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정제 간호 및 관리
본 내용은
"
진정제 간호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11.26
문서 내 토픽
-
1. 진정(Sedation)의 정의 및 목적진정은 의식수준을 낮추기 위해 중추신경계를 억제하는 기법입니다. 안정과 평안을 유지하고, 신체적 불편·통증·불안을 최소화하며, 부적절한 반응과 갑작스러운 움직임을 통제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수면내시경, 뇌파검사, 자기공명촬영, 소아 전산화단층촬영 등 환자의 안전과 원활한 진행을 위해 필요한 모든 시술 및 검사에 적용됩니다. 과진정이 되지 않도록 호흡억제와 심박동억제를 면밀히 모니터링해야 합니다.
-
2. 진정제의 종류 및 작용주요 진정제는 Midazolam, Lorazepam, Propofol, Ketamine입니다. Midazolam은 0.3-0.35mg/kg을 20-30초에 걸쳐 주사하며 2~5분 내로 빠르게 작용합니다. Lorazepam은 뇌에서 신경흥분을 억제하여 불안 및 긴장을 감소시킵니다. Propofol은 15~20분 정도 작용하며 반감기가 길어 장기 진정 시 많이 사용됩니다. Ketamine은 1~2분 내의 빠른 작용시간을 가지며 성인 1.5~4.5mg/kg, 소아 3세 이상 2.5mg/kg을 투여합니다.
-
3. 진정 단계 및 기도 관리진정 단계는 최소진정, 중등도 진정, 깊은 진정, 전신마취로 구분됩니다. 최소진정은 불안 해소 정도의 옅은 진정이고, 중등도 진정은 약물에 의해 의식이 저하되어 반복되는 자극에 반응합니다. 깊은 진정은 의식을 잃은 상태이며, 전신마취는 모든 반응이 없는 상태입니다. 기도폐쇄, 무호흡, 저산소증 발생 시 머리기울임, 용수환기, 기도확보 등의 대처가 필요합니다.
-
4. 진정 전·중·후 간호 관리진정 전에는 환자 평가, 진정동의서 작성, 과거력·알레르기·복용약물 확인, 금식 지침 준수(2~3시간)가 필요합니다. 진정 중에는 맥박, 산소포화도, 의식수준을 5~10분마다 감시하고 Modified Observer Assessment of Alertness/Sedation Scale로 평가합니다. 진정 후에는 Modified Aldrete Score 9점 이상일 때 퇴실하며, 길항제 투여 시 최소 1시간 이상 모니터링 후 퇴실합니다.
-
1. 진정(Sedation)의 정의 및 목적진정은 의료 절차 중 환자의 불안감과 통증을 완화하기 위한 중요한 중재입니다. 진정의 목적은 단순히 환자를 잠들게 하는 것이 아니라, 의식 수준을 조절하여 안전하고 편안한 의료 환경을 제공하는 것입니다. 특히 내시경, 치과 시술, 소아 검사 등 다양한 임상 상황에서 진정은 필수적입니다. 진정을 통해 환자의 협조도를 높이고 시술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는 의료진의 업무 효율성도 증대시킵니다. 그러나 진정은 호흡 억제, 저혈압 등의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으므로, 정확한 정의 이해와 목적 설정이 안전한 진정 관리의 기초가 됩니다.
-
2. 진정제의 종류 및 작용진정제는 크게 벤조디아제핀, 오피오이드, 프로포폴 등으로 분류되며, 각각의 약물은 고유한 작용 기전과 특성을 가집니다. 벤조디아제핀은 불안 완화에 효과적이고, 오피오이드는 통증 관리에 우수하며, 프로포폴은 빠른 작용과 회복이 특징입니다. 임상에서는 환자의 상태, 시술의 종류, 예상 시간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진정제를 선택해야 합니다. 약물의 상호작용과 부작용을 충분히 이해하고, 개별 환자의 특성에 맞춘 용량 조절이 중요합니다. 진정제의 길항제(예: 플루마제닐, 날록손)에 대한 지식도 응급 상황 대응에 필수적입니다.
-
3. 진정 단계 및 기도 관리진정은 최소 진정에서 깊은 진정까지 단계적으로 진행되며, 각 단계에서 환자의 의식 수준과 반응성이 달라집니다. 진정 깊이가 깊어질수록 기도 폐쇄, 저산소증, 이산화탄소 축적 등의 위험이 증가합니다. 따라서 기도 관리는 진정 중 가장 중요한 간호 중재입니다. 적절한 기도 개방 기법, 산소 공급, 환기 보조 등의 준비가 필수적이며, 환자의 호흡 상태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해야 합니다. 특히 깊은 진정이나 전신 마취 수준의 진정에서는 기관 삽관이나 기도 기구 사용을 고려해야 하며, 이에 대한 의료진의 숙련도가 환자 안전을 좌우합니다.
