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수과다증과 양수과소증의 정의, 원인 및 치료
본 내용은
"
[모성간호학]양수과다증과 양수과소증 A+자료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11.23
문서 내 토픽
-
1. 양수과다증(Hydramnios)임신 말기 정상양수량은 800~1,200mL이나, 양수과다증은 2,000mL 이상인 경우를 말한다. 양수는 양막에서의 분비, 태아의 소변, 모체혈액의 삼출물 등으로 생성된다. 양수과다증 임부는 당뇨병, 임신성 고혈압, 선천성 태아 결함(무뇌아, 이분척추, 식도폐쇄증 등), 태아 적아구증, 쌍태임신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 경증은 특별한 치료가 없으나, 중증은 이뇨제와 저염식이, 안정이 효과적이며, 호흡곤란 시 양수천자로 500mL를 배액한다.
-
2. 양수과소증(Oligohydramnios)양수과소증은 양수량이 500mL 이하인 경우를 말한다. 태아나 모체의 위험이 명확하지 않으면 중재가 필요 없으나, 분만 중 태아심음의 변이성 하강이 자주 발생한다. 양수가 부족하면 제대에 압박을 가하므로 양수지수(AFI)는 8cm 이상 유지되어야 한다. 생리식염수를 자궁 내 카테터로 양막강에 주입하는 양수주입술을 시행할 수 있으며, 자궁과다팽창, 제대탈출, 양수전색증, 감염 등의 위험이 있다.
-
3. 양수의 생성 및 기능정상임신에서 양수의 양과 농도는 다양하며, 양수는 양막에서의 분비, 태아의 소변, 모체혈액에서의 삼출물 등 여러 요인이 복합하여 생성된다. 양수는 분만 중 제대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며, 적절한 양수량 유지는 태아의 안전을 위해 중요하다.
-
4. 양수 이상의 임상 관리양수과다증과 양수과소증은 임신 중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으로, 각각 다른 치료 접근이 필요하다. 양수과다증은 이뇨제, 저염식이, 안정 등으로 관리하며, 양수과소증은 양수주입술로 치료한다. 양수지수 모니터링과 태아심음 감시가 중요한 관리 요소이다.
-
1. 양수과다증(Hydramnios)양수과다증은 임신 중 양수량이 비정상적으로 증가하는 상태로, 산모와 태아 모두에게 심각한 합병증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이 상태는 태아 기형, 당뇨병, 감염 등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하며, 조기진통, 태반조기박리, 제대탈출 등의 위험을 증가시킵니다. 특히 급성 양수과다증은 산모의 호흡곤란과 심한 복부 불편감을 야기하므로 적절한 모니터링과 치료가 필수적입니다. 양수천자를 통한 양수 감소 치료가 효과적일 수 있으며, 원인 질환의 규명과 치료도 중요합니다. 정기적인 초음파 검사와 태아 상태 평가를 통해 최적의 임신 결과를 도출할 수 있습니다.
-
2. 양수과소증(Oligohydramnios)양수과소증은 양수량이 정상 범위 이하로 감소하는 상태로, 태아의 성장 제한과 발달 이상의 위험을 높입니다. 주로 태반 기능 부전, 태아 비뇨기계 이상, 양막 파열 등으로 인해 발생하며, 심한 경우 태아 사망까지 초래할 수 있습니다. 양수는 태아의 움직임을 가능하게 하고 폐 발달을 촉진하므로, 양수과소증은 태아 폐 발달 부전의 위험을 증가시킵니다. 정기적인 비스트레스 검사와 도플러 초음파를 통한 태반 기능 평가가 중요하며, 필요시 조기 분만을 고려해야 합니다. 산모의 수분 섭취 증가와 안정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
3. 양수의 생성 및 기능양수는 태아의 생존과 정상 발달에 필수적인 역할을 하는 중요한 환경입니다. 주로 태아 소변과 태아 폐액의 분비로 생성되며, 양막과 제대를 통한 물질 교환으로도 조절됩니다. 양수는 태아를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고, 태아의 자유로운 움직임을 가능하게 하며, 폐 발달을 촉진하고, 감염으로부터 방어하는 역할을 합니다. 또한 양수는 태아의 삼킴 반사 발달과 소화기계 발달에도 중요합니다. 양수의 성분은 임신 진행에 따라 변화하며, 양수 검사를 통해 태아 건강 상태와 유전 질환 여부를 평가할 수 있습니다. 정상적인 양수량 유지는 건강한 임신의 지표입니다.
-
4. 양수 이상의 임상 관리양수 이상의 임상 관리는 정확한 진단과 원인 규명에서부터 시작되어야 합니다. 초음파를 통한 양수지수 측정과 태아 상태 평가가 기본이며, 필요시 양수 검사를 통해 감염, 유전 질환, 태아 상태를 확인합니다. 양수과다증의 경우 양수천자를 통한 치료적 감소가 효과적이며, 양수과소증은 산모의 수분 섭취 증가와 안정이 도움이 됩니다. 원인 질환의 치료가 병행되어야 하며, 정기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태아 안녕 상태를 지속적으로 평가해야 합니다. 심각한 경우 조기 분만을 고려해야 하며, 신생아 집중치료 준비도 필요합니다. 산모와의 충분한 상담과 심리 지원도 중요한 관리 요소입니다.
