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혈간호-수혈과정, 수혈부작용
본 내용은
"
수혈간호-수혈과정, 수혈부작용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3.21
문서 내 토픽
-
1. 공혈자 사정공혈자의 건강상태와 과거력을 확인하여 수혈자에게 전파될 수 있는 위험 요인을 파악한다. 공혈자의 활력징후와 혈색소 수치가 정상 범위 내에 있어야 하며, 표준 공혈량 320mL를 채혈할 수 있는 연령과 체중 기준을 충족해야 한다. 공혈 과정에서는 실신이나 현기증 등의 부작용을 예방하기 위한 조치가 필요하다.
-
2. 수혈 과정수혈 처방을 확인하고 대상자에게 수혈의 효과와 위험성을 설명한 후 동의서를 받는다. 의료진 2인이 대상자와 혈액 정보를 확인하고, 수혈 전 후 활력징후와 부작용 발생 여부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한다. 수혈 시작 후 15분 내에 발생할 수 있는 급성 부작용을 집중적으로 관찰한다.
-
3. 수혈 부작용과 합병증수혈 부작용에는 급성 용혈반응, 지연성 용혈반응, 알레르기 반응, 용혈성 또는 아나필락틱 반응, 발열, 비용혈성 반응, 세균성 반응, 순환 과부담, 공기 색전증, 이식편 대 숙주질환, 수혈 후 급성 폐손상 등이 있다. 각 부작용의 원인, 임상 증상, 간호 수행 방법을 설명한다.
-
4. 수혈에 의한 질환수혈을 통해 전파될 수 있는 질환에는 간염, 말라리아, 후천성면역결핍증, 이식편 대 숙주질환, 거대세포바이러스증, 철분과다증, 대량 수혈반응 등이 있다. 각 질환의 특징과 예방 방법을 설명한다.
-
5. 수혈 주의사항수혈 시 부적합성과 오염 가능성이 있으므로 혈액과 약물을 혼합하여 주입하지 않는다. 수혈용 표준혈액 필터를 사용하고, 필터 교체 시기를 준수한다. 수혈 주입세트를 생리식염수로 채워 혈액 손실을 방지한다.
-
1. 공혈자 사정공혈자 사정은 수혈 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입니다. 공혈자의 건강 상태, 병력, 약물 복용 여부 등을 면밀히 확인하여 수혈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과 합병증을 최소화해야 합니다. 공혈자의 안전과 건강이 최우선이 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전문의의 면밀한 검진과 상담이 필요합니다. 또한 공혈자의 개인정보 보호와 프라이버시 보장도 중요한 고려사항이 되어야 합니다.
-
2. 수혈 과정수혈 과정은 매우 복잡하고 세심한 주의가 필요한 절차입니다. 수혈 전 혈액형 확인, 교차 반응 검사, 혈액 보관 및 운반 과정의 관리 등 모든 단계에서 철저한 관리와 감독이 이루어져야 합니다. 또한 수혈 중 환자의 상태 모니터링, 부작용 발생 시 신속한 대응 등이 필요합니다. 수혈 과정의 안전성과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의료진의 전문성과 경험, 그리고 의료 시설의 인프라가 뒷받침되어야 합니다.
-
3. 수혈 부작용과 합병증수혈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과 합병증은 매우 다양하며, 때로는 생명을 위협할 수 있습니다. 용혈성 수혈 반응, 감염, 알레르기 반응, 순환 과부하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를 예방하고 신속하게 대응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의료진의 전문성과 경험, 의료 시설의 인프라, 환자 모니터링 등이 부작용 예방과 관리에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또한 환자와 보호자에게 수혈 부작용에 대한 충분한 정보를 제공하고, 이들의 협조를 구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
4. 수혈에 의한 질환수혈 과정에서 감염성 질환이 전파될 수 있는 위험이 있습니다. 혈액매개 감염병, 바이러스 감염, 세균 감염 등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환자의 건강과 생명을 위협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수혈 전 공혈자의 건강 상태와 병력을 면밀히 확인하고, 혈액 검사를 통해 감염 여부를 철저히 확인해야 합니다. 또한 의료진의 감염 예방 수칙 준수, 의료 시설의 위생 관리, 혈액 보관 및 운반 과정의 관리 등이 중요합니다. 수혈에 의한 질환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다각도의 노력이 필요합니다.
