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Four-point probe법을 이용한 유/무기 전극의 전기전도도 측정 실험 (결과)
본 내용은
"
Four-point probe법을 이용한 유/무기 전극의 전기전도도 측정 실험 (결과)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8.08
문서 내 토픽
-
1. Four-point probe 방법을 이용한 전기전도도 측정Four-point probe 방법을 이용하여 무기 박막(Ag)과 유기 박막(PEDOT:PSS + DMSO 5wt%)의 전기전도도를 측정하였다. 무기 박막의 경우 고유 저항은 2.426*10-8Ω·m, 전기 전도도는 0.412*108S/m로 나타났다. 유기 박막의 경우 스핀 코팅 속도에 따라 두께가 달라지며, 이에 따라 면 저항, 고유 저항, 전기 전도도 값이 변화하였다. DMSO 첨가로 인해 유기 박막의 전기 전도도가 크게 향상되었다.
-
2. 스핀 코팅을 통한 유기 박막 제작스핀 코팅은 기판 위에 균일한 박막을 제작하는 공정으로, 기판을 진공으로 고정하고 용액을 떨어뜨린 후 고속으로 회전시켜 용매를 증발시켜 박막을 형성한다. 유기 박막의 경우 스핀 코팅 속도가 증가할수록 박막 두께가 감소하지만, 두께 감소 비율이 선형적이지 않다. 이에 따라 면 저항, 고유 저항, 전기 전도도 값도 선형적으로 변하지 않는다.
-
3. 유기 박막과 무기 박막의 광학적 특성 차이유기 박막의 경우 가시광 영역에서 높은 광학적 투과도를 가져 투명하게 보이는 반면, 무기 박막의 경우 금속 내부의 자유 전자와 입사 광자의 상호작용으로 인해 백색의 반짝임을 나타낸다. 이는 두 박막의 광학적 특성 차이에 기인한다.
-
4. Four-point probe 방법 적용 조건Four-point probe 방법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박막의 두께가 probe 간격의 40% 이하여야 한다. 실험에서 사용된 무기 박막과 유기 박막 모두 이 조건을 만족하였다. 또한 직사각형 모양의 박막인 경우 correction factor를 적용하여 면 저항을 계산하였다.
-
5. 무기 박막과 유기 박막의 전기전도도 측정 실험 조건 차이무기 박막과 유기 박막의 전기전도도 측정 시 target current 값에 차이가 있었다. 무기 박막의 경우 면 저항이 작아 0.1A의 큰 전류를 인가하였고, 유기 박막의 경우 면 저항이 크므로 1*10-4A의 작은 전류를 인가하였다. 이는 옴의 법칙(V=IR)에 따른 것이다.
-
1. Four-point probe 방법을 이용한 전기전도도 측정Four-point probe 방법은 반도체 및 박막 재료의 전기전도도를 측정하는 대표적인 기술입니다. 이 방법은 시료에 전류를 흘려주고 전압 강하를 측정하여 전기전도도를 계산하는 원리입니다. 이 방법의 장점은 시료 표면의 접촉 저항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어 정확한 측정이 가능하다는 것입니다. 또한 비파괴적 측정이 가능하고 실험 설정이 간단하여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다만 시료의 두께, 표면 상태, 측정 위치 등에 따라 편차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를 고려한 실험 설계가 필요합니다.
-
2. 스핀 코팅을 통한 유기 박막 제작스핀 코팅은 유기 반도체 재료를 이용하여 균일한 박막을 제작하는 대표적인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시료 표면에 용액을 떨어뜨리고 고속으로 회전시켜 원심력에 의해 용액이 퍼져나가면서 박막이 형성되는 원리입니다. 스핀 코팅의 장점은 간단한 실험 설정, 균일한 박막 두께 제어, 대면적 적용 가능성 등입니다. 하지만 용액의 점도, 회전 속도, 가속도 등 다양한 공정 변수에 따라 박막 특성이 크게 달라질 수 있어 최적화된 공정 조건 설정이 중요합니다. 또한 유기 재료의 특성상 대기 중 안정성이 낮아 박막 제작 및 측정 환경 제어가 필요합니다.
-
3. 유기 박막과 무기 박막의 광학적 특성 차이유기 박막과 무기 박막은 광학적 특성에서 많은 차이를 보입니다. 유기 박막은 공액 구조를 가진 탄소 화합물로 구성되어 있어 좁은 밴드갭과 강한 광흡수 특성을 나타냅니다. 반면 무기 박막은 규소, 게르마늄, 화합물 반도체 등 무기 물질로 이루어져 있어 상대적으로 넓은 밴드갭과 약한 광흡수 특성을 보입니다. 또한 유기 박막은 분자 간 약한 van der Waals 결합으로 인해 무기 박막에 비해 낮은 광학적 투과도와 높은 굴절률을 가집니다. 이러한 차이로 인해 유기 박막은 태양전지, 유기 발광 다이오드, 광센서 등 광전자 소자 분야에 주로 활용되며, 무기 박막은 광학 필터, 반도체 소자 등에 주로 사용됩니다.
-
4. Four-point probe 방법 적용 조건Four-point probe 방법을 이용한 전기전도도 측정에는 다음과 같은 주요 적용 조건이 있습니다. 첫째, 시료의 두께가 균일해야 합니다. 두께 변화가 크면 전류 흐름이 왜곡되어 정확한 측정이 어렵습니다. 둘째, 시료 표면이 평탄해야 합니다. 표면 거칠기가 크면 프로브와의 접촉 상태가 불균일해져 오차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셋째, 시료의 크기가 프로브 간격에 비해 충분히 커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시료 가장자리 효과로 인해 정확한 측정이 어려워집니다. 넷째, 프로브와 시료 간 접촉 저항이 낮아야 합니다. 접촉 저항이 크면 전압 강하 측정에 오차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조건들을 만족시키기 위해 시료 준비와 측정 환경 제어가 중요합니다.
-
5. 무기 박막과 유기 박막의 전기전도도 측정 실험 조건 차이무기 박막과 유기 박막은 전기전도도 측정 실험 조건에서 다음과 같은 차이가 있습니다. 첫째, 무기 박막은 일반적으로 높은 전기전도도를 가지므로 전류 인가 조건이 유기 박막에 비해 높습니다. 둘째, 유기 박막은 대기 중 안정성이 낮아 진공 또는 불활성 분위기에서 측정이 필요합니다. 반면 무기 박막은 대기 중에서도 안정적으로 측정할 수 있습니다. 셋째, 유기 박막은 표면 거칠기가 크고 균일성이 낮아 프로브와의 접촉 상태 제어가 중요합니다. 넷째, 유기 박막은 열에 약해 측정 시 발열에 주의해야 합니다. 이에 비해 무기 박막은 열적 안정성이 높습니다. 이러한 차이로 인해 유기 박막 측정에는 더 엄격한 실험 조건 제어가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