 인프라를 개선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절단 환자들이 자립적으로 생활할 수 있도록 돕고, 사회 구성원으로서 활동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절단과 관련된 이동 능력 장애는 개인의 삶의 질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이에 대한 관심과 지원이 절실합니다.
근골격계 절단 간호진단3 간호과정3(케이스x)
본 내용은 원문 자료의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3.21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