-
5. 수혈 주의사항수혈 과정에서는 다양한 주의사항이 필요합니다. 먼저 환자의 혈액형과 수혈 혈액의 적합성을 확인해야 합니다. 또한 수혈 전후 환자의 상태를 면밀히 모니터링하여 부작용 발생 여부를 신속히 파악해야 합니다. 수혈 속도와 양을 적절히 조절하고, 수혈 중 환자의 체온, 혈압, 맥박 등을 체크해야 합니다. 감염 예방을 위해 의료진의 위생 관리와 의료 시설의 청결 상태도 중요합니다. 마지막으로 환자와 보호자에게 수혈의 필요성, 과정, 부작용 등에 대해 충분히 설명하고 동의를 구해야 합니다. 이러한 주의사항들이 지켜져야 안전하고 효과적인 수혈이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
수혈간호,병동컨퍼런스자료PPT1. 수혈의 정의와 목적 수혈이란 환자에게 부족한 혈액의 혈구 성분과 혈장 성분을 타인의 혈액으로 공급받는 것을 말한다. 수혈의 목적은 부족한 순환혈액량을 보충하고, 혈액 응고인자의 결핍을 보충하며, 혈액의 산소운반능력을 증강시키고, 혈액의 결핍 구성성분을 보충하는 것이다. 2. 수혈간호의 정의와 목적 수혈간호는 정확한 환자에게 정확한 방법으로 수혈하고, ...2025.05.10 · 의학/약학
-
아동간호/ABO부적합증으로 인한 황달/신생아의 용혈성 질환1. ABO 부적합증 ABO 부적합증은 혈액형이 O형인 임신부가 A형 또는 B형인 아기를 가졌을 때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임신부의 면역글로불린 G 유형(IgG type)의 항A, B항체(anti-A, B)가 태반을 건너가 아기의 적혈구 항원과 결합하여 적혈구가 파괴되는 질환입니다. ABO 부적합증은 Rh 부적합증과 달리 증상이 심하지 않으며, 임신 횟수의 ...2025.05.03 · 의학/약학
-
수혈 간호와 혈액제제 종류에 따른 수혈시간, 수혈 주의사항, 임상에서 알기 좋은 수혈간호 꿀팁1. 수혈의 목적 질병이나 손상으로 인해 손실된 순환 혈액량을 보충하기 위함, 부족한 응고인자 및 결핍성분을 보충하기 위함, 혈액의 산소운반 능력을 회복하기 위함 2. 수혈의 준비물품 수혈혈액, 수혈 혈액 종류에 따른 수혈세트, 활력징후 측정 준비물, 생리식염수, 주사기, 전처치약, 반창고, 혈관카테터, 알코올 솜, 멸균장갑, 수혈동의서, 수혈기록지 3. ...2025.01.27 · 의학/약학
-
수술 전 간호 프로토콜1. 수혈요법 수혈요법은 질병이나 손상으로 인해 손실된 순환혈액을 보충하거나 부족한 혈액인자를 보충하여 혈액을 교정하는 것입니다. 수혈세트를 이용하면 혈액백 내의 microclots, aggregates 및 debris 등을 걸러 줄 수 있어 색전증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수혈 시 나타날 수 있는 부작용 증상으로는 붓거나 가려움, 어지러움, 호흡곤란, 흉통...2025.04.28 · 의학/약학
-
수혈요법 관리1. 수혈(Blood transfusion) 수혈은 공여자(donor)로부터 수혜자(recipient)에게 전혈(whole blood)이나 혈장, 적혈구, 혈소판과 같은 혈액의 특정 구성성분을 정맥내로 투여하는 것입니다. 수혈의 목적은 질병이나 외상으로 인해 손실된 순환혈액량을 보충하거나, 혈액응고 요소와 혈소판수의 감소로 인한 기능장애 시 부족한 요소를 ...2025.05.05 · 의학/약학
-
응급실 실습 사전학습1. 응급약물의 종류 심폐소생술 중 투여되는 주요 약물로는 에피네피린, 바소프레신, 아트로핀, 중탄산나트륨, 아미오다론, 리도카인 등이 있다. 이들 약물은 심박조율 회복, 제세동 역치 감소, 부정맥 재발 방지, 산증 치료 등의 작용을 한다. 약물 투여 시에는 환자의 심전도, 산-염기 상태, 체중 등을 고려해야 한다. 2. 응급실 주요 질환 응급실에서 흔히 ...2025.01.18 · 의학/약학
