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급 카트 약물의 종류 및 부작용
본 내용은
"
E-cart 약물의 종류 및 부작용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12.22
문서 내 토픽
-
1. 국소마취제 및 부정맥 치료제2% Lidocaine은 국소마취제이자 심실성 부정맥 치료제로 사용된다. 표면마취는 적당량을 도포하거나 분무하고, 부정맥 치료는 정맥 내 1회 50-100mg을 1-2분간 천천히 투여하거나 점적정맥 내 투여 시 1분간 1-2mg 속도로 투여한다. 빠른 투여속도나 과량 투여 시 진전, 경련, 어지러움, 구역·구토, 혈압저하, shock, 서맥 등의 부작용이 나타나며 드물게 심정지를 초래한다. 경막외마취나 고도의 SA 또는 AV block 환자에게는 금기이며, EKG monitoring이 필요하다.
-
2. 혈관확장제 및 협심증 치료Nitroglycerin 0.6mg은 협심증 치료에 사용되며 급성 발작 시 1정을 설하 또는 구강 내에서 녹여 복용한다. 필요시 5분마다 반복투여 가능하나 3정 복용 후에도 통증이 있으면 의사에게 알린다. 저혈압이 주요 부작용이며, 두부 외상, 뇌출혈, 중증 빈혈, 저혈압 환자에게는 금기이다. 씹거나 삼키면 약효가 1/10로 감소하고, 약병 개봉 후 6개월 이내에 사용해야 한다.
-
3. 응급 심정지 치료제Epinephrine 1mg/1ml은 심정지, 기관지 천식, 과민반응 치료에 사용되며 모든 심정지 환자에게 우선적으로 사용된다. 1mg을 3-5분마다 반복 투여하며, 투여 2분 후 최고치에 도달하고 반감기가 3-5분이다. 부정맥, 심근허혈, 조직괴사 등의 부작용이 있으며, 동맥경화증, 기질성 심질환, 갑상선 기능 항진증 환자에게는 금기이다. 기관 내 투여 가능하며 1:10,000으로 희석하여 사용한다.
-
4. 이뇨제 및 혈압 조절제Lasix 20mg/2ml은 이뇨제로 고혈압, 심부전, 신부전, 간성부종, 폐부종 치료에 사용된다. 1일 1회 20-40mg을 상태에 따라 반복 투여하며, 혈액양이 현저히 저하되어 혈압 저하가 주요 부작용이다. 중증 저나트륨, 저칼륨혈증, 탈수증 환자에게는 금기이며, 투여 2시간 후 I/O check가 필요하다.
-
5. 스테로이드 제제Cortisolu 100mg은 내분비계 기능 이상, 알레르기성 질환, 호흡기계 질환 등에 사용되는 스테로이드 제제이다. 정주, 정맥 내 점적 주입, 근주 가능하며 성인 100-500mg을 30초 이상에 걸쳐 정주한다. 나트륨 저류, 체액 저류, 근무력증, 위궤양, 피부쇠약, 점상출혈 등의 부작용이 있으며, 전신성 진균감염, 신생아, 미숙아에게는 금기이다.
-
6. 항부정맥제Cordarone(Amiodarone) 150mg은 2-3회 제세동 후에도 VF, Pulseless VT가 지속되는 경우에 사용된다. 초기에 300mg IV 투여 후 150mg을 10분 이상 주사하고, 이후 5% DW에 희석해 1mg/min 속도로 6시간 투여한 후 0.5mg/min으로 유지한다. 각막이상, 광선과민증, 갑상선기능장애, 구토, 저혈압 등의 부작용이 있으며, 5% DW 외 타약제와 혼합 불가이다.
-
7. 강심제Dobutamine 500mg/250ml은 강심제로 심장질환이나 심장수술로 인해 수축력이 저하된 심부전증의 단기치료 시 심박출력 증가에 사용된다. 2.5-10mcg/kg/min으로 정주하며, 빈맥, 부정맥, 혈압 심한 변화로 심근허혈 유발, 오심, 두통, Tremor 등의 부작용이 있다. Bolus 투여 금지이며 Vesicant drug이므로 용량 계산에 주의해야 한다.
