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응급약물 총정리. ER에서 사용하는 응급약물 정리한 자료
본 내용은
"
성인간호학 응급약물 총정리. ER에서 사용하는 응급약물 정리한 자료입니다.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8.08
문서 내 토픽
-
1. E-BOXE-BOX는 응급상황에 사용되는 카트로, 모든 병원에 비치되어 있으며 응급 약물들이 들어있고 일회용 자물쇠/빨간색 테이프로 잠군상태를 유지한다.
-
2. 응급약물의 종류응급약물에는 Epinephrine, Atropine, Sodium bicarbonate, Magnesium, Lidocaine, Verapamil, Adenosine, Dopamine, Dobutamine, Norepinephrine, Isoproterenol, Digoxin, Sodium Nitroprusside, Nitroglycerin, Propranolol, Ladetarol, Furosemide 등이 있다.
-
3. 심정지 환자에게 사용하는 약물심정지 환자에게는 Epinephrine, Vasopression, Amiodarone, Lidocaine 등을 사용한다. Epinephrine은 α와 β교감신경 수용체를 모두 흥분시켜 심박동수 증가 및 심근 수축력을 강화하고, Vasopression은 강력한 혈관 수축작용을 한다. Amiodarone은 Na, K, Ca 통로에 영향을 주어 부정맥을 치료하며, Lidocaine은 국소마취제로 작용한다.
-
4. ROSC 후 사용하는 약물ROSC 후에는 Norepinephrine, Dopamin, Dobutamin 등을 사용한다. Norepinephrine은 급성 저혈압/쇼크, 심정지의 보조 치료제로 사용되고, Dopamin과 Dobutamin은 심박출량 감소로 인한 저혈압 및 기타 순환장애 치료에 사용된다.
-
5. 그 외 응급실에서 사용하는 약물응급실에서는 승압제, 항부정맥제, 혈관이완제, 이뇨제 등 다양한 심혈관계 약물을 사용한다. 승압제에는 Epinephrine, Dopamine, Dobutamine, Norepinephrine 등이 있고, 항부정맥제에는 Amiodarone, Lidocaine, Procainamide, Quinidine 등이 있다. 혈관이완제에는 Nitrates, Nitroprusside, Calcium channel blockers 등이 있으며, 이뇨제에는 Thiazide, Loop, Potassium-sparing, Osmotic, Carbonic anhydrase inhibitor 등이 있다.
-
1. E-BOXE-BOX는 응급실에서 사용되는 중요한 장비입니다. E-BOX에는 응급 상황에 필요한 다양한 약물과 의료 장비가 포함되어 있어, 신속하고 효과적인 응급 처치를 가능하게 합니다. 의료진은 E-BOX를 통해 환자의 상태를 신속히 파악하고, 적절한 처치를 할 수 있습니다. E-BOX는 응급실에서 필수적인 장비로, 의료진의 신속한 대응과 환자의 생명 보호에 큰 역할을 합니다.
-
2. 응급약물의 종류응급실에서 사용되는 약물은 매우 다양하며, 환자의 상태에 따라 신속하게 투여되어야 합니다. 대표적인 응급약물로는 심혈관계 약물, 호흡기계 약물, 신경계 약물, 소화기계 약물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약물들은 환자의 생명을 구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의료진은 각 약물의 작용 기전, 부작용, 투여 방법 등을 숙지하고 있어야 하며, 상황에 맞는 적절한 약물 투여가 이루어져야 합니다. 응급약물의 종류와 사용법에 대한 지속적인 교육과 훈련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
3. 심정지 환자에게 사용하는 약물심정지 환자에게 사용되는 주요 약물로는 에피네프린, 아트로핀, 아미오다론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약물들은 심장 기능을 회복시키고, 혈압을 유지하며, 부정맥을 치료하는 데 사용됩니다. 특히 에피네프린은 심정지 환자의 생존율 향상에 가장 중요한 약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의료진은 심정지 상황에서 신속하고 정확한 약물 투여가 필요하며, 이를 위해 지속적인 교육과 훈련이 필요합니다. 또한 심정지 환자에게 사용되는 약물의 부작용과 부작용 관리에 대한 지식도 중요합니다.
