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성충수염
본 내용은
"
급성충수염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2.21
문서 내 토픽
  • 1. 급성충수염 정의
    급성충수염이란 외과적 처치를 필요로 하는 급성 염증으로서 맹장 끝 약 10cm 길이의 충수 돌기에 염증이 발생하는 것을 의미한다. 우리나라 기준 매년 10만명 이상이 급성 충수염으로 수술을 받고있으며 충수염은 진행된 정도에 따라 조기 충수염, 화농성 충수염, 괴저성 충수염, 천공된 충수염 등으로 분류되며, 최근에는 항생제와 수액 치료가 발달함에 따라 만성 충수염도 발생하고 있다.
  • 2. 급성충수염 증상 및 징후
    급성 충수염의 가장 기본적인 증상은 통증이다. 통증은 배꼽주위에서 시작한 rebound tenderness가 복부 전체에서 우하복부로 이동한다. 가장 흔한 압통점은 충수의 정상 위치에 해당하는 점인 장골의 우측 전상극에서 5cm 정도 떨어진 곳에 있는 McBurney's point이지만, 나이가 어린 소아일 경우엔 구체적인 통증 위치를 식별하기 어려울 수 있다. 충수염 아동의 20~40%에서 통증호소 후 약 48시간 내에 충수천공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외에도 열, 오심, 구토. 복부 강직, 웅크린 자세, 장음의 감소/소실, 변비/설사, 식욕부진, 빈맥, 빈호흡, 창백, 기면의 증상을 보일 수 있다.
  • 3. 급성충수염 병태생리
    충수는 끝이 막힌, 길고 가는 관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어느 한 부위가 막히면 그 이하 부위가 완전히 폐쇄된다. 충수의 구멍이 막히면 안에 있던 세균이 증식하고, 점막층에서 분비되는 분비물이 빠져나가지 못하게 된다. 점점 분비물의 양이 증가하여 충수 돌기가 팽창한다. 충수염은 주로 10대 후반 ~ 20대에게서 잘 발생하는데, 이는 이 시기에 충수 내 임파 조직의 양이 최대치로 증가하여 임파 조직의 과형성이 발생할 확률이 높기 때문이다. 소아 충수염에서 분리되는 균으로는 Escherichia coli, Klebsiella spp.와 같은 그람 음성균과 Pseudomonas aeruginosa, Streptococci spp., Enterococci spp. 등이 있다.
  • 4. 급성충수염 진단
    1) 병력과 신체검진- 통증: 처음에는 복부 전체(주로 배꼽주위)에서 시작되나, 우하복부로 내려간다. 통증이 가장 심한 부위는 전상장골능과 배꼽사이의 중간 쯤에 위치한 McBurney point이다. 또한 반동압통이 존재할 수 있다.2) 임상검사- CBC: 백혈구, CRP 상승- UA: 요로감염과의 감별진단을 위해 시행- 혈청 HCG: 사춘기 여아의 자궁외 임신과의 감별진단3) 방사선검사- 초음파 검사- CT scan: 충수의 직경이 커져 있고, 충수벽이 두꺼워져 있으며, 지방 띠, 연조직염, 수분축적, 장관외 가스 발생 등의 충수 주위에 염증성 변화가 있다면, 양성으로 고려
  • 5. 급성충수염 내과적 치료
    NPO (장의 휴식을 위해)정맥 내 수액 공급위장관 감압을 위해 비위관 삽입관장과 하제는 염증 부위를 자극해 천공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금기항생제는 정맥으로 투여진통제는 증상을 은폐시킬 위험이 있으므로 확진 후 사용
  • 6. 급성충수염 외과적 치료
    충수돌기염으로 진단되면 가능한 한 바로 수술을 시행(합병증으로 천공 시 복막염이 생길 수 있기 때문)복강경이나 복부 절개를 통해 충수에서 충수돌기를 절제한다.수술하는 동안 염증을 일으킨 충수가 파열되지 않도록 조심히 다루어야 한다.
