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화학실험: 유지의 산패 정도 측정
본 내용은
"
식품화학실험7_Kreis Test,옥도가,산가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11.21
문서 내 토픽
-
1. Kreis Test유지의 산패 발생을 판정하는 정성적 검사 방법으로, 산패된 유지에서 생성된 카보닐 화합물이 염산 산성 하에서 플로로글루시놀(1,3,5-트리하이드록시벤젠)과 복합체를 형성하여 빨간색 또는 진한 분홍색의 정색반응을 일으킨다. 주로 2,3-에폭시프로파날(에피하이드린 알데하이드)이 반응하며, 색의 진함 정도로 산패 진행 상황을 추정할 수 있다. 정량적 신뢰도는 낮아 정성적 판정에만 사용된다.
-
2. 옥도가(Iodine Value)유지 100g에 흡수되는 할로겐의 양을 요오드의 g수로 환산한 값으로, 지질의 불포화도를 나타낸다. Wijs법을 사용하여 측정하며, 염화요오드(ICI)가 불포화결합에 첨가되는 반응을 이용한다. 옥도가에 따라 건성유(130 이상), 반건성유(100~130), 비건성유(100 이하)로 분류된다. 실험 결과 올리브유 85.446, 카놀라유 122.784, 참기름 112.728이 측정되었다.
-
3. 산가(Acid Value)유지 1g 중에 존재하는 유리지방산을 중화하는 데 필요한 KOH의 mg수로, 유지의 산패 정도와 정제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0.1N KOH 용액을 사용하여 적정하며, 산가가 높을수록 유지가 변질되었음을 의미한다. 정제된 식용유의 산가는 일반적으로 1.0 이하이며, 유리지방산 함량은 산가에 0.503을 곱하여 계산한다.
-
4. 유지의 산패(Rancidity)유지가 공기 중에서 산화되어 변색, 이취, 독성을 가지는 현상으로, 식용유, 버터, 라면, 튀김과자 등 유지가공식품에 광범하게 발생한다. Kreis test, 옥도가, 산가 등의 화학적 시험법으로 산패 정도를 측정할 수 있으며, 이는 식품의 품질 판정과 안전성 평가에 필수적이다.
-
1. Kreis TestThe Kreis Test is a valuable analytical method for detecting conjugated dienes in oils and fats, which serve as indicators of oxidative degradation. This test is particularly useful in quality control for edible oils and industrial applications. The reaction produces a characteristic red or pink color when conjugated double bonds are present, making it a simple and cost-effective screening tool. However, the test has limitations as it cannot quantify the degree of oxidation precisely and may produce false positives with certain compounds. Despite these constraints, the Kreis Test remains relevant in food science and lipid chemistry for preliminary assessment of oil quality and oxidative status. Its simplicity makes it accessible for routine laboratory testing, though it should ideally be complemented with more sophisticated analytical techniques like peroxide value or TBARS assays for comprehensive evaluation of lipid oxidation.
-
2. 옥도가(Iodine Value)Iodine Value is a fundamental parameter in characterizing oils and fats, representing the degree of unsaturation by measuring the amount of iodine absorbed. This measurement is crucial for quality control, as it directly reflects the proportion of double bonds in fatty acids. Higher iodine values indicate greater unsaturation, which affects physical properties, oxidative stability, and nutritional characteristics. The test is standardized and widely used across the food, cosmetic, and industrial sectors. However, iodine value alone cannot fully characterize oil quality, as it doesn't indicate oxidative degradation or the presence of trans fats. Understanding iodine value is essential for predicting oil behavior during storage and processing, making it an indispensable analytical tool for producers and consumers seeking to evaluate lipid composition and stability.
-
3. 산가(Acid Value)Acid Value is a critical indicator of oil and fat quality,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free fatty acids resulting from hydrolysis or oxidation. This parameter is essential for assessing freshness and storage conditions, as elevated acid values suggest degradation or improper handling. The test is straightforward, standardized, and widely implemented in quality control laboratories worldwide. A low acid value indicates good preservation and proper processing, while high values may signal rancidity development or microbial contamination. Acid value is particularly important for edible oils, as regulatory standards often specify maximum acceptable levels. However, acid value alone doesn't provide complete information about oxidative status or other quality parameters. Regular monitoring of acid value throughout the supply chain helps ensure product safety and consumer satisfaction, making it an indispensable quality metric in the lipid industry.
