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EDOT:PSS 유기 및 은 무기 박막 전기전도도 측정
본 내용은
"
A+ 받은 PEDOT PSS 유기 및 은 무기 박막 두께 및 전기전도도 측정-신소재 예비 보고서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12.30
문서 내 토픽
-
1. 전기전도도 및 비저항전기전도도(electrical conductivity, σ)는 물질이 전하를 운반할 수 있는 정도를 나타내는 물리량이며, 비저항(resistivity, ρ)은 물질이 전류 흐름에 얼마나 세게 맞서는지 측정한 물리량입니다. 저항(R)은 전기의 흐름을 방해하는 정도를 나타내며, 면저항(sheet resistance, Rs)은 막의 단위 두께당 비저항을 표시합니다. 비저항과 전도도는 반비례 관계로, 비저항이 낮을수록 전기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Pouillet's law에 따르면 저항은 비저항이 클수록, 물체 길이가 길수록, 단면적이 작을수록 커집니다.
-
2. 박막 제작 기술유기박막(PEDOT:PSS)은 스핀코터(spin coater)를 이용하여 제작되며, 원심력에 의해 용액 상태의 물질을 균일하게 펴서 건조시킵니다. 회전속도(2000~5000 rpm)에 따라 박막 두께를 조절할 수 있습니다. 무기박막(silver)은 열증착기(thermal evaporator)를 이용하여 저진공 상태에서 시료를 증발시켜 박막을 증착합니다. 기판은 UV-ozone cleaner로 표면처리하여 친수성을 개선하고, hot plate에서 150°C로 10분간 가열하여 수분을 제거합니다.
-
3. Four-Point Probe 측정 방법Four-Point Probe method는 얇은 필름의 면저항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4개의 탐침이 1mm 간격으로 일렬로 정렬되어 있습니다. 바깥쪽 양단 핀에 전류를 공급하고 안쪽 두 개의 핀에서 전압을 측정하여 Ohm's law(V=IR)를 통해 저항값을 구합니다. 박막 두께가 탐침거리의 0.4배보다 작아야 하며, 두께가 얇을수록, 샘플 크기가 클수록 정확한 측정이 가능합니다. 필요시 보정계수를 적용하여 면저항 값을 계산합니다.
-
4. 실험 장비 및 기술Glove Box는 수분과 산소에 취약한 샘플을 질소 분위기에서 제작 및 분석할 수 있게 합니다. Thermal Evaporator는 저항 열을 이용하여 시료를 증발시키고 기판에 응축시킵니다. Spin Coater는 회전속도를 조절하여 균일한 박막을 형성합니다. UV-ozone cleaner는 자외선으로 오존을 생성하여 기판 표면의 유기 불순물을 제거합니다. Four-Point Probe system은 마이크로미터로 높낮이를 조절하여 정확한 전기전도도를 측정합니다.
-
1. 전기전도도 및 비저항전기전도도와 비저항은 물질의 전기적 성질을 이해하는 데 있어 가장 기본적이고 중요한 물리량입니다. 전기전도도는 물질이 전기를 얼마나 잘 전달하는지를 나타내며, 비저항은 그 역수로서 물질의 전기 저항 특성을 정량화합니다. 이 두 매개변수는 반도체, 금속, 절연체 등 다양한 물질의 특성 분석에 필수적이며, 온도, 도핑 농도, 결정 구조 등 여러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습니다. 박막 소자 개발에서 전기전도도 측정은 물질의 품질과 성능을 평가하는 핵심 지표이므로, 정확한 측정과 분석이 매우 중요합니다.
-
2. 박막 제작 기술박막 제작 기술은 현대 전자, 광학, 에너지 소자 개발의 핵심 기술입니다. 스퍼터링, 증발, 화학기상증착 등 다양한 방법이 있으며, 각 기술은 고유한 장단점을 가집니다. 박막의 두께, 결정성, 표면 특성 등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어 나노 스케일 소자 제작에 매우 유용합니다. 특히 반도체 산업에서 박막 기술의 발전은 칩 성능 향상과 집적도 증가를 가능하게 했습니다. 그러나 공정 비용, 장비 복잡도, 재현성 확보 등의 과제가 존재하며, 지속적인 기술 개선이 필요합니다.
-
3. Four-Point Probe 측정 방법Four-Point Probe 측정법은 박막의 비저항과 전기전도도를 측정하는 가장 신뢰할 수 있는 표준 방법입니다. 네 개의 프로브를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하여 외부 접촉 저항의 영향을 최소화하고 정확한 시트 저항값을 얻을 수 있습니다. 이 방법은 비파괴 측정이 가능하고, 다양한 기판과 박막 두께에 적용할 수 있어 산업 현장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됩니다. 다만 프로브 간격, 측정 온도, 습도 등 여러 환경 요인이 측정 결과에 영향을 미치므로, 정밀한 교정과 표준화된 측정 절차가 필수적입니다.
-
4. 실험 장비 및 기술박막 특성 분석을 위한 실험 장비는 정확성, 재현성, 신뢰성을 갖춰야 합니다. Four-Point Probe 시스템, 분광 타원계, 주사전자현미경, X선 회절 분석기 등 다양한 장비가 박막의 전기적, 광학적, 구조적 특성을 종합적으로 평가합니다. 각 장비는 고도의 기술과 정밀한 보정이 필요하며, 숙련된 운영자의 역할이 중요합니다. 최근 자동화 및 데이터 처리 기술의 발전으로 측정 효율이 크게 향상되었으나, 장비 유지보수 비용과 기술 인력 확보가 여전히 과제입니다.