-
8. 전해질 보정제Sodium Bicarbonate 20mEq/20ml은 대사성산증, 과칼륨증, TCA와 phenobarbital 중독 치료에 사용된다. 초기 1mEq/kg을 IV 후 환자 상태에 따라 매 10분마다 0.5mEq/kg을 추가로 투여한다. 지각 이상, 발열, 빈혈, 서맥, 대사성 알칼리증, Na 정체 등의 부작용이 있으며, 신장병, 방광결석, 위장출혈, 고혈압 환자에게는 금기이다.
-
1. 국소마취제 및 부정맥 치료제국소마취제와 부정맥 치료제는 심혈관 응급 상황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리도카인과 같은 국소마취제는 국소 마취뿐만 아니라 항부정맥 효과도 제공하여 응급실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됩니다. 이러한 약물들은 신경 전도를 억제하여 심실 부정맥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과다 복용 시 신경독성과 심독성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정확한 용량 관리가 필수적입니다. 임상 실무에서 이들 약물의 적절한 사용은 환자의 생명을 구하는 데 매우 중요하며, 의료진의 충분한 교육과 경험이 필요합니다.
-
2. 혈관확장제 및 협심증 치료혈관확장제는 협심증 치료의 핵심 약물로서 관상동맥의 혈류를 개선하고 심근의 산소 공급을 증가시킵니다. 질산염, 칼슘 채널 차단제, 베타 차단제 등 다양한 계열의 약물이 사용되며, 각각 다른 작용 기전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약물들은 급성 협심증 발작 시 빠른 증상 완화를 제공하고, 장기 복용 시 발작 빈도를 감소시킵니다. 개별 환자의 상태와 동반 질환을 고려한 맞춤형 치료가 중요하며, 약물 내성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전략도 필요합니다.
-
3. 응급 심정지 치료제응급 심정지 치료제는 생명을 구하는 가장 중요한 약물입니다. 에피네프린은 심정지 상황에서 심근 수축력을 증가시키고 관상동맥 관류압을 높여 뇌와 심장으로의 혈류를 개선합니다. 아미오다론은 난치성 심실세동에 효과적이며, 심정지 후 생존율을 향상시킵니다. 이러한 약물들은 고품질의 심폐소생술과 함께 사용될 때 최대의 효과를 발휘합니다. 신속한 약물 투여와 정확한 용량 관리는 환자의 예후를 크게 좌우하므로 의료진의 신속한 대응이 필수적입니다.
-
4. 이뇨제 및 혈압 조절제이뇨제와 혈압 조절제는 고혈압과 심부전 관리의 기초 약물입니다. 루프 이뇨제는 급성 폐부종 상황에서 빠른 증상 완화를 제공하며, ACE 억제제와 안지오텐신 수용체 차단제는 장기적인 심혈관 보호 효과를 제공합니다. 이러한 약물들의 적절한 조합 사용은 혈압 조절과 심장 기능 개선에 효과적입니다. 그러나 전해질 불균형, 신기능 악화 등의 부작용을 모니터링해야 하며, 환자의 개별 특성에 맞춘 용량 조절이 중요합니다.
-
5. 스테로이드 제제스테로이드 제제는 심혈관 응급 상황에서 제한적이지만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특히 심근염이나 심낭염 같은 염증성 질환에서 항염증 효과를 제공합니다. 그러나 장기 사용 시 감염 위험 증가, 혈당 상승, 골다공증 등의 심각한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응급 상황에서의 단기 사용은 생명 구조에 도움이 될 수 있지만, 신중한 적응증 판단과 최소 필요 용량 사용이 원칙입니다. 스테로이드의 장기 사용은 반드시 의학적 정당성이 있어야 합니다.
-
6. 항부정맥제항부정맥제는 다양한 심장 부정맥의 치료에 필수적인 약물입니다. 클래스 I 항부정맥제는 나트륨 채널을 차단하고, 클래스 II는 베타 차단 작용을, 클래스 III는 칼륨 채널 차단을, 클래스 IV는 칼슘 채널 차단을 합니다. 각 약물은 특정 부정맥에 대해 선택적으로 사용되어야 하며, 부정맥의 종류와 환자의 기저 질환을 고려한 치료가 중요합니다. 항부정맥제는 역설적으로 부정맥을 악화시킬 수 있으므로 신중한 모니터링이 필요합니다.
-
7. 강심제강심제는 심부전 환자의 심근 수축력을 증가시키는 중요한 약물입니다. 도부타민과 도팍사민은 급성 심부전 상황에서 심박출량을 증가시키고 조직 관류를 개선합니다. 밀리논과 에노목시몬 같은 포스포디에스테라제 억제제는 양성 변력 작용과 혈관확장 효과를 동시에 제공합니다. 그러나 이러한 약물들은 심박수 증가와 산소 소비량 증가로 인한 부작용이 있을 수 있습니다. 단기 사용으로 제한하고, 근본적인 원인 치료와 함께 사용되어야 합니다.