  • 7. 급성충수염 간호진단
    간호진단: "충수의 염증과 관련된 급성통증"
  • 8. 급성충수염 간호사정
    1) 주관적 자료- "선생님 배가 너무너무 아파서 죽을 거 같아요!",- "아~! 나쁜 악당이 내 배를 때리고 있어요!!"2) 객관적 자료Acute appendicitis 진단받음.ROS: Abdominal pain(+), RLQ(McBurney's point) rebound tenderness(+)NRS 통증 척도 (numerical rating scale, 0-10 scale) 측정결과 : 8점cold sweating배를 웅크리고 누워있는 모습 관찰됨.
  • 9. 급성충수염 간호목표
    1) 장기 목표- 대상자는 퇴원 시까지 NRS 통증 척도 결과 3점 이하로 통증이 감소한다.2) 단기 목표- 대상자는 2일 이내에 통증이 경감되었다고 말로 표현할 것이다.- 대상자는 3일 이내 통증을 호소하지 않고 보행할 수 있다.
  • 10. 급성충수염 간호계획
    1) 진단적 간호계획- 활력징후를 측정한다.- 통증을 사정한다.2) 치료적 간호계획- 필요 시 처방된 진통제를 투여한다.- 통증을 줄이기 위한 이완요법을 실시한다.비약물성 통증 완화방법을 교육한다.3) 교육적 간호계획- 통증을 느끼는 아동을 지지하도록 부모를 교육한다.
  • 11. 급성충수염 간호수행
    1) 진단적 간호중재와 이론적 근거* 진단적 간호중재- 4시간마다 V/S 측정함.BTPRRRBPSpO₂08:0038.112028115/759812:0037.910526120/809816:0037.511022120/849920:0037.610022110/7298- 4시간마다 통증 사정함.08:0012:0016:0020:00NRS8점6점6점5점부위abd painabd painabd painabd pain양상쑤심쑤심쑤심쑤심지속시간지속적30분지속적20분지속적15분지속적15분*이론적 근거- 활력징후를 확인하는 것은 가장 기본적인 간호 중재이다. 통증으로 인해 맥박과 호흡이 증가하고, 혈압이 변화할 수 있다.- 통증의 수준을 확인하기 위해서이다. 통증의 강도에 따라 약물요법 여부와 종류 용량 등 치료 및 간호가 달라진다.2) 치료적 간호중재와 이론적 근거*치료적 간호 중재1. 처방된 진통제를 투여함.약물명용량 및 투여방법Ketocin Inj30mg [IV]Caldolor Inj300mg [IV]2. 통증을 줄이기 위한 이완요법을 실시함.1) 이완요법 : 심호흡- 비강을 통해 숨을 쉬되, 흉곽이 팽창되고, 복부의 둘레가 증가하는 것이 보일 때까지 천천히 점진적으로 숨을 들이쉬게 함.- 대상자에게 최대 흡기 말에 3~5초간 정지했다가, 구강을 통해 느린 속도로 서서히 숨을 내쉬게 함.- 흡기의 정도를 알 수 있도록 양 손바닥을 대상자의 하부 늑골 양쪽에 대어 심호흡을 지지함.2) 전환요법- 통증이 느껴지면 음악 청취나 TV 시청을 이용하여 기분을 전환하도록 함.2-1. 베개와 이불을 이용하여 대상자를 지지해 줌.- 심호흡, 체위 변경을 할 때 대상자를 지지하며 도움- 베개를 사용하여 정상적인 신체 선열을 유지한 채 편안한 자세를 취하도록 도움.2-1. 편안함을 제공함.- 대상자 침상의 커튼을 쳐 줌.- 편안한 실내온도와 적당한 환기, 적당한 조명 제공함.- 소음을 최소화함.* 이론적 근거- 진통제를 투여하여 통증을 경감시켜준다.- 이완요법은 신체적 이완을 가져온다. 신체적인 이완은 골격근의 긴장을 감소하게 하여 통증의 지각을 변화시킨다. 주위 전환 방법은 통증이나 통증에 수반되는 부정적인 느낌에서 새로운 자극으로 주위를 전환하여 통증을 완화한다.비약물성 통증 완화방법을 통해 대상자가 직접 통증 조절에 참여할 수 있다. 비약물성 통증 완화방법을 통하여 약물의 효과를 더욱 증진시킬 수 있다.3) 교육적 간호중재와 이론적 근거*교육적 간호중재1. 보호자에게 아동을 지지해줄 것을 교육함.- 통증에 대한 느낌을 숨기지 않고 표현하도록 격려함.- 보호자에게 아동이 통증을 호소하면 격려와 지지해줌으로써 불안과 두려움을 감소시키도록 함.*이론적 근거- 통증에 대하여 표현하도록 하는 것이 아동의 통증을 파악하는 데 더욱 도움이 될 수 있다. 또한, 이를 파악하고 아동과 가까운 보호자가 아동을 지지해줌으로써 아동의 불안이 감소할 수 있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급성충수염 정의