-
PEDOT:PSS 유기 및 은 무기 박막의 전기전도도 측정1. 유기 박막 전기전도도 측정 PEDOT:PSS DMSO 5wt% 용액을 사용하여 스핀 코팅으로 유기 박막을 제조했다. 회전 속도(2000~5000 rpm)를 달리하여 서로 다른 두께의 박막 4개를 제작했다. 4-point probe measurement system을 이용해 면저항을 측정하고, 비저항과 전기전도도를 계산했다. 결과적으로 박막의 두께가 얇...2025.11.18 · 공학/기술
-
Four point probe법을 이용한 유/무기 전극의 전기전도도 측정 (예비)1. 전기 전도도 전기 전도도의 의미, 전기 전도도와 고유 저항의 관계를 이해한다. 고유 저항, 저항, 면저항의 차이를 이해한다. 2. 무기 금속과 유기 금속의 차이 무/유기 금속의 차이와 four-point probe법의 기본 원리를 이해한다. 무기금속의 경우 금속 내부의 자유 전자와 외부에서 입사한 광자가 상호작용하여 광택이 나는 반면, 유기 금속의 경...2025.05.12 · 공학/기술
-
Four-point probe법을 이용한 유/무기 전극의 전기전도도 측정 실험 (결과)1. Four-point probe 방법을 이용한 전기전도도 측정 Four-point probe 방법을 이용하여 무기 박막(Ag)과 유기 박막(PEDOT:PSS + DMSO 5wt%)의 전기전도도를 측정하였다. 무기 박막의 경우 고유 저항은 2.426*10-8Ω·m, 전기 전도도는 0.412*108S/m로 나타났다. 유기 박막의 경우 스핀 코팅 속도에 따라...2025.05.12 · 공학/기술
-
A+ 빋은 PEDOT PSS 유기 및 은 무기 박막 두께 및 전기전도도 측정 - 신소재결과보고서 4페이지
유/무기 박막 전기전도도 측정 1. 실험 결과 및 고찰 1) 실험 결과 *유기 박막 전기 전도도 구하기 2000 rpm 3000 rpm 4000 rpm 5000 rpm 면저항(Rs)[ohm/sq] 193.4 Ω/sqr 297.6 Ω/sqr 474.7 Ω/sqr 415.5 Ω/sqr 보정계수 0.923705 가로, 세로 길이 12mm Average Thickness[nm] 81 61 45 44 Resistivity(ρ)[Ωm] 15665.4 *10-9 18153.6*10-9 21361.5*10-9 18282*10-9 Conductiv...2023.12.29· 4페이지 -
1-1. AMOLED Full Device - Polymer report (A+) 15페이지
AMOLED 소자 및 공정 실험 보고서실험 제목 : Full Device - Polymer실험 목표 : spin coater를 이용한 고분자 기반 OLED제작 및 특성 평가실험 장비 : Thermal evaporation, Spin coater, CS-2000(측정장비)실험 이론Cleaning ? 아세톤과 IPA를 각각 10분씩 한다.Device Recipe ? ITO/PEDOT/PFO/LIF/ALPEDOT : PSS PFOPEDOT:PSS는 poly styrene sulfonate를 전하균형을 맞춰주는 template으로 사용해서...2023.07.30· 15페이지 -
A+ 받은 유기,무기 태양광전지 광전변환효율과 양자효율 측정 및 분석-신소재 예비보고서 4페이지
유/무기 태양광전지 광전변환효율과 양자효율 측정 및 분석 1. 실험 목적 본 실험의 목적은 태양광 전지(photovoltaic cells)의 작동원리와 구조를 이해하여 태양광전지의 성능을 나타내는 광전변환효율(power conversion efficiency), 양자 효율(quantum efficiency) 및 외부 양자 효율 (external quantum efficiency)과 내부 양자 효율(internal quantum efficiency)의 의미를 이해하고 그 값을 측정함을 목표로 한다. 또한 인공 태양 광원 및 양자 효율...2023.12.29· 4페이지 -
[고분자재료실험]OLED소자제작-에비레포트 29페이지
예비보고서※ 실습과제 #07 : OLED소자 제작1. 실험목표고분자 발광물질을 이용하여 OLED의 제작 방법을 알아보고 OLED의 봉지공정을 통해 제작된 소자를 수분과 산소로부터 보호한다.2. 원 리일반적으로 고분자는 반복단위인 단분자가 공유결합에 의해서 수십에서 수백 개가 서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단분자에 비해서 박막 형성이 용이하며 내충격성이 큰 장점이 있기 때문에 유기전기 발광 소자와 같이 초박막을 이용하는 전자 및 광학 소자에 가장 적합한 재료중의 하나이다.고분자의 특징은 가볍고 강인하며 착색이 쉽고 가공성이 뛰어나 대량생...2022.01.21· 29페이지 -
PLED소자제작 A+ 레포트 건국대학교 고분자재료과학 28페이지
PLED 소자 제작과목명고분자재료실험담당교수담당조교학과학번이름공동실험자제출일자1. 실험제목 : PLED 소자 제작2. 실험조 & 실험자 :3. 실험목적 : 고분자 발광물질을 이용하여 PLED의 제작 방법을 알아보고 PLED의 봉지공정을 통해 제작된 소자를 수분과 산소로부터 보호한다.4. 실험이론일반적으로 고분자는 반복단위인 단분자가 공유결합에 의해서 수십에서 수백 개가 서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단분자에 비해서 박막 형성이 용이하며 내충격성이 큰 장점이 있기 때문에 유기전기 발광 소자와 같이 초박막을 이용하는 전자 및 광학 소자에 ...2023.06.03· 28페이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