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초등학교 교육과정 변천(편제와 시간배당 기준을 중심으로)
본 내용은
"
초등학교 교육과정 변천(편제와 시간배당 기준을 중심으로)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1.18
문서 내 토픽
-
1. 2022개정교육과정2022개정교육과정의 편제와 시간배당 기준은 이전 교육과정과 비교하여 국어, 수학, 바른 생활, 슬기로운 생활, 즐거운 생활 교과로 구성되어 있으며, 창의적 체험활동 시간이 증가하였다. 또한 교과(군)별 및 창의적 체험활동 시간 배당이 연간 34주를 기준으로 2년간의 기준 수업 시수를 나타낸 것이다.
-
2. 2015개정교육과정2015개정교육과정에서는 교과(군)와 창의적 체험활동으로 편성되며, 창의적 체험활동에 안전한 생활 64시간이 포함되어 있다. 또한 교과(군)별 및 창의적 체험활동 시간 배당이 연간 34주를 기준으로 2년간의 기준 수업 시수를 나타낸 것이다.
-
3. 2009개정교육과정2009개정교육과정에서는 교과(군)와 창의적 체험활동으로 편성되며, 창의적 체험활동 시간이 2007개정교육과정의 재량활동, 특별활동 시간을 포함하여 증가하였다. 또한 교과(군)별 및 창의적 체험활동 시간 배당이 연간 34주를 기준으로 2년간의 기준 수업 시수를 나타낸 것이다.
-
4. 2007개정교육과정2007개정교육과정의 편제와 시간배당 기준은 제7차 교육과정과 동일하다. 교과, 재량활동, 특별활동으로 편성되며, 교과별 시간 배당이 연간 34주를 기준으로 제시되어 있다.
-
5. 제7차교육과정제7차 교육과정에서는 교과, 재량활동, 특별활동으로 편성되며, 교과별 시간 배당이 연간 34주를 기준으로 제시되어 있다. 1학년의 경우 '우리들은 1학년' 교과가 별도로 편성되어 있다.
-
6. 제6차교육과정제6차 교육과정에서는 교과, 특별활동, 학교 재량 시간으로 편성되며, 교과별 시간 배당이 연간 34주를 기준으로 제시되어 있다.
-
1. 2022개정교육과정2022개정교육과정은 미래사회에 대비하여 학생들의 핵심역량 함양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교과 간 융합, 학생 중심 교육, 디지털 기술 활용 등 다양한 변화를 시도하고 있습니다. 특히 교과 교육과정의 내용 감축과 교과 간 연계를 통해 학생들의 실생활 문제 해결 능력 향상을 도모하고 있습니다. 또한 학생의 진로 및 적성 탐색을 위한 다양한 선택 과목 확대, 학생 참여형 수업 강화 등 학생 중심 교육을 실현하고자 합니다. 이러한 변화는 미래 사회에 필요한 창의성, 문제해결력, 의사소통 능력 등 핵심역량 함양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다만 교사의 전문성 제고, 학교 현장의 인프라 구축 등 실행을 위한 지원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
2. 2015개정교육과정2015개정교육과정은 학생 중심 교육과정 구현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교과 내용 감축, 교과 간 연계 강화, 학생 참여형 수업 확대 등 다양한 변화를 시도하였습니다. 특히 교과 내용 감축을 통해 학생들의 과도한 학습 부담을 해소하고, 핵심 개념과 원리 중심의 교육과정을 구현하고자 하였습니다. 또한 교과 간 연계를 통해 학생들의 통합적 사고력 및 문제해결력 향상을 도모하였습니다. 이와 함께 학생 참여형 수업 확대, 과정 중심 평가 강화 등 학생 중심 교육을 실현하고자 하였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학생들의 핵심역량 함양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다만 교사의 전문성 제고, 학교 현장의 인프라 구축 등 실행을 위한 지원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
3. 2009개정교육과정2009개정교육과정은 창의성과 인성 교육 강화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교과 내용 감축, 창의적 체험활동 확대, 교과 간 연계 강화 등 다양한 변화를 시도하였습니다. 특히 교과 내용 감축을 통해 학생들의 과도한 학습 부담을 해소하고, 핵심 개념과 원리 중심의 교육과정을 구현하고자 하였습니다. 또한 창의적 체험활동 확대를 통해 학생들의 창의성과 인성 함양을 도모하였습니다. 이와 함께 교과 간 연계를 통해 학생들의 통합적 사고력 및 문제해결력 향상을 도모하였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학생들의 핵심역량 함양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다만 교사의 전문성 제고, 학교 현장의 인프라 구축 등 실행을 위한 지원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
4. 2007개정교육과정2007개정교육과정은 학생 중심 교육과정 구현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교과 내용 감축, 교과 간 연계 강화, 학생 참여형 수업 확대 등 다양한 변화를 시도하였습니다. 특히 교과 내용 감축을 통해 학생들의 과도한 학습 부담을 해소하고, 핵심 개념과 원리 중심의 교육과정을 구현하고자 하였습니다. 또한 교과 간 연계를 통해 학생들의 통합적 사고력 및 문제해결력 향상을 도모하였습니다. 이와 함께 학생 참여형 수업 확대, 과정 중심 평가 강화 등 학생 중심 교육을 실현하고자 하였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학생들의 핵심역량 함양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다만 교사의 전문성 제고, 학교 현장의 인프라 구축 등 실행을 위한 지원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