-
아동간호학실습 case study_저칼슘혈증1. 미숙아의 정의 미숙아(조산아, premature infant)는 임신 기간 37주 미만, 최종 월경일로부터 37주 미만인 아기를 말한다. 부당중량아(LGA, large for gestational age)는 재태기간에 비해 체중이 큰 아동으로, 출생 체중이 자궁 내 성장곡선상 90% 이상인 경우를 말한다. 2. 미숙아의 원인 미숙아의 원인은 태아 측 ...2025.01.23 · 의학/약학
-
pprom 간호과정 A+ 보장!!1. 만삭 전 조기파막(PPROM) 만삭 전 조기파막(preterm premature ripture of membrane, PPROM)은 임신 37주 미만에 진통이 생기기 전에 파막된 것을 의미하며, 전체 조기파막의 25%, 조산의 25%에서 발생된다. 진통은 파막 후 수일~수주 이후 시작된다. 만삭 전 조기파막은 만삭 조기파막보다 융모양막염과 자궁내막염의...2025.01.15 · 의학/약학
-
[A+자료] 아동간호학 실습 미숙아 Case Study (간호진단2개)(간호과정2개)1. 미숙아의 정의와 특성 미숙아란 체중에 관계없이 임신 37주 이하로 태어난 아이를 말한다. 미숙아는 신체 장기가 미숙하여 각종 질병에 걸릴 이환율이나 사망률이 높으며, 수면, 울음, 움직임, 쥐는 능력, 수유 능력 등 다양한 신체적 특징을 보인다. 2. 미숙아의 원인 및 관련요인 미숙아의 원인으로는 산모의 흡연, 노산, 맞벌이의 증가, 산모의 스트레스,...2025.01.15 · 의학/약학
-
양수과다증, 양수과소증 문헌고찰 4페이지
양수과다증(hydramnios)▶정의: 양수과다증은 32주에서 36주 사이에 2000mL 이상의 양수가 양막낭에 과도하게 축적되는 것이다. 임신 32주 이후에 서서히 증가하는 만성형과 임신 중기 며칠 사이에 증가하는 급성형이 있으나, 만성형이 대부분이다.임상적으로는 양수 지수가 24cm보다 클 때를 말한다. 1.5%에서 나타난다.[사진출처 : 서울아산질1) 원인 및 유발요인-쌍태아 수혈 증후군-모성 당뇨, 임신성 고혈압, 심장질환, Rh 부적합증, 다태임신, 태반이상-태아의 기형과 유전성 질환-태아 감염-원인 없음 50%이상)ㅡㅡㅡ...2021.06.22· 4페이지 -
[모성 A+] 양수과다증, 양수과소증 문헌고찰 4페이지
EPORT주제학습과 목 명여성간호학실습 2담 당 교 수제 출 일학 과학번/이름COLLEGE OF NURSING양수과다증(Hydramnios)1. 정의: 양수과다증은 32~36주 사이에 2000ml 이상의 양수가 양막낭에 과도하게 축적되는 것이다. 임신 32주 이후에 서서히 증가하는 만성형과 임신 중기 며칠 사이에 증가하는 급성형이 있으며, 대부분 만성형이다.2. 원인 및 유발요인: 원인은 확인할 수 없는 경우가 많다1) 태아의 연하와 배설의 불균형- 태아의 선천적 식도폐쇄- 십이지장폐쇄증과 같은 상부소화기 폐쇄증-뇌수종, 무뇌아 개...2022.05.31· 4페이지 -
고위험 임신, 고위험 산부질환 정리 22페이지
교과목명고위험 임신, 고위험 산부 질환 정리과목담당 교수님학번이름목차1. 유산(Abortion)2. 포상기태(Hydatidiform mole)3. 자궁 외 임신(Ectopic pregnancy)4. 자궁경관무력증(Incompetent internal os of cervix)5. 자간증(Eclampsia)6. 임신성 고혈압(Pregnancy-induced hypertension)7. 자궁 내 성장지연(Intrauterine growth retardation)8. 양수과소증(Oligohydramnios)9. 양수과다증(Hydramnio...2021.05.26· 22페이지 -
여성간호-고위험임신 및 분만, 분만합병증 15페이지
학번 이름 분만과 관련된 합병증다태임신 정의 태반 , 융모막 양막 일란성 하나의 수정란 발달초기 분할 1 개 2 개 이란성 두 개의 난자에 각각 수정 모두 따로 (2 개 ) 모체측 태아측 ・심혈관계부담 : 혈액량 과다 ・ 빈혈 : 태아 철분요구량 ⇑ ・ 과도한 자궁증대 ・ 산후출혈위험 , 감염위험 ⇑ ・ 태아위치이상 ( 두정위 多 ) - Locked twin : 태아 서로 뒤엉킨 상태 ・ 조산 : 다태임신 중 가장 빈번한 주산기 사망원인 1) 종류 2) 문제점산전관리 분만관리 ・체중 : 정상임부보다 50% ⇑ ・영양 : 칼로리 30...2020.11.25· 15페이지 -
[양수과소증] 간호과정 CASE STUDY (A+ 보장) 26페이지
양수과소증Case Study.양수과소증1) 정의양수란 태아를 싸고 있는 액체로, 태아의 소변, 양막으로부터 배출된 노폐물, 출생 후 폐 호흡에 필요한 물질 등이 포함되어 있다. 주로 태아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게 되는데, 따라서 임신 시기에 따라 적절한 양이 유지되어야 한다. 임신 중반 이후 평균 양수량은 750mL인데, 양수과소증이란 양수의 양이 300mL 이하로 비정상적으로 적은 상태를 말한다. (AFI, amniotic fluid index 양수지수: 5cm 미만)2) 원인양수과소증의 원인은 태아의 신장 형성부전이 있어 소변을 ...2024.03.15· 26페이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