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가지 프로그램 기획기법의 내용에 대하여 토론하시오
본 내용은
"
4가지 프로그램 기획기법의 내용에 대하여 토론하시오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3.18
문서 내 토픽
  • 1. 간트 차트
    간트 차트는 1910년에 간트에 의해 고안된 생산관리용 도표로서 바 차트(Bar Chart)라고도 한다. 일정관리를 위한 기법이다. 세로 바에는 세부목표와 활동 및 프로그램을 기입하고 가로바에는 시간을 기입하여 사업의 소요시간을 막대로 나타내는 도표이다. 간트 도표는 계획과 실제 작업량을 시간에 따라 표시하여 계획과 통제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도표이다. 사용목적에 따라 작업자 기계도표, 작업부하도표(load Chart) 그리고 작업진도표(Process chart)로 활용할 수 있다. 이 도표는 상대적으로 복잡하지 않은 사업을 계획할 때 주로 사용되며, 단순 명료하다는 장점 때문에 사회복지조직에서 많이 쓰인다. 그러나 세부적인 활등을 포함하지 않고 과업이나 활동 간의 연결과정이 표시되지 않고 과업들 간의 연관성을 알 수 없다는 한계도 있다.
  • 2. 프로그램평가 검토기법(PERT)
    PERT는 명확한 목표를 가진 프로그램을 조직화하고 진행시간표를 작성하고 예산을 수립하여 프로그램진행사항을 추적해 나가는 데 유용한 기법이다. PERT는 궁극적인 목적으로부터 시작하여 이와 관련된 주요과업과 활동들을 역방향으로 연결하는 과정과 각 과업과 활동들의 소요시간을 추정하여 기입하는 과정으로 구분되며 이를 순서도를 사용하여 기록함으로서 보다 명확하고 포괄적으로 목표를 성취하기 위한 업무들을 체계적으로 나타낼 수가 있다. 간트 도표는 활동만을 나타내고 과업을 나타내지 않으며, 활동과 과업사이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지 않아 전반적인 계획을 이해하기 힘든 점이 있는데, PERT는 이러한 단점을 해결해 주고 과업수행에 기대되는 시간까지 나타내 주기 때문에 매우 유용한 기획기법이다.
  • 3. 월별활동계획표
    월별활동계획표(Shed-U Graph)는 미국의 Remington Rand회사에서 개발한 것으로 간트 도표와 비슷한 성격을 가지고 있다. 카드의 위쪽 가로에는 월별이 기록되고 아래에는 과업을 적은 작은 카드가 꽂혀진다. 시간에 따라 변경하고 이동하는 것은 편리하지만 업무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는 데는 적절하지 못하다. 주로 프로포절이나 사업계획의 일정표와 같은 성격을 지닌다.
  • 4. 방침관리기획
    방침관리기획은 PDCA(Plan-Do-Check-Action) 사이클에 따른 프로그램기획기법으로 Hoshin K-ann이라는 일본 기업에서 개발한 기획방법에 기초한 것이다. 이 기법은 한 조직의 문제를 해결하고 핵심적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조직의 자원을 결집시키는 데 초점을 두고 있다. 그래서 공통된 목표달성을 위해 조직구성원 전체의 노력을 적절하게 조정하기 위한 기법이다. 예외적인 상황은 계속 발생하게 되므로 계획을 바로 실행에 옮긴 후 문제점을 찾아가면서 그때그때 수정하며, 실행 후 확인과정을 통해 보완해 나가는 방식이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간트 차트
    간트 차트는 프로젝트 관리에 널리 사용되는 도구로, 작업의 시작과 종료 시점, 진행 상황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게 해줍니다. 이를 통해 프로젝트 일정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자원을 효율적으로 배분할 수 있습니다. 간트 차트는 단순하면서도 직관적이어서 프로젝트 관리자와 팀원 모두가 이해하기 쉽습니다. 또한 진척도 추적, 지연 요인 파악, 의사결정 지원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복잡한 프로젝트의 경우 간트 차트만으로는 한계가 있을 수 있으므로, 다른 프로젝트 관리 기법과 병행하여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 2. 프로그램평가 검토기법(PERT)
    PERT(Program Evaluation and Review Technique)는 프로젝트 관리를 위한 대표적인 기법 중 하나입니다. PERT는 프로젝트의 각 활동에 대한 최적, 최악, 가장 가능성 있는 소요 시간을 고려하여 전체 프로젝트의 완료 시간을 예측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프로젝트 일정 관리와 자원 배분을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습니다. 또한 PERT는 활동 간 상호 의존성을 고려하여 프로젝트의 비판적 경로를 파악할 수 있어, 프로젝트 지연 요인을 사전에 파악하고 대응할 수 있습니다. 다만 PERT는 복잡한 프로젝트에 적용하기 어려울 수 있으며, 활동 소요 시간 예측의 정확성에 따라 결과의 신뢰성이 달라질 수 있다는 한계가 있습니다.
  • 3. 월별활동계획표
    월별활동계획표는 프로젝트 관리에서 매우 유용한 도구입니다. 이를 통해 프로젝트의 각 활동을 월별로 계획하고 관리할 수 있습니다. 월별활동계획표에는 각 활동의 시작 및 종료 시점, 담당자, 진척도 등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어 프로젝트 전체의 진행 상황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습니다. 또한 월별 단위로 계획을 수립하고 관리함으로써 단기적인 관점에서 프로젝트를 효과적으로 통제할 수 있습니다. 월별활동계획표는 간단하면서도 직관적이어서 프로젝트 관리자와 팀원 모두가 이해하기 쉽습니다. 다만 복잡한 프로젝트의 경우 월별 단위로는 세부적인 관리가 어려울 수 있으므로, 주별 또는 일별 계획 수립과 병행하여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 4. 방침관리기획
    방침관리기획은 조직의 전략적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중요한 프로세스입니다. 이를 통해 조직의 비전, 미션, 핵심 가치 등을 명확히 정의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행 계획을 수립할 수 있습니다. 방침관리기획은 조직 전체의 방향성을 제시하고, 부서 및 개인의 목표와 역할을 연계시킬 수 있습니다. 또한 정기적인 모니터링과 평가를 통해 계획의 실행 상황을 점검하고 필요에 따라 수정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조직은 변화하는 환경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습니다. 다만 방침관리기획은 조직 구성원 전체의 참여와 협력이 필요하므로, 의사소통과 조정 과정이 중요합니다.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