5. 제7차교육과정제7차 교육과정은 학생 중심 교육과정 구현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교과 내용 감축, 교과 간 연계 강화, 학생 참여형 수업 확대 등 다양한 변화를 시도하였습니다. 특히 교과 내용 감축을 통해 학생들의 과도한 학습 부담을 해소하고, 핵심 개념과 원리 중심의 교육과정을 구현하고자 하였습니다. 또한 교과 간 연계를 통해 학생들의 통합적 사고력 및 문제해결력 향상을 도모하였습니다. 이와 함께 학생 참여형 수업 확대, 과정 중심 평가 강화 등 학생 중심 교육을 실현하고자 하였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학생들의 핵심역량 함양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다만 교사의 전문성 제고, 학교 현장의 인프라 구축 등 실행을 위한 지원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
6. 제6차교육과정제6차 교육과정은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 개편을 통해 교육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고자 하였습니다. 이를 위해 교과 내용 구조화, 교과 간 연계 강화, 학생 참여형 수업 확대 등 다양한 변화를 시도하였습니다. 특히 교과 내용 구조화를 통해 학생들의 체계적인 학습을 도모하고자 하였습니다. 또한 교과 간 연계를 통해 학생들의 통합적 사고력 및 문제해결력 향상을 도모하였습니다. 이와 함께 학생 참여형 수업 확대, 과정 중심 평가 강화 등 학생 중심 교육을 실현하고자 하였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학생들의 핵심역량 함양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다만 교사의 전문성 제고, 학교 현장의 인프라 구축 등 실행을 위한 지원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
2015 개정 특수교육 교육과정 총론 20페이지
제 1 장 2015 개정 특수교육 교육과정 총론Contents 1 2 3 특수교육 교육과정의 변천과정 및 법적 근거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의 개요 2015 개정 특수교육 교육과정 총론의 주요 내용 및 특징1. 특수교육 교육과정의 변천과정 및 법적 근거 1) 변천과정 제 7 차 특수학교 교육과정 ( 1998 년 6 월 30 일 ) 2008 개정 교육과정 2008 개정 특수학교 교육과정 - ‘ 중점내용 ’ 교육목표를 학교 급별에 따라 동일하게 설정 ( 교육의 보편성 우선시 ) 기본 교육과정의 편제나 , 특별활동 교육과정은 실생활 ...2021.12.21· 20페이지 -
우리나라 교육과정 변천사 15페이지
[교육실습 보고서]우리나라 교육과정 변천사1-7차과목명학과학번이름교수님제출일우리는 대학교에 이르기까지 유치원부터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를 거쳐 다양한 교육을 받아왔다. 이런 교육을 통해 가정, 학교, 사회 속에서 살아가는 법을 배웠고 각자 맞는 전공을 선택하는 길을 만들어왔다. 이제는 교육을 받는 것이 아닌 교육을 하는 교사로서 우리나라의 교육과정이 어떤 과정을 거쳐 개정되어왔는지 그리고 전공인 보건 과목의 교육과정은 어떠한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우리나라의 교육과정의 역사는 수천 년이다. 그러나, 현재의 교육과정과 직접적인...2023.12.25· 15페이지 -
제6장 우리나라 교육과정의 변천사 6페이지
제6장 우리나라 교육과정의 변천사1. 교육에 대한 긴급조치기1945년 일본의 패망과 함께 서울로 진주한 미군은 한국교육위원회를 조직하고, 이 위원회의 건의를 받아들여 미군정청 학무국에서 ‘신조선의 조선인을 위한 교육’을 일반 명령으로 시달하였다. 초?중등학교 교과 편제 및 시간 배당을 발표하였다.2.교수요목기1946년 교수요목을 제정하였고, 교수요목은 교과의 지도 내용을 상세히 기술한 문서를 말한다.①교과의 지도내용을 상세하게 표시하고 기초 능력을 기르는데 주력②교과는 분과주의를 선택하여 체계적인 지도와 지력을 기르는 데 중점③우리...2020.06.25· 6페이지 -
우리나라 교육과정 변천사 요약 레포트 11페이지
교육과정-우리나라 교육과정 변천사-1. 긴급조치기 1945~1946한국교육위원회의 건의~> 미군정청 학무국 ‘신조선의 조선인을 위한 교육’ 명령*교육목표: 평화와 질서*교육제도와 법규에서 일본의 색채 없애도록 함교과학년공민*국어지리.역사산술이과음악.체육계1~3*************5~6262323고등과262223긴급조치기의 국민학교 교과목 및 교육 시수(1945년)*공민: 국민의 정치, 사회, 경제적 생활에 필요한 사항을 가르치는 과목이 표에 제시된 수업시간 수는 주당 평균 수업시수를 나타냄① 제국주의적 색채가 강한 수신과를 없애...2019.02.27· 11페이지 -
2015 개정 교육과정 내용 분석 및 한계점 탐구_SW교육을 중심으로 6페이지
2015 개정 교육과정 내용 분석 및 한계점 탐구-SW교육을 중심으로-1. 머리말미래 사회를 살아가야 학생들은 전통적인 학교 교육에서 강조되었던 단편적인 지식과 개념의 습득보다는 지식을 발견하고 적용하며 새롭게 창조하는 능력을 갖춘 인재로 육성되어야 한다. 이러한 인식과 공감대가 확산되었고 이를 바탕으로 우리나라는 2015년 ‘6대 교육개혁의 과제’의 하나인 공교육 정상화’를 위한 핵심과제로서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 및 각론을 확정〮발표하고, ‘핵심역량을 갖춘 창의 융합형 인재’로 대표되는 미래형 교육목표와 이상을 천명하였다....2020.02.20· 6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