-
4. 유지의 산패(Rancidity)Rancidity in oils and fats is a significant quality concern that affects taste, odor, nutritional value, and safety. This deterioration occurs through oxidative or hydrolytic pathways, producing off-flavors and potentially harmful compounds. Oxidative rancidity develops when unsaturated fatty acids react with oxygen, while hydrolytic rancidity results from water-induced breakdown of triglycerides. Prevention through proper storage conditions, antioxidant addition, and packaging is crucial for maintaining product quality. Rancidity detection involves sensory evaluation and analytical methods like peroxide value and acid value measurements. Understanding rancidity mechanisms helps manufacturers implement effective preservation strategies. The economic impact of rancidity is substantial, as it leads to product waste and consumer dissatisfaction. Addressing rancidity requires comprehensive approaches combining proper handling, storage optimization, and quality monitoring throughout the product lifecycle.
-
식품화학실험6_과산화물가측정 7페이지
식품화학실험 6Ⅰ. 과산화물가 측정학 과식품생명공학과학 번이 름교수명조Ⅰ. 과산화물가 측정1. 실험목적유지의 산패 측정 방법 중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측정방법이 과산화물가이다. 산패도를 임의적으로 달리한 유지 시료의 과산화물가 측정을 통해서, 유지의 산패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한다.2. 실험이론[ 과산화물가 ]식용유지 또는 지방질 식품 등에 존재하는 과산화물들의 함량 또는 과산화물의 형성 속도를 측정함으로써, 산패의 발생을 검출하거나 유도기간의 길이를 측정하는 방법이 오랫동안 사용되어 왔었다.유지 중에 존재하는 과산화물의 함량을 측정...2023.11.21· 7페이지 -
산가, 과산화물가 & 발효유 품질검사 10페이지
산가, 과산화물가 & 발효유 품질검사과 목 명 : 식품화학실험담당 교수 : 교수님학 과 :학 번 :이 름 :실험일 :제출 일자 :내용산가 TOC \o "1-3" \h \z \u Hyperlink \l "_Toc122549434" I.실험원리 PAGEREF _Toc122549434 \h 2 Hyperlink \l "_Toc122549435" II.실험재료 및 기구 PAGEREF _Toc122549435 \h 3 Hyperlink \l "_Toc122549436" III.실험방법 PAGEREF _Toc122549436 \h 3 Hype...2023.05.03· 10페이지 -
유지 산패 측정 11페이지
식품화학실험레포트- 실험제목 : 유지 산패 측정- 실험일시 : 2020. 05. 04.- 실험목적산패에 대해 이해하고, 측정법을 알 수 있다.- 실험원리 및 방법산패 (rancidity) 라는 말은 라틴어의 악취, 썩은 냄새라는 뜻의 randidus에서 유래된 말이다. 유지를 많이 포함하는 지방질 식품을 저장하는 경우나, 조리, 가공 중의 가열 등에 의해서 불쾌한 냄새나 맛의 발생, 착색, 점성의 증가 등 물리, 화학적 변화가 생겨 그 품질이 낮아지는데 이 현상을 산패라고 하며 식품으로서의 가치가 낮아짐은 물론 때로는 유해로운 물질...2021.01.03· 11페이지 -
과산화물가 측정과 Kreis Test 5페이지
식품화학 실험 Ⅷ-과산화물가 측정과 Kreis Test-실 험 8. 과산화물가 측정과 Kreis TestⅠ. 서 론식용유지 또는 지방질 식품 등에 존재하는 과산화물들의 함량 또는 과산화물의 형성 속도를 측정함으로써, 산패의 발생을 검출하거나 유도기간의 길이를 측정하는 방법이 오랫동안 사용되어 왔었다. 일반적으로 유지 시료들 속의 과산화물의 함량은 과산화물가로 표시된다. 이 과산화물가는 1kg의 유지시료에 함유된 과산화물들의 밀리 몰수, 또는 밀리당량으로써 표시된다. 과산화물은 지질의 산패 과정 중 다른 물질로 분해되기 때문에 과산화...2011.12.27· 5페이지 -
TBA 레포트(고찰자세함)(A+) 9페이지
식품화학실험 레포트실험 주제 : Thiobarbituric acid Assay1. AbstractTBA를 측정하는 본 실험의 목적은 유지의 산패가 진행되어될수록 생성되는 카르보닐 화합물 중 하나인 말론알데하이드의 생성을 측정하기 위해서이다. 말론알데하이드 한 분자는 두 분자의 TBA와 반응하여 적자색의 복합체를 형성하기 때문에 TBA를 이용하여 말론알데하이드의 함량을 구하는 원리이다. 실험 방법을 간략히 서술하자면 먼저 삼각플라스크에 신선대두유, 산패유, 미강유 시료를 담고 벤젠을 가하여 녹여준다. 이에 TBA 시액을 가하고 밀봉한...2019.12.14· 9페이지
