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PPH radical 소거 활성 측정 실험
본 내용은
"
DPPH radical 소거 활성 측정 실험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11.28
문서 내 토픽
-
1. 활성산소와 DPPH 라디칼활성산소는 최외각 전자 궤도에 짝을 이루지 못한 유리 전자를 가진 불안정한 산화 화합물입니다. 라디칼형으로는 초과산화물 라디칼, 하이드록시 라디칼, 산화질소, 퍼옥시 라디칼이 있고, 비라디칼형으로는 과산화수소, 일중항산소, 치아연소산, 퍼옥시나이트라이트가 있습니다. DPPH는 라디칼 상태에서 강한 자생을 띠지만 환원되면 노란색의 2,2-diphenyl-1-picrylhydrazine이 됩니다.
-
2. DPPH 항산화능 측정 원리DPPH 라디칼을 활용한 항산화능 측정법은 안정한 라디칼인 DPPH가 산화 방지 물질로부터 전자 또는 수소를 제공받으면 비 라디칼로 전환되면서 보라색이 노란색으로 변하는 성질을 이용합니다. 517nm에서 흡광도 변화를 측정하여 항산화도를 정량화할 수 있으며, 천연물의 수용성 또는 유기용매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측정할 수 있습니다.
-
3. 블루베리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블루베리는 페놀, 안토시아닌, 망간, 비타민 C, K, 플라보노이드 등을 함유하여 미국 타임지 선정 10대 푸드에 포함될 정도로 항산화 효과가 뛰어납니다. 폴리페놀과 안토시아닌이 직접 활성산소를 제거하여 피부의 산화적 손상을 예방하고 노화를 방지하며, 간암세포 증식 억제, 눈 건강, 성인병 예방 등의 효능이 있습니다.
-
4. 홍삼 추출물의 기능성 성분홍삼은 인삼을 증기로 쪄서 건조시킨 것으로, 주요 성분인 사포닌은 지방과 노폐물을 제거합니다. 홍삼 제조 과정에서 진세노이드의 화학구조가 변하여 항암, 항당뇨, 항염증, 항산화, 간기능 해독, 중금속 해독 성분 등이 새로 생성됩니다. Rg1, Rb1, Rg3는 홍삼에만 있는 진세노사이드로 항암 및 면역력 개선 효능이 있습니다.
-
1. 활성산소와 DPPH 라디칼활성산소는 세포 대사 과정에서 자연적으로 생성되는 불안정한 분자로, 과도하게 축적되면 산화 스트레스를 유발하여 세포 손상과 노화를 촉진합니다. DPPH 라디칼은 안정적인 유기 라디칼로서 항산화 물질의 효능을 평가하는 데 널리 사용되는 모델 화합물입니다. DPPH는 항산화제와 반응하면 색상이 변하는 특성이 있어 정량적 측정이 용이하며, 생체 내 활성산소 제거 메커니즘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러한 라디칼 소거 능력 평가는 천연물의 기능성 식품 개발과 의약품 개발에 필수적인 기초 연구입니다.
-
2. DPPH 항산화능 측정 원리DPPH 항산화능 측정은 간단하고 신뢰성 있는 방법으로, DPPH 라디칼의 자주색이 항산화제에 의해 환원되면서 노란색으로 변하는 원리를 이용합니다. 분광광도계를 사용하여 517nm 파장에서 흡광도 변화를 측정함으로써 항산화 활성을 정량화할 수 있습니다. 이 방법은 빠르고 비용 효율적이며 재현성이 우수하여 다양한 천연물 스크리닝에 광범위하게 적용됩니다. 다만 생체 내 항산화 메커니즘을 완전히 반영하지 못하므로, 다른 항산화능 측정 방법과 병행하여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
3. 블루베리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블루베리는 안토시아닌, 플라보노이드, 페놀산 등 풍부한 폴리페놀 화합물을 함유하고 있어 뛰어난 항산화 활성을 나타냅니다. 블루베리 추출물은 DPPH 라디칼 소거능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세포 수준에서도 산화 스트레스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킵니다. 이러한 항산화 효과는 노화 방지, 신경 보호, 항염증 등 다양한 생리 활성과 연관되어 있습니다. 블루베리의 항산화 성분은 열처리나 저장 조건에 따라 변할 수 있으므로, 최적의 추출 및 보관 방법 개발이 기능성 식품 산업에서 중요한 과제입니다.
-
4. 홍삼 추출물의 기능성 성분홍삼은 진세노사이드, 폴리사카라이드, 페놀 화합물 등 다양한 생리 활성 성분을 함유하고 있으며, 특히 진세노사이드는 홍삼의 주요 약리 활성 물질입니다. 홍삼 추출물은 항산화, 항염증, 면역 증강, 피로 회복 등 다양한 기능성을 나타내어 전통 의학에서 오랫동안 사용되어 왔습니다. 현대 과학적 연구를 통해 홍삼의 효능이 점진적으로 규명되고 있으며, 이는 기능성 식품 및 의약품 개발의 중요한 자원입니다. 다만 홍삼의 기능성 성분 함량은 재배 환경, 수확 시기, 가공 방법에 따라 달라지므로, 표준화된 추출물 개발이 산업화에 필수적입니다.