-
4. ROSC 후 사용하는 약물ROSC(Return of Spontaneous Circulation) 후에는 환자의 상태에 따라 다양한 약물이 사용됩니다. 대표적인 약물로는 혈압 유지를 위한 혈관수축제, 부정맥 치료를 위한 항부정맥제, 신경보호를 위한 진정제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약물들은 ROSC 후 환자의 생명을 유지하고, 장기 손상을 예방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의료진은 ROSC 환자의 상태를 면밀히 모니터링하며, 상황에 맞는 적절한 약물 투여가 이루어져야 합니다. 또한 ROSC 후 약물 사용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와 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
5. 그 외 응급실에서 사용하는 약물응급실에서는 다양한 상황에 따라 다양한 약물이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통증 관리를 위한 진통제, 알레르기 반응 치료를 위한 항히스타민제, 감염 치료를 위한 항생제 등이 사용됩니다. 이러한 약물들은 환자의 증상을 완화시키고, 합병증을 예방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의료진은 각 약물의 작용 기전, 부작용, 투여 방법 등을 숙지하고 있어야 하며, 상황에 맞는 적절한 약물 투여가 이루어져야 합니다. 또한 응급실에서 사용되는 약물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와 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
성인간호학 케이스 Anemia 28페이지
성인간호학 Ⅳ 실습Case study- Anemia -과목성인간호학 Ⅳ 실습실습기관실습부서응급실실습날짜2022.05.16.~2022.05.27.지도교수학년/반/학번4학년/C반/201965086이름제출일2022. 05. 25< 목차 >Ⅰ. 문헌고찰ⅰ. 정의ⅱ. 원인ⅲ. 종류ⅳ. 위험요인ⅵ. 임상증상ⅵ. 진단검사ⅶ. 치료와 간호ⅷ. 합병증Ⅱ. 사례연구ⅰ. 일반적 사항ⅱ. 과거력ⅲ. 활동과 휴식ⅳ. 산소욕구ⅴ. 영양과 배설욕구ⅵ. 안전과 안정욕구ⅶ. 대상자 흐름도(경과기록) 작성ⅷ. 약물(대상자 흐름도에서 사용된 약물 정리)Ⅲ. 응급환자...2023.03.18· 28페이지 -
간경변,다발성 골절 간호과정 A+ 자료!! 39페이지
사례연구- Multiple fracture -- Liver cirrhosis -목 차Ⅰ. 서론1. 연구의 의의 및 필요성12. 문헌고찰21) 다발성 골절 ···················································································································22) 간경화 ···························································································...2025.06.25· 39페이지 -
입원환자flow,퇴원환자flow, 입원환자관리지침, 퇴원교육 10페이지
■입원환자 flow(외래와 응급실 통해 입원을 나누어 작성)아니오아니오아니오예검사 부서와확인 전화처방 지시결과 분석입원여부결정입원수속입원귀가검사처방지시/검사 및결과분석2개 이상의 진료과의사 진료진료과결정진료과 담당의 호출ER 도착간호사 면담의사 면담입원수속입원귀가병실이 있나요?아니요담당의 입원결정입원수속 및 입원예약진료예약접수담당의사와 진료■입원환자 관리지침1. 차트 작성(병실 앞과 침대에 환자의 이름을 오려 넣음)2. 침상준비(주위 정리 및 소독, 환의)3. 환자 도착 시 병실 안내 및 환의 착용4. 환자의 몸무게와 신장을 측정....2020.12.29· 10페이지 -
성인간호학 경동맥 협착증 간호진단 케이스 23페이지
성인간호학실습 1 CASE STUDY- 을지대학교 병원 응급실 -목 차Ⅰ. 일반정보Ⅱ. 병력Ⅲ. 신체검진Ⅳ. 질병기술Ⅴ. 임상소견 및 진단검사Ⅵ. 약물Ⅶ. 특수치료 및 처치Ⅷ. 간호과정Ⅸ. 소감문 및 참고문헌Ⅰ.일반정보실습병동응급실(ER)실습기간2019년 2월 11일 ~ 2월 22일대상자 이름윤00성별/나이70/M내원일자2019년 2월 14일입원경로응급실진단명occlusion and stenosis of carotid artery정보 제공자본인기호습관1) 음주 : ■ 유 □ 무 ( 1병/3-4회/주)2) 흡연 : □ 유 □ 무 (모...2020.10.21· 23페이지 -
A+ 성인간호학 만성폐쇄성폐질환COPD 사례연구보고서(긴호진단2개, 과정2개) 19페이지
사례연구보고서만성폐쇄성폐질환COPD_ Chronic Obstructive Lung Disease< 목차 >Ⅰ. 문헌고찰Ⅱ. 상황 시나리오 및 사례연구Ⅲ. 참고문헌Ⅰ. 문헌고찰1. 논문정리? 서 론만성 폐쇄성 폐질환(호흡 기도 내 공기유통의 폐쇄가 만성적으로 재발되는 특징적인 호흡기계 질환군) 환자에서의 급성 호흡기 감염은 호흡부전을 유발할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한 심각한 합병증을 일으키고 심하면 사망을 초래하기도 한다. 만성 폐쇄성 폐질환의 급성 호흡기 감염시 객담검사의 약 50%에서는 원인균의 동정이 어렵기 때문에 항생제의 사용은 ...2021.04.28· 19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