-
4. 진정 전·중·후 간호 관리진정 전 간호는 환자 사정, 금식 확인, 동의서 획득, 기본 생활 징후 측정 등으로 시작됩니다. 진정 중에는 지속적인 생리 신호 모니터링(심박수, 혈압, 산소포화도, 호흡), 약물 투여 관찰, 기도 개방 유지가 핵심입니다. 진정 후 간호는 회복실에서의 관찰, 의식 회복 정도 사정, 부작용 모니터링, 퇴실 기준 확인 등을 포함합니다. 특히 진정 후 어지러움, 오심, 구토 등의 부작용 관리와 안전한 귀가 지도가 중요합니다. 전 과정에서 환자와의 효과적인 의사소통, 불안 완화, 편안함 제공이 간호의 질을 높이며, 이는 환자 만족도와 안전성 향상으로 이어집니다.
-
A+ 모성간호학 CASE <전자간증>1. 자간전증 환자 관리 자간전증 환자 관리의 가장 중요한 목적 중 하나는 경련을 예방하고 조절하는 것이다. 황산마그네슘(magnesium sulfate, MgSO₄)은 항경련제이자 평활근 이완제로, 경련을 예방하고 치료하는 데 효과적인 약물이다. 황산마그네슘은 평활근을 이완시켜 혈압을 낮추는 효과가 있다. 근육주사는 흡수율이 조절되지 않고 통증이 있으며 ...2025.01.27 · 의학/약학
-
정신간호학 물질 관련 장애에 대한 이론고찰1. 알코올 관련 장애 알코올 관련 장애의 원인으로는 정신역동학적 이론과 생물학적 이론이 있다. 정신역동학적 이론에서는 알코올 의존자가 자신의 삶에 두려움을 느끼는 만큼 알코올에 의존하게 되고, 사회적 음주자에 비해 열등감을 더 많이 느낀다고 본다. 발달론적 접근에서는 물질관련 중독의 원인을 징벌적 초자아와 구강기 고착에 초점을 둔다. 생물학적 이론에서는 ...2025.05.08 · 의학/약학
-
대구보훈병원 EGD 간호사 프로토콜1. 수면 내시경(EGD) 검사 전 처치 수면 내시경 검사 전 처치는 경구약물, 식이, 정맥주사 관리로 구성된다. Atix 항혈전제는 당일 중단이 필요하며, 릭시아나, 쿠파린, 자렐토, 프라닥사는 처방의사와 상의하여 중단 시기를 결정한다. 검사당일 오전 6시에는 혈압약만 복용하고, 전날 석식 이후 밤 10시부터 금식한다. 오른팔에 24G 카테터로 생리식염수...2025.11.11 · 의학/약학
-
통증 및 진정 간호1. 통증 관리 환자의 신체적, 정서적 안녕을 위해 통증을 효과적으로 관리하는 간호 중재. 통증 사정, 약물 및 비약물적 중재, 환자 교육을 포함하며 개별화된 통증 관리 계획을 수립하여 환자의 삶의 질 향상을 목표로 함. 2. 진정 간호 의료 절차 중 환자의 불안과 불편함을 완화하기 위해 진정제를 사용하는 간호. 환자의 의식 수준을 모니터링하고 안전한 진정...2025.11.13 · 의학/약학
-
Acute cholecystitis(급성 담낭염) Case study1. 발열로 나타나는 담낭의 염증 환자의 체온이 38.2도까지 상승하였으며, 백혈구 수치도 증가한 것으로 보아 담낭의 염증으로 인한 발열이 있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이에 따라 얼음팩 적용, 미온수 마사지, 해열제 투여 등의 간호중재를 통해 체온을 정상 범위로 낮추고자 하였습니다. 2. NRS 7점으로 나타나는 시술과 관련된 급성통증 ERCP 시술 후 환자가...2025.05.11 · 의학/약학
-
마취의 종류와 기계적환기간호 및 회복실 환자관리1. 마취의 종류 마취의 종류에는 전신마취, 부위마취 및 국소마취가 있다. 전신마취는 흡입마취와 정맥마취로 나뉘며, 부위마취에는 척추마취, 경막외 마취, 국소마취가 있다. 마취 시 환자의 안전을 위해 다양한 감시장치를 사용하며, 마취 후 부작용에 주의해야 한다. 2. 기계적 환기간호 인공호흡기 알람의 원인과 해결방법을 알아야 하며, 진정 및 근육이완제 사용...2025.05.13 · 의학/약학
-
sedation, pain control, 진정간호, 통증간호, 진정제, 진통제, 진정사정, 통증사정, 통증간호 10페이지