    급성충수염은 충수의 급성 염증성 질환으로, 충수의 폐쇄와 이로 인한 충수 내압 상승, 충수벽의 허혈과 괴사, 천공 등의 병태생리적 과정을 거치는 질환입니다. 충수는 맹장의 말단에 위치하는 소화기관의 일부로, 그 해부학적 위치와 기능으로 인해 다양한 증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급성충수염은 응급 수술이 필요한 가장 흔한 외과적 질환 중 하나로, 조기 진단과 적절한 치료가 매우 중요합니다.
  • 2. 급성충수염 증상 및 징후
    급성충수염의 전형적인 증상은 복통, 오심, 구토, 식욕부진 등입니다. 복통은 초기에는 배꼽 주변에서 시작하여 점차 우하복부로 이동하는 양상을 보이며, 압통과 반발통이 나타납니다. 또한 발열, 백혈구 증가, 빠른 맥박 등의 전신 증상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전형적인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 경우도 있어, 임상 경험이 풍부한 의료진의 세심한 진찰과 평가가 필요합니다. 특히 소아, 노인, 임산부 등 취약 계층에서는 비전형적인 증상 양상을 보일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 3. 급성충수염 병태생리
    급성충수염의 병태생리는 크게 충수 폐쇄, 충수 내압 상승, 충수벽 허혈 및 괴사, 천공 등의 단계로 진행됩니다. 초기에는 충수 내강의 폐쇄로 인해 충수 내압이 상승하고, 이로 인해 충수벽의 허혈과 괴사가 발생합니다. 이 과정에서 세균 감염이 동반되며, 충수벽 천공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천공 시 복강 내 농양 형성, 복막염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병태생리적 과정을 이해하는 것은 급성충수염의 조기 진단과 적절한 치료 방법 선택에 중요한 근거가 됩니다.
  • 4. 급성충수염 진단
    급성충수염의 진단은 병력 청취, 신체 검진, 검사 결과 종합을 통해 이루어집니다. 전형적인 증상 및 징후가 있는 경우 임상적 진단이 가능하지만, 비전형적인 경우에는 영상 검사가 필요합니다. 초음파와 CT 검사가 주로 사용되며, 이를 통해 충수의 염증 소견, 천공 여부, 주변 장기 침범 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혈액 검사에서는 백혈구 증가, C-반응성 단백 상승 등의 소견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의료진의 종합적인 평가가 필수적이며, 필요 시 추가 검사를 고려해야 합니다.
  • 5. 급성충수염 내과적 치료
    급성충수염의 내과적 치료는 항생제 투여와 수액 공급 등의 보존적 치료를 의미합니다. 항생제 치료는 세균 감염을 억제하고 염증을 감소시키는 데 도움이 됩니다. 또한 수액 공급을 통해 탈수 예방 및 전해질 균형 유지를 도모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내과적 치료만으로는 충수 천공이나 농양 형성 등의 합병증 발생을 예방하기 어려우므로, 대부분의 경우 수술적 치료가 필요합니다. 내과적 치료는 수술 전 준비 단계나 수술이 불가능한 경우에 고려될 수 있습니다.