-
8. 전해질 보정제전해질 보정제는 심혈관 응급 상황에서 생명을 구하는 중요한 약물입니다. 칼슘은 심정지 상황에서 심근 수축력을 증가시키고, 칼륨은 심실 부정맥을 예방합니다. 마그네슘은 특히 비틀린 심실빈맥 치료에 효과적입니다. 전해질 불균형은 심각한 부정맥과 심정지를 유발할 수 있으므로 신속한 교정이 필수적입니다. 그러나 과다 보정은 다른 전해질 불균형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혈액 검사를 통한 정확한 모니터링과 신중한 용량 조절이 필요합니다.
-
응급 카트(Emergency cart)에 포함되어 있는 물품 및 약물1. 응급 카트 응급 카트는 응급 시의 검사, 치료에 사용하는 기구나 약품을 담아두는 카트로 응급 시 사용되기 때문에 매일 약품의 보충, 기구의 상태를 체크하여, 만일의 경우에 대비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 약품의 유효기간, 기관절개·컷다운 세트 등의 멸균 유효 기한도 조사하고 필요하다면 새롭게 보충한다. 2. 응급 약물 응급 카트에는 진경제, 항경련제, 교...2025.05.12 · 의학/약학
-
응급실 및 수술실 실습용 응급약물 및 마취약물 가이드1. 응급카트 약물(E-cart) - 순환기계 약물 응급카트에 비치되는 주요 약물로 에피네프린, 노르에피네프린, 도파민, 도부타민 등 아드레날린 효능약과 베라파밀, 아데노신, 아미오다론 등 부정맥 치료제가 포함됨. 에피네프린은 심정지 시 0.25mL 범위 내에서 생리식염주사액에 희석하여 천천히 주사하며, 도파민은 체중 kg당 2~5mcg을 1분에 주입함. ...2025.11.15 · 의학/약학
-
응급약물 총정리. ER에서 사용하는 응급약물 정리한 자료1. E-BOX E-BOX는 응급상황에 사용되는 카트로, 모든 병원에 비치되어 있으며 응급 약물들이 들어있고 일회용 자물쇠/빨간색 테이프로 잠군상태를 유지한다. 2. 응급약물의 종류 응급약물에는 Epinephrine, Atropine, Sodium bicarbonate, Magnesium, Lidocaine, Verapamil, Adenosine, Dopa...2025.05.12 · 의학/약학
-
사전학습보고서(응급실, A+)1. 응급실 간호사의 역할 및 응급간호의 원칙 응급실 간호사는 사정, 분석, 진단, 계획, 중재수행, 결과 확인 등의 역할을 하며, 모든 연령군에서 각 개인의 반응들을 평가합니다. 응급간호의 원칙은 기도 개방, 적절한 환기 제공, 출혈 조절, 쇼크 예방 및 치료, 신속한 초기 신체검진 등입니다. 2. 응급실 중증도 분류 체계 응급실에 도착한 대상자의 부상,...2025.01.29 · 의학/약학
-
신규간호사 오리엔테이션 계획1. 신규간호사 오리엔테이션 신규간호사 교육은 2주 동안 진행되며, 모든 신규간호사들은 오리엔테이션에 참석해야 합니다. 오리엔테이션 내용에는 병원 소개, 간호부 소개, 병동 관리, 물품 및 약품 관리, 전산 업무, 감염 관리, 간호업무, 특수검사 업무, Duty별 업무 등이 포함됩니다. 2. 병원 소개 병원 직원 소개, 병원의 철학과 목적, 병원 구조 및 ...2025.04.29 · 의학/약학
-
여성건강간호학 실습 사전학습과제1. 호흡기계의 구조와 기능 호흡기계의 구조와 기능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고 있습니다. 상부기도인 코와 인두, 후두의 구조와 기능을 자세히 다루고 있으며, 하부기도인 기관, 기관지, 폐의 구조와 기능도 자세히 설명하고 있습니다. 또한 호흡생리, 호흡조절, 호흡기계 방어기전 등 호흡기계의 전반적인 기능에 대해 자세히 다루고 있습니다. 2. 심혈관계 구조와 기능...2025.05.16 · 의학/약학
-
성인간호학 응급약물 총정리. ER에서 사용하는 응급약물 정리한 자료입니다. 10페이지