-
DPPH assay, 항산화실험 보고서1. DPPH assay DPPH는 안정한 자유 라디칼로서 517nm에서 특징적인 광흡수를 나타내는 보라색 화합물이다. 이 라디칼은 알코올 등의 유기용매에서 매우 안정하며, 항산화 기작 중 Proton-radical scavaenger에 의하여 탈색되기 때문에 항산화 활성을 육안으로 쉽게 관찰할 수 있다. DPPH 실험은 시료 용액과의 반응에 의하여 DPP...2025.05.13 · 자연과학
-
[화공생물공학실험] DPPH 실험 예비레포트1. 활성산소 활성산소는 산소라디칼(oxygen free radical)과 이로부터 파생된 반응성이 높은 여러 산소 화합물이다. 이들은 다른 분자와의 상호작용으로 쌍을 이루지 않는 전자를 가지게 되어 매우 불안정한 상태이므로, 주변의 분자로부터 전자를 가져오는 과정에서 더 많은 활성 산소가 생긴다. 활성산소는 세포들의 미토콘드리아 전자전달계, cytochr...2025.01.19 · 공학/기술
-
DPPH assay를 이용한 항산화 능력 측정 실험1. DPPH assay 및 항산화 능력 측정 DPPH(1,1-diphenyl-2-picrylhydrazyl) 용액은 화학적으로 안정성을 띠는 자유 라디칼을 가진 용액으로 517nm에서 파장의 peak를 가진다. 항산화 활성이 있는 물질과 만나면 항산화제의 수소원자와 자유 라디칼이 소거되며 용액의 색이 노란색으로 변한다. 포도, 사과, 오렌지, 양파의 항산...2025.11.18 · 의학/약학
-
[식품분석실험] ascorbic acid를 이용한 녹차, 감잎 추출물의 항산화능 입증과 총 폴리페놀 함량과 시료 내외부 요인에 의한 항산화능 영향 분석1. 녹차와 감잎 추출물의 항산화능 분석 식품 원료의 폴리페놀 함량과 항산화능은 기능성 식품 개발을 위한 중요한 지표이다. 본 실험에서는 녹차, 감잎 추출물과 ascorbic acid의 GAE 폴리페놀 함량을 구하고, DPPH assay와 ABTS assay를 이용하여 추출물의 Free radical 소거능을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 녹차의 폴리페놀 함량과...2025.05.10 · 자연과학
-
DPPH 결과레포트 7페이지
2. Introduction2.1) 실험 목표ROS Pathway 및 radical에 의한 인체 내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해 이해하고, radical 소거활성능 측정법 중 2,2-Diphenyl-1-picrylhydrazyl(DPPH)법으로 황산화 활성을 측정한다.2.2) 활성산소활성산소는 Free radical이라고도 불리며, 대사과정에서 생성되어 노화나 각종 질병의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활성산소는 환경오염, 스트레스 등으로 과잉 생산되어 억제가 필요한데, 인체에서는 이러한 과잉을 항산화효소 혹은 비타민E, 베타카로틴 등의 섭취로...2021.04.26· 7페이지 -
대학생물학및실험2 DPPH assay(항산화 능력 측정) 실험 레포트 6페이지
1. Title : DPPH assay2. Date : 2022년 11월 9일3. Name :4. Purpose : 각 시료의 항산화 능력을 테스트하고 spectrophotometer의 원리를 이해하고data를 분석한다.5. Materials : DPPH solution, antioxidant, pipette & tip, Cuvette, 어둠상자 등6. Methods① 항산화 물질로 추정되는 시료와 DPPH용액을 1:1로 반응시킨다.② 5분 incubation (in the dark).③ spectrophotometer를 이용하여 ...2023.12.24· 6페이지 -
[생화학실험]DPPH 소거능 5페이지
DPPH 소거능1. 실험 목적가. 인간을 포함한 생물은 호흡이라는 과정을 통해 ATP 등의 에너지를 얻는다. 이러한 과정에 필연적으로 흡입된 산소의 2%를 활성산소로 변환시켜 지니게 되고 이 활성산소는 Free radical을 가진 산소를 의미한다. free radical은 세포막 산화, 촉진, 노화, DNA 변형 등의 문제를 야기한다. 실험을 통해 분광광도계를 이용한 free radical 소거능력을 측정한다.2. 실험 이론 및 원리가. 실험 배경DPPH (2,2-diphenyl hydrazy)는 안정한 유리기(stable fre...2021.07.17· 5페이지 -
DPPH 결과레포트 A+ 12페이지
1. 실험목적 ROS Pathway 및 radical에 의한 인체 내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해 이해하고, radical 소거활성능 측정법 중 2,2-Diphenyl-1-picrylhydrazyl(DPPH)법으로 항산화 활성을 측정한다.2. 실험일자 2020년 11월 5일 금요일3. 실험 결과대조군의 흡광도는 : 3.000 이다.⑨ 실험 결과 분석 이번 실험에서는 DPPH가 항산화물질과의 반응을 통해 DPPH의 비교적 안정한 질소 자유 라디칼이 사라지면서 시료의 색이 보라색에서 노란색으로 바뀌는 원리를 이용해 시료의 항산화 활성을...2021.01.18· 12페이지 -
[과 수석, 평점 4.5 자료 인증사진 첨부] DPPH 14페이지
1. Abstract해당 실험은 ROS Pathway 및 radical에 의한 인체 내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해 이해하고, radical 소거활성능측정법 중 2,2-Diphenyl-1-picrylhydrazyl(DPPH)법으로 항산화 활성을 측정한다. L-ascorbic acid, Tocopherol, Gallic acid, Naringin 시료의 항산화능을 흡광도를 통해 측정한다.2. Introduction가. 실험 원리활성산소는 ‘프리라디칼(free radical)’ 혹은 ‘자유기(自由基) “유리기(遊籬基)’ 라고 불린다. 활성산...2022.05.11· 14페이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