-
수혈부작용 간호과정 8페이지
Blood Transfusion Reaction(Surgical Scenario 5 : Lloyd Bennet)목차Ⅰ. 대상자 사정의사 처방--------------------------------------------------------------------------------------2약물 종류--------------------------------------------------------------------------------------3약물 투여방법------------------------------------...2021.01.13· 8페이지 -
수혈간호 ppt 20페이지
수혈간호목차 수혈의 개념과 종류 수혈 전 검사 수혈부작용 수혈지침 및 업무수행과정수혈의 개념과 종류 혈액이란 혈관 내를 채우고 있는 물질을 총체적으로 부르는 것으로 여러 종류의 세포와 액상 성분으로 구성된다. 혈액을 구성하는 세포는 크게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 으로 구분되며 혈구성분이라고 부른다. 혈액에서 혈구 성분을 제 외한 나머지 액상 성분을 혈장이라고 부르는데, 여기에는 단 백질, 유기물, 무기물이 포함되어 있다. 적혈구는 산소공급 을, 백혈구는 면역체계 유지를, 혈소판은 지혈작용을 한다. 수혈의 목적 : 손실된 순환 혈액량...2023.02.08· 20페이지 -
수혈간호 레포트 24페이지
수혈종류 및 간호 Report목차 수혈의 정의 수혈의 목적 수혈의 종류 혈액제제의 종류 수혈 전 검사 수혈 과정 수혈 시 주의사항 수혈부작용 수혈 부작용 시 간호수혈이란 ? 환자에게 부족한 혈액의 혈구성분과 혈장성분을 타인으로 부터 공급받아 보충해주는 과정으로 외상 , 수술로 인한 다량의 실혈 , 용혈성 질환과 같이 혈액의 성분을 파괴하는 질환과 백혈병이나 혈우병과 같이 혈액 내 필요한 성분을 만들지 못하는 질환 등 여러 이유로 다른 사람의 혈액을 받는 치료를 말함 .수혈의 목적 1) 질병이나 손상 , 수술로 인해 손실된 순환 혈액...2021.10.23· 24페이지 -
수혈간호(혈액제제의 종류, 수혈 중재 및 주의사항, 수혈부작용 및 간호) 7페이지
수혈 간호(Blood Transfusion)1. 수혈의 정의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12. 수혈의 목적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13. 혈액제제의 종류1) 전혈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22) 적혈구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33) 농축혈소판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44) 신선동결혈장_____...2020.11.23· 7페이지 -
혈액제제 종류, 수혈 부작용 및 합병증 5페이지
혈액제제 과제1. 혈액제제 종류, 양, 주입시간, 적응증종류양주입시간적응증전혈(whole blood)500ml2~4시간이내? 대량 출혈로 인한 빈혈? 혈량감소성 쇼크? Hb,Hct,순활혈량 저하적혈구농축액(packed RBC)200~250ml2~4시간이내? 암, 간질환, 심장질환 관련 빈혈? 중증도의 실혈? 체액 과부담 위험이 있을때세척적혈구(washed RBCs)200ml2~4시간? 농축적혈구와 동일? 이전에 수혈부작용이 있었다며 제외? 면역글로불린과 단백질 제거동결적혈구(Frozen RBCs)250~300ml? 희귀한 혈액형이나...2022.09.03· 5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