응급약물목차Ⅰ. E-BOXⅡ. 응급약물의 종류Ⅲ. 심정지 환자에게 사용하는 약물Ⅳ. ROSC 후 사용하는 약물Ⅴ. 그 외 응급실에서 사용하는 약물Ⅵ. 출처 및 참고문헌Ⅰ. E-BOXemergency cart라고 불리며 응급상황에 사용되는 카트이다. 모든 병원에 비치되어 있으며 응급 약물들이 들어있고 일회용 자물쇠/빨간색 테이프로 잠군상태를 유지한다.Ⅱ. 응급약물의 종류- Epinephrine- Atropine- Sodium bicarbonate- Magnesium항부정맥제- Lidocaine- Verapamil- Adenosine교...2023.08.05· 10페이지 -
수술실 마취과 약물(진정제 및 마약 포함) 종류 및 특성, 주의사항 레포트 A+ 11페이지
수술실 마취과 약물목차1. 수술실 마취 카트가. 수술실 마취 카트 약물 종류나. 약물별 적응증, 용법/용량, 주의사항2. 수술실 응급 카트가. 수술실 응급카트 약물 종류나. 약물별 적응증, 용법/용량, 주의사항3. 마약장가. 마약장 약물 종류나. 약물별 적응증, 용법/용량, 주의사항4. 수술실 약물 냉장고가. 약물냉장고 약물 종류나. 약물별 적응증, 용법/용량, 주의사항1. 수술실 마취 카트가. 수술실 마취 카트 약물 종류acupan20mg/2mlsalon500mg/1VMetoclopramide(멕쿨)10mg/2mlChlorphen...2023.04.26· 11페이지 -
물품관리(의료장비, 비품, 소모품), 소독물품 조사, 린넨류, 응급카트(응급의료물품, 응급카트 관리대장), 투약지침, 투약업무평가도구 11페이지
의료장비와 비품, 일반비품물품명수량보관위치기능 및 상태비고의료비품침대50병실양호-체중계1개스테이션 앞-pressing cart4개복도-Wall Suction50개병실-O2 flowmeter50개병실-Warmer10개복도-Nebulizer system10개처치실-스트럭쳐 카5개복도-산소 텐트5개물품실-링겔대55개복도-효율적인 물품관리 방안? 매 duty마다 물품 인수인계를 하여 물품의 수량 및 기능을 확인한다.? 이동성인 물품은 반드시 모든 사람이 볼 수 있는 곳에 물품의 위치를 기재하고, 다음 duty에 인계받을 때는 물품이 그 위...2020.12.29· 11페이지 -
A+ 간호단위관리 분석 레포트 7페이지
■ 간호단위관리 : 울산대학교병원 61병동▶ 환경관리심미적 환경① 벽, 바닥 모두 채도는 낮고 명도는 높은 상아색② 천장은 약간의 회색이 가미된 상아색조명① 전체 등 + 침상별로 천장 등과 머리맡 국소 조명 설치되어 있음② 창가에는 블라인드가 설치되어 있음? 전체 등을 끄더라도 환자 침상별로 천장 조명을 조절할 수 있고, 국소 조명의 경우 밝기 조절이 가능함청결과 환기① 간호사는 약물 등을 준비 후 바로바로 정리하였고, 교대 전 담당 카트 의료폐기물 정리 및 소독 관찰할 수 있었음② 세탁된 린넨은 매일 아침 병동으로 전달됨③ 근무 ...2023.06.24· 7페이지 -
완벽정리!) E-cart 약물, 기구 정리 4페이지
1. E-cart1) 정의E-cart: Emergency cart를 말하며, 응급시의 검사, 치료에 사용하는 기구나 약품을 담아두는 카트이다.환자가 입원하는 각 부서에는 응급상황을 대비하여 E-cart가 비치되어 있으며, E-cart로 모든 응급대처가 가능하다. 응급시 사용되기 때문에 매일 약품의 보충하고, 기구의 상태를 체크하여 만일의 경우에 대비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약품의 유효기간, 기관절개ㆍ컷다운 세트 등의 멸균유효기한도 조사하고 필요하다면 새롭게 보충한다.2) 구성E-cart의 형태는 약간씩 다를 수 있지만, 대개 가...2024.07.26· 4페이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