진정(sedation)&통증간호(pain control)진정(sedation) 간호* 진정이란?: 의식수준을 낮추기 위한 약물로 중추신경계를 억제하는 기법이다. 활성정도가 지나치면 호흡억제, 심박동억제가 나타나여 사망할 수 있으므로 과진정이 되지않도록 면밀히 모니터링 해야한다.* sedation 하는 이유?: 안정과 평안을 유지, 신체적 불편·통증·불안을 최소화, 부적절한 반응·갑작스러운 움직임 통제, 소아나 의사소통 어려운 성인에게 신속하게 시술행위 등을 위해 사용한다.1) 인공호흡기 적용 환자에서의 sedation 적용: 대체로...2022.01.22· 10페이지 -
진정치료 12페이지
진정치료과 목 명 :지도교수 :제 출 자 :제 출 일 :< 목 차 >1. 진정의 정의2. 진정치료의 목적3. 진정치료 시행자격4. 진정 단계의 정의 (대한마취통증의학회,2022)- 얕은 진정, 증등도 진정, 깊은 진정, 전신 마취5. 진정치료의 적용범위6. 진정 약제 규정 및 진정 치료 약제7. 진정치료의 단계1) 진정 치료전 환자평가2) 진정 동의서3) 진정 치료의 시행 및 환자 모니터링4) 회복실 모니터링5) 진정 회복 후 퇴실기준6) 퇴실시 교육 및 안내문 제공8. 응급 상황 발생시 대처 방안9. 참고문헌1 .진정의 정의: 진...2025.02.14· 12페이지 -
진정치료시 간호, sedation care 12페이지
1. 진정(sedation) 이란그림입니다.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083c3ea3.bmp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753pixel, 세로 429pixel약물에 의해 의식수준이 저하된 상태를 말하며 수면을 유도하고 긴장을 완화하고 최적의 상태에서 진정중 검사, 시술 및 수술을 받을수 있도록 사용함. 중추신경계의 신경전달물질 GABA 활성을 증가시켜 수면을 유도하는데 활성정도가 지나치면 호흡, 심박동 억제가 일어나 사망위험이 있을 수 있음.2. 진정의 단계각성진정전신마취(Anesthesia)최소진정(Minimal sedation...2024.12.29· 12페이지 -
COPD만성 폐쇄성 폐질환 치료 관리 및 환자 간호(간호사정, 간호진단, 간호중재, 간호과정) + 폐렴 환자 간호(간호사정, 간호진단, 간호중재, 간호과정) 14페이지
COPD만성 폐쇄성 폐질환 치료 관리및 환자 간호(간호사정, 간호진단, 간호중재, 간호과정)+폐렴 환자 간호(간호사정, 간호진단, 간호중재, 간호과정)목차Ⅰ. 만성 폐쇄성 폐질환 치료 ---------------- P. 3~81. 만성 폐쇄성 폐질환 대상자 산소요법, CO2 narcosis 기전 및 증상2. SVN(small volume nebulizer) 이용한 분무요법 시 대상자 교육(기도에 약물 침착 증진 방안)3. LVN(large volume nebulizer) 이용한 가습적용1. ABGA(Arterial Blood Gas...2024.01.25· 14페이지 -
아동간호학 개별과제(아동기 주요 건강문제 해결을 위한 간호 및 관리) 12페이지
REPORT [아동기 주요 건강문제 해결을 위한 간호 및 관리] 과목명| 아동간호학(3) 담당교수 | 학과 | 학년 | 학번 | 이름 | 제출일 | 목차 1. 문헌고찰3~8 - 정의(Definition) - 원인(Etiology) 및 병태생리 - 임상 양상(Clinical Manifestation) - 진단적 검사(Diagnostic measure) - 치료 및 간호(Treatment & nursing) 2. 사례 소개9 3. 간호 진단에 따른 간호과정9~11 4. 참고문헌12 1. 문헌고찰 : 울혈성 심부전 1) 정의 울혈심부전은...2024.06.05· 12페이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