  • 6. 급성충수염 외과적 치료
    급성충수염의 표준 치료는 외과적 절제술입니다. 충수 절제술은 개복 수술 또는 복강경 수술로 시행될 수 있습니다. 개복 수술은 전통적인 방법이지만, 최근에는 복강경 수술이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복강경 수술은 절개 크기가 작아 수술 후 통증과 회복 기간이 단축되는 장점이 있습니다. 수술 시기는 환자의 상태와 충수염 진행 정도에 따라 결정되며, 천공이나 농양 형성이 있는 경우 응급 수술이 필요합니다. 수술 후에는 항생제 투여, 수액 공급, 통증 관리 등의 보존적 치료가 병행됩니다.
  • 7. 급성충수염 간호진단
    급성충수염 환자의 간호진단은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급성 통증 관련. 충수염으로 인한 복통, 압통, 반발통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둘째, 감염 위험성 관련. 충수 천공으로 인한 복강 내 농양 형성 및 복막염 발생 가능성이 있습니다. 셋째, 활동 및 운동 장애 관련. 수술 후 회복 과정에서 활동 제한이 필요합니다. 넷째, 지식 부족 관련. 질병 과정, 치료 방법, 관리 등에 대한 이해가 부족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간호진단을 바탕으로 환자 개인의 특성과 상황을 고려한 간호 계획을 수립해야 합니다.
  • 8. 급성충수염 간호사정
    급성충수염 환자의 간호사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병력 청취를 통해 증상 발현 시기, 양상, 악화 요인 등을 파악합니다. 둘째, 신체 검진을 통해 복부 압통, 반발통, 근육 경직 등을 확인합니다. 셋째, 활력 징후 측정으로 발열, 빠른 맥박 등의 전신 증상을 확인합니다. 넷째, 검사 결과 분석으로 백혈구 증가, C-반응성 단백 상승 등의 염증 소견을 확인합니다. 다섯째, 영상 검사 결과를 통해 충수의 염증 정도, 천공 여부 등을 확인합니다. 이러한 사정 결과를 바탕으로 환자의 문제를 파악하고 간호 계획을 수립해야 합니다.
  • 9. 급성충수염 간호목표
    급성충수염 환자의 간호목표는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통증 감소. 진통제 투여, 체위 변경 등을 통해 통증을 완화시킵니다. 둘째, 감염 예방. 항생제 투여, 무균 술기 준수, 상처 관리 등을 통해 감염 발생을 예방합니다. 셋째, 활동 증진. 수술 후 조기 활동 격려, 운동 요법 제공 등을 통해 회복을 촉진합니다. 넷째, 지식 향상. 질병 과정, 치료 방법, 관리 등에 대한 교육을 제공하여 환자의 이해도를 높입니다. 이러한 목표 달성을 위해 환자 개인의 특성과 상황을 고려한 간호 계획을 수립해야 합니다.
  • 10. 급성충수염 간호계획
    급성충수염 환자의 간호계획은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통증 관리. 진통제 투여, 온찜질, 체위 변경 등의 중재를 제공합니다. 둘째, 감염 예방. 항생제 투여, 무균 술기 준수, 상처 관리 등의 중재를 제공합니다. 셋째, 활동 증진. 수술 후 조기 활동 격려, 운동 요법 제공, 보행 보조 등의 중재를 제공합니다. 넷째, 교육 및 상담. 질병 과정, 치료 방법, 관리 등에 대한 교육을 제공하고 환자의 이해도를 확인합니다. 이러한 간호계획을 바탕으로 환자 개인의 특성과 상황을 고려한 간호 중재를 제공해야 합니다.
  • 11. 급성충수염 간호수행
    급성충수염 환자의 간호수행은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통증 관리. 진통제 투여, 온찜질, 체위 변경 등의 중재를 제공하여 통증을 완화시킵니다. 둘째, 감염 예방. 항생제 투여, 무균 술기 준수, 상처 관리 등의 중재를 제공하여 감염 발생을 예방합니다. 셋째, 활동 증진. 수술 후 조기 활동 격려, 운동 요법 제공, 보행 보조 등의 중재를 제공하여 회복을 촉진합니다. 넷째, 교육 및 상담. 질병 과정, 치료 방법, 관리 등에 대한 교육을 제공하고 환자의 이해도를 확인합니다. 이러한 간호수행을 통해 환자의 건강 회복과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할 수 있습니다.
주제 연관 토픽을 확인해 보세요!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